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제주 사름이 사는 법] 김잔디 제주다크투어 대표
[제주 사름이 사는 법] '정치철학자' 조정환 갈무리 출판사 대표
[제주 사름이 사는 법] 최성희 평화활동가
[제주 사름이 사는 법] 김상봉 전남대 철학과 교수가 말하는 서부지법 폭동과 검찰 독재의 본질
[제주 사름이 사는 법] 민중가요 1세대, 최창남 목사·작곡가
[제주 사름이 사는법] 이영웅 제주환경운동연합사무처장
[제주 사름이 사는 법] '걷기 명상' 이끄는 강홍림 작가
[제주 사름이 사는 법] 김성 신부 (서귀포 '면형의 집' 원장)
[제주 사름이 사는 법] '여경의 전설' 박미옥
[제주 사름이 사는 법] 오은주 성산읍 내륙습지조사팀장
[제주 사름이 사는 법] 김근수 해방신학연구소장
[제주 사름이 사는 법] 이영이 제주 볍씨학교 교장
[제주 사름이 사는 법] 제주 남선사 주지 행운 스님
[제주 사름이 사는 법] 황요범 4·3 유족회 고문
[제주 사름이 사는 법] 현기영 작가와 제주4·3
[제주 사름이 사는 법] 송강호 평화운동가
[제주 사름이 사는 법] 배기철 '4·3 통일의 길 마중물' 조사단장
[제주 사름이 사는 법] 김호선 동백동산 습지센터 총괄팀장
제주가 격변의 시기를 지나고 있다. 사람들이 몰려오면서 인구 구성이 다양해지고 문화예술의 향기가 풍성해졌는가 하면, 땅과 바다가 환경파괴로 신음한다는 경고음도 들린다. 4·3의 상처가 조금씩 아물어가고 있는 한편으로는 새 공항 건설을 두고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서도 천혜의 땅 제주도를 살기 좋은 평화의 섬으로 만들기 위해 각자의 분야에서 열심히 일하는 제주 사름(람)을 찾아가 그들의 목소리를 전한다.
2018년 봄 제주로 이주했다. 제주의 아름다운 자연과 그곳에서 사는 사람들 그리고 제주현대사의 아픔에 깊은 관심을 갖고 있다.
10만인클럽
프리미엄
사회ㅣ기사 10
민족·국제ㅣ기사 17
사회ㅣ기사 170
연재
사는이야기ㅣ기사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