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가운데가 김춘진 국회 보건복지위원장(새정치민주연합).
 가운데가 김춘진 국회 보건복지위원장(새정치민주연합).
ⓒ 남소연

관련사진보기


"현재 메르스 바이러스는 공기로 감염이 되지 않는다고 밝혀졌지만 변이종이 생겼을 때는 공기감염도 가능하다고 본다. (중략) 이 바이러스의 (염기서열) 특징을 빨리 파악하는 게 옳다."

김춘진 국회 보건복지위원장(새정치민주연합)은 "현재로선 메르스 바이러스의 변이종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보지만, "공기 감염을 일으키는 변이종이 발생할 가능성도 고려해야 한다"며 우려했다. 김 의원이 공기를 통한 메르스 감염 가능성을 언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김 의원은 3일 오전 <오마이뉴스> 팟캐스트 방송 <장윤선의 팟짱>에 출연해, "복지부가 초기 방역에 실패했을 뿐 아니라 환자의 치료와 관리, 역학 조사에도 실패했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16번째 메르스 감염 환자가 여러 병원을 옮겨 다니는 과정에서 3차 감염자가 발생한 것"이며 "복지부가 감염자를 제대로 관리하지 않는다면, 메르스 감염 의심 격리대상자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수밖에 없다"고 비판했다.

김 의원은 "메르스 확산을 막기 위해 메르스 바이러스의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분석 결과 변종 메르스 바이러스가 발견된다면, 공기를 통한 감염 가능성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이다. 

김 의원은 "신종 바이러스가 발생한 경우를 대비해 외국 연구소와 미리 MOU(양해각서)를 체결, 문제 발생 시 국제 공조를 통해 바이러스의 특징, 변종 여부를 빨리 파악하는 감염 재난 대책 시스템을 정부가 미리 구축해야 했다"고 지적했다.

복지부는 지난달 31일 메르스 변종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국내외 연구소에 분석을 의뢰했으며, 이번 주 중으로 결과가 나올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한, 김 의원은 "WHO(세계보건기구)가 2012년 메르스를 신종 감염병으로 발표했지만, 감염병 예방 관리법(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상 메르스는 아직 '지정 감염병'으로 고지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현행 법 체계가 "정부의 무사 안일한 대응 태도를 반증하고 있다"는 것이다. 

김 의원은 메르스 환자 치료를 위해 필요한 의료장비 수가 부족할 뿐 아니라, 통계 자료 역시 정확하지 않다고 우려했다. 김 의원은 "메르스 치료를 위해선 다인실이 아닌 1인 병실이, 특히 병실 안 공기의 외부 유출을 막는 '음압격리병실'이 필요"하지만 "보고 자료마다 병실 수가 136개, 104개, 179개 등 정확하지 않았다"며 현재 복지부에 정확한 정보를 요구했다고 밝혔다.

이런 상황에서 김 의원은 "정부가 초기 대응에 실패한 복지부 대신 강력한 권한을 가진 범정부 메르스 대책 기구를 만들어, 메르스 확산 방지 대책을 시행해야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2일 리얼미터 여론조사(전국 19세 이상 성인 500명을 대상으로 휴대전화(50%)와 유선전화(50%) 임의전화걸기(RDD) 자동응답 방식으로 진행, 응답률은 5.7%,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4.4%p)에 따르면 국민 10명 중 8명 이상이 메르스 감염자가 발생한 병원과 지역 공개를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들이 대비할 수 있도록 병원과 지역을 공개해야 한다'는 의견이 82.6%, '과도한 불안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으므로 공개해서는 안 된다'라는 의견이 13.4%였다. 공개 찬성 의견이 반대보다 6배 이상 높았다.

인터뷰 전체 내용은 <장윤선의 팟짱>을 통해 들을 수 있다.

☞ 아이튠즈에서 <장윤선의 팟짱> 듣기
☞ 오마이TV에서 <장윤선의 팟짱> 듣기
☞ 팟빵에서 <장윤선의 팟짱> 듣기


#메르스 변종#김춘진 메르스#메르스 박근혜#메르스 병원 공개#음압격리병실이란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