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약 안 치고 농사 짓는다면 그걸 누가 믿냐고 말하는 사람이 있다. '유기농, 무농약, 그거 다 거짓말이죠. 약 안 치고 절대 농사 안 돼요'라고 자신있게 말하는 사람이 있을 정도다. 안타깝지만 그것이 우리나라 농업의 현실이다. 하지만 유기농보다 더 까다로운 조건을 스스로 세우고 농사 짓는 사람들이 있다. 자연재배 또는 자연농법이라 부르는 방식으로 농사 짓는 사람들이다.

제주시 구좌읍 종달리에는 품이 넉넉한 자연농부 김연주(포비)님이 산다. 제주 토박이인 그는 젊은 시절에 절대 농부는 되지 말아야지 결심했다고 한다. 농민으로 살아간다는 것이 얼마나 고된 일인지 잘 알고 있었지만 8년 전 농부가 되었고 자연농법이라는 고단한 길을 선택했다. 한 술 더 떠서 그는 수많은 농부들이 외면하는 토종씨앗을 이어가며 농사 짓는다. 그는 전국여성농민회와 토종씨드림 제주에서 활동하고 있다. 

29일, 토종씨드림 제주의 회원들이 토종교실을 열었다. 첫 번째 교실로 초대된 강사가 앞서 소개한 김연주 농민이다. 무투입, 무가온, 무비닐. 농사에 필요한 자재를 사지 않고 오로지 자연의 힘으로 6kg 이상의 상품 수박을 키워낸 경력의 소유자다. 자연농법으로 수박 키우기에 관심있는 여덞 명의 농부가 포비의 자연 농밭에 모였다. 
  
토종교실 토종씨드림 제주가 주최한 토종교실이 열렸다.
▲ 토종교실 토종씨드림 제주가 주최한 토종교실이 열렸다.
ⓒ 류승아

관련사진보기

 
토종교실에 모인 모두가 자신을 간단히 소개하였다.

포비 : "저의 보잘 것 없는 밭에 모여주신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귀농 8년차이고 전업농민이 된 지 5년 되었어요. 기후가 바뀌면서 농사 짓는 것이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어요. 원래는 봄에 보리콩(완두콩)으로 수익을 냈어야 하는데 올해는 단 한 알의 보리콩도 수확하지 못했어요. 겨울의 잦은 비 때문에 아래부터 썩기 시작해 죽은 것이 많았고 봄이 왔지만 밤 기온이 너무 낮아 보리콩이 거의 달리지 않았어요. 달린 콩도 수확할 만큼 자라지 못해 수확을 포기했어요."

윰 : "저는 서귀포시 화순에서 친구들과 소풍 겸 농사 겸 자파리(큰 욕심없이 즐기면서 한다는 뜻의 제주어 - 기자말)를 하고 있어요. 제가 친구들과 빌린 밭이 세모 모양이어서 발바닥 모양으로 두둑을 만들었어요. 옛이야기에는 설문대할망이 한라산의 꼭대기를 집어 던겨 산방산이 생겼으니 한라산과 산방산 사이에 있는 우리밭은 설문대할망이 한라산 꼭대기를 던질 때 디뎠던 그 자리가 되는 거죠."

순이 : "오조리에서 농부랍시고 농사를 짓고 있어요. 이것저것 별짓 다 하면서 혼자 나름 재미있게 농사짓는데 요즘 들어 생산물을 늘리고 싶다는 바람이 커졌어요. 올해는 이웃한 방치된 밭을 빌려 일구고 독새기 콩을 심을 계획을 가지고 있어요."

영미 : "아이 셋을 키우니까 아직은 제 주체성은 엄마에요. 이백평 정도 농사를 짓고 있는데 방향을 아직 잡지 못했지만 자급을 위해 궁리하고 있어요. 저희 밭에도 놀러 오세요."

영인 : "수제 막걸리를 만들어 한살림과 자연그대로농민장터에서 소비자와 만나고 있어요. 대충 심고 나면 먹고 안 나면 말고 하는 식으로 텃밭농사를 짓고 있어요. 자급자족이씨라 부르셔도 좋아요."

맨발 : "제주에 온지 이제 석달 되었고 운좋게 밭을 빌려 작게 농사를 시작했어요. 육지에 살 때는 달걀과 고기를 먹기 위해 닭도 키웠는데 제주에 올 때는 데려오지 못했어요. 제주에 저희 가족을 위한 자연농밭을 가꾸고 싶어요."
 
포비의 보리밭 포비 김연주 님이 보리 사이에 심은 먹골참외를 살펴보고 있다.
▲ 포비의 보리밭 포비 김연주 님이 보리 사이에 심은 먹골참외를 살펴보고 있다.
ⓒ 류승아

관련사진보기


소개를 마치고 녹비 작물로 심은 맥주보리 밭으로 향했다. 김연주 님은 일부 보리를 베어 골을 만들고 먹골참외를 심었다.

포비 : "먹골참외는 멜론 맛이 나요. 익어도 초록색이고 풋 것일 때는 맛이 없고 익으면 오래 저장할 수 없어서 유통이 되지 않아요. 어쩔 수 없이 이렇게 맛있는 참외는 농민만 먹을 수 있죠. 농민의 특권입니다."
 
보리밭에 심어진 먹골참외 언제 자라서 참외를 달지 궁금하다
▲ 보리밭에 심어진 먹골참외 언제 자라서 참외를 달지 궁금하다
ⓒ 류승아

관련사진보기

 
보리밭 한 켠에는 고구마 모종이 자라고 있다.  

포비 : "예전에는 보리 수확하고 고구마를 심었어요. 대개 보리 수확 때 장마가 지기 때문에 비가 계속 와서 보리 수확을 못하기도 했죠. 장마 시기에 고구마를 심으면 말라 죽지 않고 잘 살고 그랬는데 요즘은 모든 것이 빨라져서 다들 초파일 쯤에 고구마를 심어요. 저는 6월 10일쯤 아주심기할 생각입니다."
 
포비의 자연농밭 보리 옆에는 당근, 양배추, 고구마 모종등이 자라고 있다.
▲ 포비의 자연농밭 보리 옆에는 당근, 양배추, 고구마 모종등이 자라고 있다.
ⓒ 류승아

관련사진보기

 
 4년째 무경운으로 농사짓고 있는 양파밭으로 자리를 옮겼다.

맨발 : "비닐도 씌우지 않고 농사지으시는데 풀관리를 정말 잘 하셨어요."
포비 : "양파를 전문으로 심는 제가 아는 한 농민은 지난해 양파 세 가지를 심었는데 기후변화 때문에 한 가지는 결구가 되지 않아 전혀 수확하지 못했다고 해요. 개량종은 생육환경과 조건에 더 민감하고 그 중 하나라도 충족되지 않으면 이겨내지 못하는 것 같아요. 양파는 토종이랄 것이 없지만 운 좋게 올해 제 양파는 잘 자라주었어요." 
순이 : "올해 양파농사가 다들 잘 안 됐다고 하는데 포비님 양파는 정말 잘 됐어요."
 
양파밭 토종교실 참가자들이 포비의 양파밭에서 설명을 듣고 있다.
▲ 양파밭 토종교실 참가자들이 포비의 양파밭에서 설명을 듣고 있다.
ⓒ 류승아

관련사진보기

 
포비의 비가림시설 채소밭으로 이동해 밭을 둘러 보았다.

"토마토 농사에 욕심이 있는데 토마토는 비가림시설 없이는 상품 가치 있게 길러내는 게 어려워요. 그래서 비가림시설을 빌리게 되었어요."

다양한 품종의 채소들이 잘 가꾸어져 있다. 한 참가자는 포비의 채소밭이 채소백화점 같다고 했다. 포비는 이날 토종교실 참가자에게 마음껏 채소를 뜯어갈 수 있게 했다. 넉넉한 농부의 마음에 참가자들은 장바구니 가득 채소를 담았다.
 
비가림 채소밭 지난해부터 비가림 시설을 빌려 농사를 짓기 시작한 포비의 채소밭. 온갖 채소와 토마토 등이 건강하게 자라고 있다. 포비는 이날 토종교실 참가자에게 마음껏 채소를 뜯어갈 수 있게 했다.
▲ 비가림 채소밭 지난해부터 비가림 시설을 빌려 농사를 짓기 시작한 포비의 채소밭. 온갖 채소와 토마토 등이 건강하게 자라고 있다. 포비는 이날 토종교실 참가자에게 마음껏 채소를 뜯어갈 수 있게 했다.
ⓒ 류승아

관련사진보기

 
수박 심기 전 포비의 설명이 이어졌다.

포비 : "관행농은 수박을 크게 키우고 달게 만들기 위해 인위적인 것을 해요. 자연농법으로 천천히 단단하게 키운 수박이 인위적으로 달게 만든 수박의 단맛을 따라잡지 못해요. 하지만 건강한 방식으로 생명력 넘치는 수박으로 키우고 있어요. 무투입으로 수박을 키울 때 중요한 것은 잎이에요. 수박 잎들이 충분히 광합성을 할 수 있도록 풀 관리를 해주어야 해요.

수박은 순지르기가 중요해요. 원줄기는 잘라버리고 잎의 겨드랑이에서 나오는 아들순을 키워 수박이 달리게 해요. 그런데 첫 번째, 두 번째 잎은 힘들게 나오느라 크기가 작죠. 그리고 광합성을 통해 양분을 모아서 키운 세 번째, 네 번째 잎은 크기가 훨씬 크게 잘 자라죠.

하나는 예비로 남겨두고, 그래서 수박은 처음 다섯 잎을 남기고 원줄기를 잘라버려요. 관행농 수박농사에서는 순지르기를 많이 한다고 알아요. 무투입으로 수박을 키울 때 중요한 것은 잎이에요. 그래서 저는 한 번만 순지르고 잎을 최대한 살려둡니다.

처음 심고 한 달간은 밭에 가보지 않아요. 가서 눈으로 보면 물을 주고 싶은 마음이 생기거든요. 그래서 일부러 가보지 않아요. 하지만 수박은 스스로 이겨내어 땅에 뿌리를 내리고 생명을 이어가죠. 그 자연의 생명력을 믿고 기다려주면 됩니다.

심은 뒤 한두 달은 풀 관리가 중요합니다. 하지만 열매가 달리기 시작하면 태풍에 대비해 풀을 남겨두어야 해요. 물론 풀이 잎을 가리지 않을 정도로 관리는 해주어야 하지만. 풀이 없으면 태풍이 불었을 때 수박 잎이 다 날아가버리고 수박만 덩그러니 남게 되요. 그러면 수박은 자라지 못하고 그대로 썩어버립니다. 수박 잎이 풀에 기대어 땅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게 적당한 풀을 남겨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처음 열매가 달리기 시작하면 그것들이 다 커지고 달게 익어줄 것 같지만 하나 이상을 키우게 되면 어느 하나도 상품성 있게 크지 못하고 파치가 되어 버려요. 그래서 솎아줄 때는 과감하게 솎아주어야 해요."

윰 : "수박모종 심을 때 어떻게 심으시나요?"

포비 : "대개 모종 심고 2~3일 뒤 비예보가 있을 때 심어요. 모종을 땅에 심은 뒤 뿌리는 눌리지 않게 하면서 모종 둘레 흙을 다져주는 것이 필요해요. 흙이 밀착되어 있어야 뿌리가 물을 찾아 쉽게 갈 수 있기 때문이에요."

영인 : "저는 날마다 수박에 물을 주고 있는데 괜찮을까요?"

포비 : "물을 푹 많이 주면 괜찮은데 찔끔찔끔 매일 주게 되면 오히려 해로울 수 있어요. 겉흙이 젖었다 마르면서 땅이 더 딱딱해질 수 있기 때문이에요. 수박이 스스로 물을 찾을 수 있게 내버려 두는 것이 더 나아요."
 
수박심기 토종교실 참가자들이 포비의 자연농밭에 흑수박모종을 아주심고 있다.
▲ 수박심기 토종교실 참가자들이 포비의 자연농밭에 흑수박모종을 아주심고 있다.
ⓒ 류승아

관련사진보기


토종교실 참가자들은 수박 키우기와 심기에 대한 설명을 듣고 수박밭으로 향했다. 길게 줄을 띄우고 간격을 일정하게 맞추어 수박 모종을 심었다. 여러 사람이 달려드니 금세 넓은 밭이 채워졌다.

수박심기를 끝내고 이웃식당 바띠살롱에서 점심을 먹었다. 포비의 채소로 바띠살롱 요리사 타라가 바질페스토파스타를 만들었다. 참가자들은 농사도 배우고 채소도 얻고 맛있는 요리를 먹을 수 있어서 무척 즐거운 시간이었다고 입을 모았고 두 번째 토종교실 일정을 잡았다. 다음 토종교실은 7월 10일쯤 열릴 예정이다.
 
토종교실 마치고 함께 점심 이웃 식당, 바띠살롱에서
▲ 토종교실 마치고 함께 점심 이웃 식당, 바띠살롱에서
ⓒ 류승아

관련사진보기

덧붙이는 글 | 다른 세상을 꿈꾸는 밥차, '밥통'에도 함께 실립니다.


#자연농법#흑수박#포비#토종#토종씨드림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아이들에게 물려줄 지구 걱정에 자급을 위한 농사를 짓고 작은 실천들을 고집하며 산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