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셈블리

어셈블리 ⓒ kbs2


정도전 신드롬을 불러 일으켰던 사극 <정도전> 작가 정현민의 복귀와 영화배우 정재영의 첫 드라마 출연으로 화제를 모았던 KBS2의 수목 미니 시리즈 <어셈블리>, 하지만 그 화제성은 아쉽게도 시청률로 이어지지 않았다. 첫 회 5.7%를 보였던 시청률은 모처럼 볼만한 정치 드라마란 호평에도 불구하고 2회 만에 4.7%로로 떨어졌다. (닐슨 코리아, 전국 기준)

정도전은 되고 진상필은 안 되는 걸까?

2014년에 방영된 50부작 <정도전>은 그 이전의 사극과는 궤를 달리한다. 일반적으로 역사적 인물을 시대적 사명에 부름 받은 입지전적 인물로 미화시키는데 반해, <정도전>은 고려 말 조선 초 격동기의 역사 속에 '정치'라는 소용돌이 속에 휘말려 명멸해간 인간적 군상들을 적나라하게 그려냈다. 백성을 위하는 마음으로 살신성인의 길을 걸었던 정도전은 막상 권력을 손에 '권력'의 화신이 되어 정권을 유지하는데 혈안이 된 인물로 변모한다. 그는 여전히 자신의 신념을 버리지 않았다고 했지만, 그가 취하고자 하는 신념은 많은 사람들의 희생으로 빛바래져만 갔다. 역사는 그저 명멸하는 '권력'만이 생존할 뿐이라는 걸 '허무'하게 그려냈다.

시청자들은 그 날 것 그대로의 '정치'를 그려낸 <정도전>에 열광했다. 주인공 정도전뿐만이 아니라, 극중 이인임으로 등장한 박영규까지 연말 시상식에서 수상하는 등 시청자들의 관심을 이끌었다.

1년여의 시간이 흐른 정현민 작가는 마치 고려 말 정도전이 현대로 환생한 듯 날 것 그대로의 정치 현장을 되살린다. 드라마 속 정도전이 성균관을 뒤집어 업는 모습은 진상필에게, 화분을 좋아했던 이인임은 역시나 여당의 막강 실력자 박춘섭으로 현현됐다.

이권을 위해서는 나라 따위는 신경도 쓰지 않던 고려 말 권신은 말로는 국민을 위하고 대의를 운운하지만 정치꾼이 되어 야권 후보조차 쟁탈하는 백도현으로 돌아왔다. 여야의 대립으로 각을 세우는 대신 노동 현장의 부당 해고자가 여당 국회의원이 된다는 설정으로 어설픈 논쟁을 피해, 역설적으로 정치의 본질을 드러내고자 한다.

'선거'를 통해 이합 집산하는 정치의 이면을 적나라하게 드러내어 화제를 모았던 <어셈블리>의 성과는 미미했다. 드라마 첫 출연이라는 우려를 씻듯 안정적인 모습을 보인 정재영은 화면을 장악했지만 다수의 선택은 받지 못했다. 일각에서는 첫 회부터 노동자들의 해고 투쟁을 선보여 채널을 돌리게 만들었다는 말도 나왔다. '먹고사니즘'이 판치는 세상에 누가 골치 아프게 노동자가 국회의원이 되는 허무맹랑하면서도 머리 아픈 이야기를 보겠냐는 말도 나름 설득력 있어 보인다.

<어셈블리>의 고전?...속단하기엔 이르다

 어셈블리

어셈블리 ⓒ kbs2


따지고 보면 <정도전>도 처음부터 주목받진 않았다. 일개 성균관 유생이던 정도전이 더러운 권신들의 세상을 참지 못해 똥물을 투척하고 세상을 떠돌 때만 해도 시청률 10%를 겨우 넘는 드라마였을 뿐이다. 그런 의미에서 <어셈블리>의 좌초를 섣불리 운운할 필요는 없을 듯하다. 진상필이 국회로 입성하여 본격적으로 '정쟁'을 벌이기 시작한다면 '정치' 드라마로서 잃었던 시청자들의 관심을 회복할 가능성은 남아있다.

따지고 보면 사람들이 <정도전>에 매료되기 시작한 시점은 이인임과 정도전의 반목이 본격화되면서 부터였기에, 국회로 들어온 진상필이 박춘섭, 백도현과 이념을 넘어선 권력 투쟁을 하기 시작한다면 얼마든지 국면 전환은 가능할 것이다. 그런 면에서 진상필의 면모를 빨리 정리한 건 청신호다. 또한 배우들의 호연 역시 호재다.

이런 가능성과 별개로 전작 <복면 검사>에서 <어셈블리> 2회까지에 대한 시청자 반응은 짚어볼만 하다. 사회 비판적 내용에 대한 외면 말이다. 자기 삶에 몰입한 사람들이 '내 먹고사니즘'이 아니라면 외면하는 즉각적 반응이 무섭다. 인간사 '우리'가 아니고서는 해결되지 않는 세상에 갈수록 '내 먹고사니즘'에의 몰입은 점점 더 사회현실을 논하는 드라마들의 입지를 좁히기만 하니 말이다.

아이러니한 건 '내 먹고사니즘'에 빠져 사는 사람들이 빠져드는 것은 정작 '남의 먹고사니즘'이라는 것이다. 동시간대 <가면>의 자체 최고 시청률(12.2%)에서 알 수 있다. 그것도 다름 아닌 '재벌'들의 이야기. 도대체 살면서 뉴스가 아니고서는 조우할 일도 없는 재벌가의 끝도 없는 이전투구에 사람들이 빠져드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저 재밌다는 말로 설명하기엔 씁쓸한 오늘의 과제다.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이정희 시민기자의 개인블로그(http://5252-jh.tistory.com/)와 미디어스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게재를 허용합니다.
어셈블리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