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부임지인 니꼴라예프에 도착하였다. 이제 시작이다. 도착이 시작이다. 이제 무엇을 할까? 우크라이나의 지평선처럼 아득하다. 할 수 있는 일도 많고 하고 싶은 일도 많다. 그러나 무엇을 해야 할까? 어떻게 해야 할까? 하지만 신념 안에 답이 있으리라! 하나의 주사위가 던져진 채 구르면서 무슨 사색을 그리도 많이 하겠는가? 첫 사랑처럼 반가운 사람처럼 대하며 그렇게 설레는 마음을 잊지 말고 그들과 만나자. 그것이 사람의 만남이다. 그리고 희망이라 믿자.

  

 

어느 순간이 삶에서 가장 정의롭고 소중하며 자신에게 가장 정직할 수 있는 시간일까? 불현듯 스치는 바람 같은 사색에 잠긴다. 아마도 만끽할 수 있는 것들일 것이란 생각이 든다. 그것은 어쩌면 가장 화려한 청춘의 시절과 언제나 자신을 편하게 다독여주는 휴식시간이 아닐까 생각한다. 나는 블론티어(봉사자)로서 이곳을 찾은 사람이다. 신분에 맞게 행동하기 위해 한국에서 한 달, 이곳에서 한 달 보름의 강훈련(?) 혹은 맹훈련(?)을 받았다. 지치고 버거운 시간들도 있었고 함께 봉사단원으로 온 사람들의 불편한 모습들이 조금은 있었다. 그러나 내 모습도 그들에게 그랬을 것이란 생각을 하며 가급적 이해하려 노력했고 무사히 연수과정을 마쳤다. 그런 그들에게 고맙다. 그런 내 자신에게도 고맙다.

 

  

만끽하는 순간 고통이 있을 리는 없다. 그 고통이란 이름의 것들은 만끽하는 자에게 오는 것이 아니라, 만끽을 모르는 자에게 오는 것이라는 생각도 하게 된다. 물론 그것은 어디까지나 아마도! 라는 전제에서 생각해보는 일이다. 아무튼 사설이 긴 이야기는 나의 변죽이자 어쩌면 모처럼 찾아온 휴식을 만끽하려는 나의 변설일 수도 있겠다. 하지만 나 자신도 그렇고 다른 분들도 한 번쯤 생각해보시길 바라는 마음에서 주절거려본다. 가혹을 아는 사람들에게 그리고 그 고통 속에 있는 사람들에게는 원망과 저주가 내려질 이야기이기도 하니 조국의 하늘에 고통을 겪고 있는 많은 분들에게 할 이야기도 아닌 듯도 하다. 우리가 정치적으로 안정되고 누구나 인정하는 보편선이 통하는 구조라면 나의 이런 변설도 마음껏 수용해줄 것이라는 안타까운 생각도 한다.

 

나는 쉐브첸코라는 시인이 쓴 시에서 종교와 정치가 무모한 백성들을 속이고 억압했던 한 시절을 보았다. 그리고 우리의 현실은 어떤가? 생각하다 오버랩되는 장면들을 보았다. 아팠다. 그러나 어쩌랴! 이곳 우크라이나의 역사를 보면 한국의 광적인 종교인들은 어쩌면 민족을 팔거나 배반하는 길을 가며 민족보다 종교의 우월성에만 매몰되어 형제를 죽이는 우를 범해도 두렵지 않은 모습을 하고 있지는 않은지? 사실 한국의 종교를 비방하자고 아래의 시를 인용하거나 이 글을 쓴 것은 아니다. 다만 우리가 냉정히 생각해보아야 할 부분이 분명 있는 것 같아서 독백처럼 그러나 신중하게 말하고 있는 것이다. 

 

나는 내 조국의 몇몇의 뜻과 달라도 내가 갈 길은 가겠다는 마음이다. 그것이 보편선이라 여겨지는 일일 때 그렇다. 이제 얽매임이 아니라 공간적 한계에서 자유롭게 벗어나 그 아픔을 이겨낼 수 있는 길을 찾고 있다. 새로운 길을 열어보자는 마음으로 그런 위치에 섰다. 하지만 그것이 무엇인가 회피한다고 얻어지는 것과는 다르다 믿는다. 그러니 떠난 곳을 기억하되 지금 길을 충실히 걷자. 언젠가는 하는 막연함이 아니라 지금의 충실한 한 걸음들이 훗날의 밝은 꿈이 열매 맺는 지름길이 되리라는 믿음으로 가자.

 

 

참 겁 없는 사색이다. 휴식을 이야기하려다 딴 길로 샜다. 부러운 대평원을 바라본 사람이 그 평원의 아름다움과 바라보기만 해도 얻어지는 사색을 이야기 하고 싶었다. 더구나 친절한 슬라브인 가족들과 샤슬릭(고깃덩어리를 쇠뭉치에 끼워 바비큐처럼 굽는 것)이라는 요리를 해먹으러 산책을 하고 숲에 갔던 시간은 특별한 휴식이었다. 흩어져 살던 가족이 만나 가족나들이를 한 기분이 들 정도로 포근했다. 그런 와중에도 길고 길게 뻗은 길을 보며 생각에 잠기고 끝없이 아득한 세월의 지평선을 보고 사색에 잠긴다.

 

그날 저녁에도 다음 날에도 집에서 기르는 사납게 생긴 개를 데리고 산책을 했다. 내게서 한국어를 배우겠다는 타샤(18세)와 비까(18세)가 함께 동행이 되어주었다. 노을이 깊어지면 지평선도 한없이 깊어지는 것인가? 길도 그 깊이를 안고 저무는 듯하다. 어쩌나? 직접 바라보지 않고서는 느낄 수 없는 이 고독과 사색의 안정감을 무어라 설명하고 표현해야 하나? 시인이라는 정체성에 걸맞지 않지만 나의 능력으로는 그 표현을 해낼 재간이 없다. 절망적이다. 다만 나 홀로 그걸 느끼고 있고 다듬어가고 있다. 반복하고 반복하며 사색을 하는 과정이라 이해해 주시길 부탁드린다.

 

 

나는 연휴를 화려하고 즐겁게 보내고 연휴가 끝난 후 대학을 찾았다. 나의 협력자인 나탈리아는 첫날 만남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대신 영문과의 예카테리나 선생이 반갑게 맞아주었다. 그러나 그도 수업중이라서 교무실로 안내를 받아서 갔다. 그곳에 주임교수님인 이리나(Loshchenova lryna) 선생이 친절히 맞아주었다. 그는 방마다 찾아다니며 여러 교수님들을 소개하고 기념 촬영까지 해주었다. 정말 낯선 대학의 불확실한 한 걸음을 걷는 사람에게는 큰 위안이 되는 시간이었다. 나는 그들에게 손잡고 악수하고 인사하는 순간 모든 것이 가능하다고 믿는다는 메시지를 전했다. 그들도 반갑게 웃음으로 호응해주었다. 그 말이 옳고 그르고 상관 없이 나는 그것을 믿고 그렇게 되도록 최선을 다하며 한 걸음 한 걸음 걸어가야 한다. 

 

 폴란드인에게(1847년)

우리 자유로운 코자크였을 때

종교 통합 전

삶이여! 얼마나 즐거웠던가?

우리는 폴란드인을 형제라 하며

물결치는 넓은 초원을 자랑했었지.

마을마다 백합 같은 아가씨들

사랑하며 노래했지.

어머니들 자랑스런

아들들을 자랑하며 즐거워했지.

그들은 자라 늙은 어머니들

시름을 덜어주었지.

그때 가톨릭 수사들

예수님 이름으로

우리의 평화로운 낙원을 불살랐지.

눈물과 피의 바다 흐르고

고아들 예수님 이름으로

십자가에 매달려 죽었네.

코자크의 머리 땅에 떨어지고

짓밟힌 풀포기 같이

우크라이나는 탄식하며 통곡했네.

사람들 머리 계속

땅 위로 떨어지고

미친 사람들 날뛰며 외친다.

할렐루야. 할렐루야.

 

그렇구나. 폴란드 친구 나의 형제여.

사제들과 귀족들이

우리를 갈라놓았구나.

이제까지 우리 함께 살았을 것을

그대여. 다시 한 번 코자크에게 손을 다오.

순결한 마음을 고이 바치리.

다시 한 번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우리의 고요한 낙원을 만들어 보자구나.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해피수원뉴스에도 게재됩니다.


#시인 김형효#우크라이나 니꼴라예프#수호믈린스키 국립대학교 교수진과 함께#우크라이나 해외봉사단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시집"사람의 사막에서" 이후 세권의 시집, 2007년<히말라야,안나푸르나를 걷다>, 네팔어린이동화<무나마단의 하늘>, <길 위의 순례자>출간, 전도서출판 문화발전소대표, 격월간시와혁명발행인, 대자보편집위원 현민족문학작가회의 회원. 홈페이지sisarang.com, nekonews.com운영자, 전우크라이나 예빠토리야한글학교교사, 현재 네팔한국문화센타 운영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