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밀리사이트

  • 오마이뉴스
  • 오마이스타
  • 오마이TV
  • 오마이포토
  • 10만인클럽
  • 오마이뉴스APP

공유하기

한림랩 뉴스룸
  • 메일
  • URL복사 https://omn.kr/1ybi9

오마이뉴스

시리즈
  • 검색 닫기
  • 연재발행
  • 이용안내
  • |
  • 로그인/회원가입

검색

시리즈

한림랩 뉴스룸

공유하기

한림랩 뉴스룸

한림대학교 미디어스쿨 대학생 기자들이 취재하고 작성한 기사입니다. 스쿨 뉴스플랫폼 한림미디어랩 The H(www.hallymmedialab.com)에도 실립니다.

더보기
  • 사회
  • 연재 중
  • 기사308
  • 구독3
  • 공유

참여기자 :

  • 10만인클럽 프로필사진
    기자 _ 내방
  • OhmyNews
  • 검색 닫기
  • 로그인/회원가입
  • 시리즈
  • 연재
    • 전체연재
    • 프리미엄연재
    • 분야별 보기닫기
    • 사는이야기
    • 사회
    • 경제
    • 정치
    • 문화
    • 민족·국제
    • 교육
    • 책동네
    • 여행
    • 미디어
    • 여성
    • 스타
  • 연재기사
    • 전체 연재기사
    • 인기 연재기사
  • 추천 연재기자
  • 리스트형
  • 카드형
  • 최신순
  • 과거순
  • 308화"XR 산업은 전환기...한국도 전략적 지원방안 모색 필요"

    메타 주도로 세계 시장 급성장, 하지만 국내 이용자 5%만 정기적 사용·소니 추격

    글로벌 XR 시장은 메타의 '퀘스트 3S' 출시로 전분기 대비 213% 성장하는 폭발적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AR 스마트 안경 시장도 회복세를 보이며, 메타 외에도 소니, 엑스리얼, 애플, 구글 등이 시장 경쟁에 참여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이용자들의 AR/VR 기기 이용은 정체 또는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정기적 이용자는 5%에 불과하고, 90%는 '거의 이용 안 함'으로 응답했다. 김성진 산업연구원 전문연구원은 XR 산업이 '전환기'에 위치해 있으며, 향후 성장을 위한 전략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25.06.12 10:43 ㅣ 조윤성(whdbstjd0808)
  • 307화건강생활실천 최하위 '강원'... 높은 비만율, 정부 차원의 대책 필요

    걷기-건강생활 실천율 낮은 수준... "체육시설 많아 보이지만 지역 중심에만 집중돼 접근성 낮아"

    강원과 제주는 최근 몇 년간 지역별 비만율 상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2023년 기준 제주 36.1%, 강원 35.0%로 서울(28.8%)보다 높다. 건강생활 지표에서도 강원은 걷기실천율 39.6%, 건강생활실천율 28.9%로 서울(각각 68.0%, 52.4%)에 비해 크게 낮다. 체육시설 수는 오히려 강원이 더 많지만, 김동현 단장은 시설의 중심부 집중과 산악지형으로 인한 접근성 문제를 지적하며 지역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건강관리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25.06.10 09:35 ㅣ 김나연(kny0871)
  • 306화서울 강남보다 적은 강원도 의료장비... 의료환경 '열악'

    2022-2023년 최근 통계 살펴보니... 의료 인력도 서울의 1/10 수준

    강원도 의료 인프라는 장비 1336개, 인력 1만3987명으로 서울 강남구 한 곳보다도 부족한 실정이다. 신장결석 치료 장비조차 18대에 불과해 태백 거주 이모씨는 원주까지 2시간 반을 이동해야 했다. 이러한 의료 인프라 부족으로 강원도민의 서울 '빅5' 병원 진료비는 10년새 137% 증가했고, '치료 가능 사망률'은 전국 3위를 기록했다. 지역 의료 격차 해소를 위한 실질적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25.06.05 17:33 ㅣ 이예경(dorud030406)
  • 305화 한국, '노동권이 보장되지 않는 나라'로 분류

    2일 국제노동조합총연맹 발표… 12년째 노동권 보호 하위

    국제노동조합총연맹(ITUC)이 발표한 '글로벌 노동권 지수'에서 한국이 12년 연속 5등급(노동권이 보장되지 않는 나라)으로 분류됐다. ITUC는 한국이 고용주들의 단체교섭 회피와 노동자 권리 보호 국제협약 무시 등을 지적했으며, 이주노동자에 대한 법적 보호장치 부재와 차별적 대우도 문제 삼았다. 한편 고용노동부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약 28만 명의 근로자가 2조 400억 원의 임금 체불을 경험했다....
    25.06.03 14:54 ㅣ 최지성(wltjdrkacjs3)
  • 304화지방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은 누가 챙기나

    경북·충남 정신과 진료 23~24%대 증가, 치료 인프라는 감소세

    최근 아동·청소년 정신질환자가 2018년 13만3천명에서 2022년 22만8천명으로 5년새 71% 증가했으나, 관련 의료 인프라는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다. 전국 241개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 중 아동·청소년 전문 특화기관은 4곳뿐이며 모두 수도권에 위치해 있다. 특히 충남, 광주, 경북 지역은 정신과 진료 증가율이 높지만 정신건강 관련 의료 인프라는 오히려 감소하거나 미미한 증가세를 보여 지역 불균형이 심각한 상황이다....
    25.05.30 15:07 ㅣ 박준혁(jack5041)
  • 303화서울시내 전동킥보드 약 4만대... 주차공간은 2000대 수준

    2024년 상반기 '신고' 따른 견인 건수만 3만9000여 건... "피해는 이동 시민에"

    서울시 내 공유 전동킥보드는 4만3천여 대에 달하지만, 이를 세워둘 주차구역은 190곳에 불과하며 거치대가 설치된 곳은 81곳뿐이다. 주차구역 한 곳당 최대 10대를 주차해도 2천 대 수준만 수용 가능한 실정이다. 이로 인해 2024년 상반기에만 3만9천여 건의 전동킥보드 견인 조치가 이루어졌으며, 대부분 보도와 차도가 구분된 도로, 횡단보도, 산책로 등에 무단 주차된 경우였다. 주차 문제 해결을 위한 법령은 마련되었으나 주차구역 확충은 부지 확보와 비용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25.05.29 14:59 ㅣ 천승환(tmdghks0804)
  • 302화"월급 빼고 다 올랐다" 지난 10년 생활비 변화 살펴보니

    보건의료·외식비 배 이상, 광열수도비·교통비도 22-23년 새 87·71% '껑충'… 통신비·가정식비는 제자리

    지난 10년간 생활비 항목별 변화를 분석한 결과, 외식비는 월 20만원에서 42.7만원으로 2배 이상 증가했고, 보건의료비는 9만원에서 25.3만원으로 2.8배 급증했다. 교통비와 광열수도비도 각각 55%, 87% 상승했다. 특히 2022~2023년 사이 외식비는 77.9%, 교통비는 70.5%, 광열수도비는 86.7% 급등했다. 반면 통신비와 주거비는 10년간 거의 변동이 없었고, 가정식비는 오히려 2023년에 18.2% 하락했다....
    25.05.29 10:25 ㅣ 조윤성(whdbstjd0808)
  • 301화청년인구 증가, 원주가 춘천의 3배... 이유는?

    2015~2024년, 각각 8.8%, 2.9% 증가... 강원도 전체는 16.0% 감소

    원주시 청년 인구가 춘천시보다 약 3배 높은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2015~2024년 20~39세 청년 인구는 원주시가 8.8% 증가한 반면, 춘천시는 2.9% 증가에 그쳤다. 특히 춘천시는 2022년부터 청년 인구가 감소세로 돌아섰다. 이러한 격차의 주요 원인으로는 원주시의 제조업체 수가 춘천보다 54% 많은 산업구조와 교통비, 주거 지원 등 장기적 청년 유입을 위한 원주시의 전폭적인 지원정책이 꼽히고 있다....
    25.05.07 16:07 ㅣ 박준혁(jack5041)
  • 300화'왜 처벌이 안 되나요?'... 스토킹 범죄 증가, 구속률은 3%대

    2023년 1월~7월까지 검거 피의자 6481명... 구속자 수는 210명

    스토킹처벌법 시행 이후 신고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구속률은 오히려 감소하고 있다.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총 85,881건의 스토킹 신고가 접수됐으나, 구속률은 2021년 7%에서 2023년 3.2%로 하락했다. 피해자들은 반복적인 위협에도 실질적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으며, 일부 경찰은 '세 번 이상 신고해야 스토킹으로 인정'이라는 잘못된 안내를 하기도 한다. 피해자 보호를 위한 법적 조치와 시스템의 근본적 변화가 시급하다....
    25.05.02 10:34 ㅣ 전서연(sally3585)
  • 299화강원도, 전력 사용량 증가했지만 인구 성장은 '정체'... 이유는?

    2008년 대비 인구는 도내 11곳 감소, 주택용 전력 사용 46.6% 증가…"1인 가구·고령화 탓"

    지난 16년간 강원도 인구는 1%대의 증가세를 보였는데 주택용 전력 사용량과 한국 전력 고객 수는 30~40%대의 증가세를 보여 눈길을 끈다. 1인 가구 증가·고령화 탓이다.한국전력공사 전력데이터개방포털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전력 통계를 살펴...
    25.04.30 10:16 ㅣ 안디모데(elahep1217)
  • 298화"AI 영화 산업서 성공하려면 기획이 중요하다"

    [인터뷰] 부산국제AI영화제서 예술혁신상 수상한 이형주 감독

    배우 나문희를 주인공으로 한 영화 <나야, 문희>가 지난해 12월 개봉하였다. 이 영화가 특히 눈길을 끌었던 이유는 배우·음성·공간·영상 등 모든 요소들에 AI를 활용하여 만든 영화이기 때문이다. AI배우가 영화 스크린에 등장하...
    25.04.22 11:05 ㅣ 최병우(cbw0607)
  • 297화드라마틱 소프라노, 한국 오페라 발전의 '선구자'를 꿈꾸다

    한림대 '시민지성 한림연단' 성료... 서혜연 교수 "신진 성악가 파"무대로 이어주는 연결고리 되고 싶어

    "한국 오페라가 발전할 수 있도록 신진 성악가들을 세계 무대로 이어주는 연결고리가 되고 싶어요."지난 16일 오후 7시, 강원도 춘천시 한림대학교 캠퍼스라이프센터 비전홀에서 한림대 도헌학술원이 주관하는 '2025년 1학기 시민지성 한...
    25.04.21 11:31 ㅣ 최민수(minsuperior8751)
  • 296화고령층에서 더 확실히 드러나는 '유튜브 편중 현상'

    언론진흥재단의 2024 소셜미디어 이용자 조사 중 '뉴스 이용' 관련 데이터 살펴보니

    60대와 70대 이상은 '유튜브'를 뉴스·시사정보를 얻기 위해 많이 이용하는 소셜미디어로 꼽았다. 70세 이상의 93.1%가, 60세~29세의 82.6%가 유튜브를 선택했다. 이같은 수치는 지난해 12월 한국언론진흥재단이 발표한 '2024 소셜미디어 이...
    25.04.19 19:29 ㅣ 최지성(wltjdrkacjs3)
  • 295화내국인 이혼은 줄었는데... 다문화 가정 이혼 '증가세'

    23년 3.9%, 내국인은 -1.3%… 주택 소유율, 서울은 39.9% 불과

    전체 이혼율이 5년 연속 감소세를 보이는 가운데, 다문화 가구 이혼율은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지난해 11월 17일에 발표된 통계청 '2023년 다문화인구동태'에 따르면, 다문화 이혼 건수는 총 8158건으로 305건(3.9%) 늘어났다. 같은 해 내...
    25.04.19 18:49 ㅣ 기소연(u2fjfjrjdjjr)
  • 294화서울여대 학생들 "학교측, 경찰 수사 협조하라"

    무소의뿔 주최 기자회견서 성범죄 대책 마련 촉구... 학교측 "거부 아닌 공문 재발송 요청"

    서울여대 학생들이 학교측에 교내 성범죄 사건에 대한 경찰 수사에 협조하라고 촉구했다.지난 23일 오후 3시 30분 서울여대 래디컬페미니즘동아리 '무소의뿔'은 만주벌판에서 '교내 성범죄 사건 수사 협조 및 대책 수립' 촉구 기자회견을 ...
    24.12.24 13:53 ㅣ 기소연(u2fjfjrjdjjr)
  • 293화중장년 세대, 시내 공원서 간이골프로 건강 챙긴다

    파크골프 협회 회원, 올해 16만 명, 4년새 4배… 전국 100여 곳 성황

    최근 중장년층과 시니어들 사이에서 파크골프가 인기를 끌고 있다.대한파크골프 협회에 따르면 지난 5월 기준 협회 등록 회원은 16만 명을 넘어섰다. 지난해 14만여 명보다 13.2%, 2020년 이후 4배나 증가한 수치이다.파크골프는 정식 골프장 ...
    24.12.24 09:27 ㅣ 김주연(wndus8026)
  • 292화강원농어촌유학, 지난해 33명에서 172명으로 증가

    자연 체험 활동·예능·AI코딩 교육까지 최소 '1년', 전인교육 인기

    초등학생들이 농촌 지역 학교에서 다양한 자연 체험 활동·예능·컴퓨터 등 종합 교육을 받는 단기 농촌 유학이 인기를 끌고 있다.강원도교육청에 따르면 지난해 2학기에 33명의 유학생으로 시작된 강원농어촌유학이 올해 2학기 현재 172명으로 ...
    24.12.23 11:13 ㅣ 유호준(ryj0815)
  • 291화시니어용 전동차, 면허제도 없고 교육도 의무 아냐?

    면허·이용자 교육도 없이 운전… 경북 의성서만 올해 4명 사망

    시니어들의 이동을 지원하는 전동차가 면허 제도가 없는 것은 물론, 사고 예방을 위한 이용자 교육도 의무화되지 않은 채 사용되고 있어 잦은 교통 사고의 원인이 되고 있다.운전면허가 없는 노인들은 이동을 위해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수밖에 없...
    24.12.22 17:48 ㅣ 이승윤(winterrider)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Copyright © Ohmy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