▲ 6개 종합일간지 지면 ‘김건희 주가조작 녹음파일’ 보도 내용분류(6/19)
민주언론시민연합
한겨레
<사설/김건희 '도이치' 녹음파일 확보, 검찰 4년 동안 뭐 했나>(6월 19일)는 "서울중앙지검 수사팀은 김씨의 미래에셋증권 계좌에서 도이치모터스 종목 거래내역 등을 확인하면서도 증권사 서버에 저장된 통화 녹취는 확보하지 않았다"며 "무능한 탓인가, 아니면 봐주려고 작정한 것"이냐고 따졌습니다. 한국일보
<사설/5년 만에 찾은 김건희 '주가조작' 녹취… 검찰의 직무유기다>(6월 19일)는 "수사 인력도 적은 고검 수사팀이 두 달도 안 돼 찾은 걸 보면, 서울중앙지검 수사는 해도 해도 너무한 부실 수사"라며 "이 정도면 '봐주기'를 넘어 '직무유기'를 의심할 상황"이라고 질책했습니다.
동아일보, 조선일보, 한겨레, 한국일보는 김건희에게 무혐의 처분을 내린 서울중앙지검은 비판했지만 재수사 중인 서울고검은 비판하지 않았는데요. 경향신문과 중앙일보는 서울중앙지검뿐만 아니라 서울고검을 향해서도 비판의 날을 세웠습니다. 경향신문
<사설/이제사 나온 김건희 주가조작 증거, 부실수사도 다 밝혀야>(6월 19일)는 "(서울고검은) 구속영장을 청구하거나 체포를 통해 김씨의 신병을 확보했어야 했지만 검찰은 시간을 끌었고, 김씨는 출석 요구서를 받자마자 대선 핑계를 대더니 지병을 이유로 병원에 입원"했다며 서울고검의 늑장수사를 비판했습니다.
중앙일보
<노트북을 열며/나단과 사초>(6월 19일 김선미 기자)는 "관련자들이 수사를 받고 1·2심을 거쳐 대법원에서 유죄 확정판결을 받은 뒤에야 김 여사 수사가 본격화한 건, 수사 기관이 검찰총장과 대통령이라는 권력 앞에서 모른 척 침묵했기 때문은 아닐까"라며 서울고검의 김건희 재수사 역시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사건 관련자들이 대법원 유죄 확정판결을 받은 뒤에야 이뤄졌음을 꼬집었습니다.
조선일보 제외, 부실수사·외압행사 규명 촉구
6개 종합일간지 중 조선일보를 제외하고는 모두 검찰의 김건희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연루의혹 부실수사에 대한 김건희 특검의 철저한 규명을 촉구했습니다.

▲ 6개 종합일간지 지면 ‘김건희 주가조작 녹음파일’ 보도 내용분류(6/19)
민주언론시민연합
경향신문
<사설/이제사 나온 김건희 주가조작 증거, 부실수사도 다 밝혀야>(6월 19일)는 "모든 것들이 가리키는 건 윤석열 정권과 검찰의 검은 유착"이므로 "(특검은) 검찰의 부실 수사도 철저히 규명해 관련자 모두 엄하게 처벌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동아일보
<사설/특검 뜨니 "김건희 육성 파일 확보"… 검찰, 4년간 뭐 하다가>도 마찬가지입니다.
중앙일보
<사설/재수사 한 달 만에 나온 '김건희 녹음'… 4년 수사 뭐했나>(6월 19일)는 "(특검은) 김 여사 수사와 관련해 대통령실의 개입이나 압력은 없었는지 밝혀야 한다"고 강조했는데요. 중앙일보를 비롯해
한겨레,
한국일보도 부실수사에 대한 철저한 규명과 더불어 수사를 무마하기 위한 대통령실의 수사 외압 행사 역시 밝혀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더불어 한겨레
<사설/김건희 '도이치' 녹음파일 확보, 검찰 4년 동안 뭐 했나>(6월 19일)는 "검찰 권력 사유화와 정치적 남용의 대가는 검찰 조직 전체가 감당"할 수밖에 없으니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제출한 공소청 및 중대범죄수사청 신설법안을 중심으로 빠르게 논의를 진행해 공정하고 민주적인 수사와 기소 체계를 만들어가야 한다"며 신속한 검찰개혁 추진을 주문했습니다.
조선일보, '윤석열 정부 수사팀' 감싸며 김건희 옹호

▲ 조선일보 6월 19일자 기사 <김여사 녹음 파일 왜 이제야… 압수수색 해놓고 ‘통화 내역’ 안봤다>
조선일보PDF
조선일보는 서울중앙지검의 부실수사와 봐주기 수사 정황이 속속 드러나는 와중에도 '문재인 정부' 수사팀을 언급하며 윤석열 정부 수사팀 감싸기에 바빴습니다.
조선일보
<김여사 녹음 파일 왜 이제야… 압수수색 해놓고 '통화 내역' 안봤다>(6월 19일 김희래·박강현·이민준 기자)는 "'문재인 정부' 시절인 2021년 서울중앙지검 수사팀은 권오수 전 도이치모터스 회장 등 주가조작 세력이 통정매매에 이용한 김 여사 명의의 계좌 6개가 개설된 증권사 서버를 압수 수색"했는데 "다른 증권사 5곳과 달리 미래에셋만 김 여사와 담당 직원 사이 통화 녹음이 수색 대상에서 제외"됐다며 문재인 정부 수사팀의 부실수사 가능성을 제기한 겁니다. 이어 "2022년 5월 윤석열 정부 출범 후 새로 꾸려진 중앙지검 수사팀도 기존 수사 자료를 토대로 수사를 이어갔기 때문에, 미래에셋 부분을 빼놓은 채 작년 10월 김 여사를 증거 불충분으로 '혐의 없음' 처분"을 내렸다고 덧붙였습니다. 윤석열 정부 수사팀이 부실수사에 무혐의 처분을 내린 것도 문재인 정부 수사팀이 마련해놓은 기존 수사자료 탓이라는 식입니다.
조선일보의 윤석열 정부 수사팀 감싸기는 여기서 그치지 않습니다. 익명의 검찰 관계자를 인용해 "'문재인 정부' 수사팀이 선별적으로 강제 수사를 했고, '윤석열 정부' 수사팀도 전임 수사팀의 판단에 문제가 없다고 판단"하면서 결정적 증거도 확보 못한 채 무혐의 처분이라는 결론을 냈다는 겁니다.
<사설/4년간 안 나오다 재수사 한 달 만에 나온 김건희 녹음 파일>(6월 19일)에서도 문재인 정부 비판과 김건희 옹호만 이어갔습니다. "애초 문재인 정권이 당시 윤석열 검찰총장을 겨냥해 시작한 수사"였는데 "문재인 정권 검찰은 1년 반 넘게 수사했지만 김 여사 관여 여부를 입증하지 못했다", "아직은 (서울고검이 확보한) 이 녹음 파일이 김 여사의 주가조작 연루 의혹을 명확히 입증할 직접 증거라고 하기는 어렵다"고 주장한 겁니다.
김건희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 사건은
2020년 2월 뉴스타파 보도로 처음 알려졌습니다. 주가조작은 중대한 경제범죄로 자본시장법 위반으로 간주됩니다. 시세조종 행위는 시장의 공정성을 해치는 행위로 일반 투자자들에게는 금전적 손해를 야기하고 시장 신뢰를 저해하죠. 주가조작 의혹 사건 수사를 "문재인 정권이 당시 윤석열 검찰총장을 겨냥해 시작한 수사"라고 일컫는 조선일보 주장이야말로 어불성설 아닌지요.
* 모니터 대상
2025년 6월 19일 경향신문, 동아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 한국일보, 매일경제, 한국경제 '김건희 주가조작 녹음파일' 관련 지면 기사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민주사회의 주권자인 시민들이 언론의 진정한 주인이라는 인식 아래 회원상호 간의 단결 및 상호협력을 통해 언론민주화와 민족의 공동체적 삶의 가치구현에 앞장서 사회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는 단체입니다.
공유하기
'김건희 녹음파일' 등장에 문재인 정부 수사팀 탓한 <조선>의 억지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