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 다큐 프라임 - 포스트코로나 ; 코로나 19이후 세상은 평등해질까>

ⓒ ebs

 
'택배'가 우리 삶 깊숙이 들어와 있다는 사실을 부정할 수 있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하지만 택배 노동자들은 노동자이지만 노동자가 아니다.

복지와 생존권을 외주화하는 '긱이코노미'의 최전선에 놓인 택배 기사들은 코로나19 이후 '생존'을 위협받는 '살인 노동'에 시달리고 있다. 하지만 자영업자인 그들의 생존권은 법의 사각 지대에 놓여있다.  

EBS <다큐프라임> '포스트 코로나 5부:코로나 19 이후 세상은 평등해질까'는 바로 이렇게 코로나19의 사각지대에 놓인 사람들의 이야기를 살펴본다.

지난해 10월 8일 택배기사로 일하던 김원종씨는 배송을 하던 도중 호흡곤란을 호소하며 쓰러졌다.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끝내 숨을 거두었다. 2020년 한 해에만 16명의 택배 기사들이 초장시간 노동으로 세상을 떠났다. 그들은 하루 17~18시간의 살인적인 노동을 했다. 고 김원종씨의 트럭 의자는 헤져있었고, 정리정돈할 시간도 없었던 듯 개인 소지품들이 나뒹굴고 있었다. 닳아버린 신발을 덧대가며 일하던 고 김원종씨.닳고 닳은 신발은 주인을 잃었다. 

7년째 택배 기사로 일하고 있는 김도균씨의 생활도 위태롭다. 이른 새벽 출발한 김씨는 아침 7시부터 분류를 시작, 오후 2시가 넘어서야 첫 배송에 나섰다. 다리를 삐었지만, 엘리베이터가 없는 건물이라 쉼 없이 계단을 오르내리며 물건을 나른다. 병원이 바로 옆에 있지만, 갈 시간이 없다. 켄 로치 감독의 영화 <미안해요 리키>에서 택배 일을 하는 주인공 리키가 다친 몸으로 트럭을 몰고 나가는 마지막 장면은 그저 영화 속 상황이 아니다.
 
 <ebs 다큐 프라임 - 포스트코로나 ; 코로나 19이후 세상은 평등해질까>

ⓒ ebs


 
아파도 쉴 수가 없다. 대신 배송해 줄 사람이 없기 때문이다. 앉아서 편하게 밥 먹을 시간도 없다. 쉬면 쉬는 만큼 퇴근이 늦어지기 때문이다. 평일 물건이 적을 때 하루 200~300개를 배달한다. 추석같은 명절에는 500개까지 늘어난다. 게다가 코로나19로 평소보다 물량이 15% 증가했다. 400개가 넘으면 밤 11시간 넘어야 퇴근할 수 있다. 소득을 유지하기 위해선 과로를 할 수밖에 없는 구조인 것이다. 

택배, 배달업 등은 '필수 노동자군'이다. 코로나19가 닥친 후 사회적으로 이들의 활약이 두드러졌다. 사회가 그들에게 의존하는 비중은 늘어났지만, 그들의 처우는 좀처럼 나이지지 않고 있다. 

배제된 장애인들과 사회적 약자들 

위협받고 있는 건 택배 노동자만이 아니다. 29살 이은혜씨는 빛밖에 보이지 않는 시각 장애인이다. 부천 장애인 일자리 사업의 일환으로 도서관에서 다른 장애인을 도우며 살아왔던 은혜씨에게 코로나 이후의 삶은 더욱 녹록지 않다. 

은혜씨는 외부 일정이 있는 경우 활동 보조 선생님의 팔을 잡는 등 도움을 받아야 하는데 '접촉'이 불가피한 상황이 불안하다. 엘리베이터에는 항균 필름을 붙여 놓아 장갑을 끼고서는 점자 확인이 불가능하다. 맨손으로 더듬어서 확인하는 상황 역시 그의 불안을 가중시킨다. 코로나 방역은 장애인들의 삶을 더욱 어렵게 만들었다. 

이제는 보편적 장치가 되어가고 있는 'QR 코드' 역시 장애인들에게는 그림의 떡이다. 공적 마스크를 판매하던 시절, 약국들은 '마스크가 없습니다'를 종이에 써서 붙여 놓았다. 점자가 아니고서는 읽을 수 없었던 은혜씨는 마스크를 구하는 것조차 쉽지 않았다.

진행성 근이영양증의 정영만씨는 코로나로 인해 병실이 없이 이동을 할 수 없었다. 신체 보조를 받아야 하지만 그조차도 여의치 않아 자가격리를 하던 아내가 방호보조복을 입고 정영만씨를 보살폈다.

장애의 유형별로 도움이 필요한 부분이 다르지만 갑작스럽게 코로나 팬데믹을 맞이한 우리 사회는 장애인들을 위한 배려를 할 시간도 여유도 없었다. 장애인 개개인이 온전히 코로나로 인한 불편은 책임져야만 했다. 그렇게 장애인들은 코로나 방역에서 배제되었다. 보건복지부·질병관리청의 '코로나19 장애인 확진자 현황'에 따르면, 전체 확진자 중 장애인 확진자는 4%였지만 사망자 중 장애인은 20%에 이르렀다.
 
 <ebs 다큐 프라임 - 포스트코로나 ; 코로나 19이후 세상은 평등해질까>

ⓒ ebs

 
취약 계층에 대한 대책이 마련되지 않은 상황에서 사회적 약자들은 온전히 개인적으로 코로나 팬데믹에 맞서야 했다. 그로인해 사회적 약점과 불평들이 적나라하게 드러났다. 

백신 접종을 통한 집단 방역이 가시화되고 있는 이즈음 또 다른 사회적 불평등이 문제되고 있다. 선진국들은 자국 인구 몇 배의 백신을 사들이고 있는 한편에서 최빈국들은 백신을 구하기조차 쉽지 않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코로나를 이겨내기 위해 백신 국가주의를 지양해달라고 호소했다. 전세계가 연결된 현재로선 협력 없이는 코로나를 종식할 수 없기에 가난한 나라에도 백신의 보편적 공급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한다. 

전문가들은 코로나가 끝이 아니라고 말한다. 코로나는 우리 세계에 붙어있던 반창고를 떼는 것과 같은 상황이고, 반창고를 떼고 보니 깊은 상처가 드러났다고 말이다.

지금 우리가 겪고 있는 세계적 위기가 더 나은 미래를 위한 예비 훈련이 되기 위해서는 사각지대에 놓인 노동자들과 배려 받지 못하는 장애인들, 그리고 배제된 가난한 나라와 함께 살아갈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는 것이다.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이정희 시민기자의 개인 블로그(http://5252-jh.tistory.com)와 <미디어스>에도 실립니다.
EBS 다큐 프라임 포스트코로나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