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회 부산영화제 사회자로 선정된 송강호. 천만 영화 <변호인>에서 부산지역 인권변호사 송우석역을 맡아 빼어난 연기를 선보였다.

영화 한 편을 두고 이념적 갈등은 매번 있어 왔다. <변호인>이 그랬고, 지금은 <인천상륙작전>이 그렇다. 논쟁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소모적인 갈등을 부추기고 논점을 흐트러트리는 이들이 있다. ⓒ NEW


[기사 수정 : 9일 오전 10시 40분]

약 3년 전 나는 영화 <변호인>을 관람했다. 실존인물과는 크게 연관이 없다는 시작 전의 자막에도 불구하고 모두 알다시피 이 영화는 노무현 전 대통령이 겪었던 부림사건에 대해 다루고 있다. 이 영화의 만듦새에 대해 논하려는 것은 아니고, 오히려 당시에 영화 외부에서 일어나고 있던 일에 주목해 보았다.

지난 2013년 10월 30일, <조선일보>의 온라인 뉴스매체인 <조선닷컴>은 단신 기사를 하나 내보냈다. 내용인즉슨, 보통 특급 배우들은 1년에 한 편 정도의 영화에 출연하곤 하는데, 송강호는 한 해 동안 세 편의 영화에 출연하는 걸 보니 급전이 필요한 것 아니냐는 추측이 나온다는 것이다.

"보통 특1급 배우들은 1년에 한편 정도의 영화에 출연하는 정도였다. 때문에 일각에서는 송강호가 '급전이 필요한 것 아니냐'는 추측까지 나올 정도였다. 송강호는 올해만 설국열차와 관상 같은 흥행 대작에 연이어 출연했기 때문이다." - <조선닷컴> '설국열차, 관상 이어 변호인까지... 송강호 연이어 영화출연 "급전 필요한가?"'(2013년 10월 30일) 중에서

<조선일보>는 민감한 주제를 다룬 영화가 개봉할 때마다 항상 이념적으로 판단해 왔다. 정치적으로 자신들과 맞지 않는 영화라면 비난하는 데 힘을 쏟았고, 그 반대의 영화는 찬사를 아끼지 않았다. 내용도 논리적이지도 않은 추측성 보도, 배우 개인 그리고 그 배우를 아끼는 사람이 들었을 때 무례하다고 느낄 법한 이 문장. 다른 곳도 아닌 <조선일보>에서 뱉은 의도가 의아했다.

"비평을 꺼리면 평론가 타이틀 내려놔라"

 영화 <연평해전>의 한 장면

영화 <연평해전>은 그 만듦새 때문에 비판을 받았다. 영화가 재미없는 걸 재미없다고 하는데 왜 '이념'을 들먹이는 걸까. ⓒ ㈜로제타시네마


작년 6월 개봉한 <연평해전>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미디어오늘>의 기사(관련 기사 : 조선일보 '연평해전' 마케팅, 감독이 사장 만나 감사인사)에 따르면, 영화 <연평해전>의 개봉날인 2015년 6월 24일부터 2015년 7월 7일까지 '연평해전'으로 검색되는 <조선일보> 지면 기사·칼럼·사설은 48건인 반면. 같은 기간 <중앙일보>는 18건, <동아일보>는 24건이었다. <경향신문>은 8건, <한겨레>는 6건에 불과했다.

<조선일보가> 이 영화에 가지는 애정을 추측할 수 있는 대목이다. 또한, 김학순 <연평해전> 감독은 방상훈 <조선일보> 사장을 만나 "<조선일보> 덕분에 <연평해전>이 흥행하고 있다"며 감사 인사를 전할 정도였단다.

회사가 특정 영화의 흥행을 적극적으로 독려하며, 이를 칭찬하는 칼럼을 쓰는 배경에는 '이 영화는 온 국민이 당연히 보아야 할 영화'라는 인식이 깔린 게 아닐까. 다른 언론에서는 그렇게 큰 비중을 차지하지 않았던 반면 유독 <조선일보>만 열심히 홍보하고 있었으니 말이다.

<조선일보>의 바람과는 달리, <연평해전>은 만듦새에 대한 비판이 많았다. 영화는 부상한 군인의 모습을 자극적으로 보여주는가 하면, 교과서에 나오는 인물마냥 평면적인 캐릭터들이 나열되면서 높은 점수를 주기에는 망설여졌다. 하지만 이를 무시한 채 '당연히 보아야 할 영화'라는 콘셉트 밀어붙이다 보니 <조선일보>는 개인의 취향 문제를 일방적으로 비난하는 데까지 이르게 된다.

 <조선일보>는 영화 <연평해전>과 관련한 카드 뉴스까지 만들어 이념 논쟁을 부추겼다.

<조선일보>는 영화 <연평해전>과 관련한 카드 뉴스까지 만들어 이념 논쟁을 부추겼다. ⓒ 조선일보


당시 카드뉴스까지 만들어 <변호인> 같은 영화는 칭찬하고 평론을 쓰면서 왜 <연평해전>은 비판만 하거나 관련 글을 쓰지 않느냐는, 거의 '떼쓰기' 수준의 주장을 하기도 했다. 위에서 말한 <조선일보>가 <변호인>을 대하는 방식을 고려하면, 단순히 '이 영화에 칭찬을 안 해주는 이유를 모르겠다'를 넘어서 '당연히 칭찬해야 할 영화에 대해 비판 혹은 침묵하고 있는 당신들을 이해할 수가 없다'라는 평을 하는 것이다.

또한, 당시 한현우 <조선일보> 문화부 차장은 영화 <변호인>이 개봉했을 당시와는 반응이 모순적이라는 점을 들어 "곤욕을 피하려고 일부러 <연평해전> 비평을 꺼리는 것이라면 전문가 타이틀을 반납해야 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개인으로서의 평론가도 얼마든지 영화의 호불호를 나타낼 권리가 있다. 또 때에 따라서는 아무 말 없이 지나갈 권리도 있다. 그런데 한현우 차장은 무슨 권리로 전문가 타이틀을 내려놓으라는 말을 하는 것인지.

 SBS <금요일엔 수다다>의 두 진행자 김태훈과 이동진

<인천상륙작전>을 혹평한 이동진을 향해 일부 누리꾼의 공격이 이어졌다. 사진은 지난 2013년, SBS <금요일엔 수다다>의 두 진행자로 나섰던 김태훈과 이동진의 사진. ⓒ SBS


상황이 이 정도에 다다르다 보니 웃지 못할 일이 일어나기도 했다. <연평해전> 논란 당시, 이동진 영화평론가는 이 영화에 별점 2개를 주고 혹평을 했었는데, 그의 블로그에 많은 누리꾼이 몰려와 갖은 비난을 쏟아낸 바 있다. 한현우 부장의 말처럼 '당신이 평론가 자격이 있느냐'라는 인신공격부터 온갖 욕설까지…. 블로그는 말 그대로 초토화됐다. 과연 이념적으로 판단을 하는 건 어느 쪽인가 생각해 볼 필요가 있을 듯하다. 이동진 평론가가 최근 <인천상륙작전>에 별점 1개를 주자, 비슷한 논란은 또 반복됐다.

그래서 질문을 던질 수밖에 없다. 왜 이렇게까지 해야 하는가? 영화에 대한 취향 문제에 이념적 잣대로 타인에게 시비를 거는 행태가 그리 좋아 보이지 않는다.

"10점 만점에 3점이라니 영화도 아니라는 것"

 홍준표 경남도지사가 자신의 페이스북에 <인천상륙작전>과 관련하여 10점 만점에 3점을 준 일부 평론가들에 대헤 비판했다.

홍준표 경남도지사가 자신의 페이스북에 <인천상륙작전>과 관련하여 10점 만점에 3점을 준 일부 평론가들에 대헤 비판했다. ⓒ 홍준표


최근 개봉한 <인천상륙작전> 논란에 홍준표 경남도지사가 불을 키웠다. 지난달 28일 홍 지사는 그의 SNS에서 "인천상륙작전은 보기 드문 수작이다"라고 칭찬하면서 "그런데 일부 평론가들은 10점 만점에 3점을 주었다고 한다"고 입을 열었다. 그는 혹평을 남긴 평론가들을 비난하는 논조의 말을 이어갔다.

사실 홍준표 도지사가 <인천상륙작전>을 인상 깊게 보았다는 그 자체는 문제가 아니다. 얼마든지 영화에 대해서 다양한 의견을 가질 수 있으니. 오히려 영화에 대해 어떤 의견을 가지고 있느냐로 토론을 하는 것은 영화 감상에 대한 지평을 넓힐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할 만하다.

하지만 자신과 다른 생각을 하고 있다고 해서 이를 비난하기 시작하면 문제가 달라진다. 단순히 '아니 이 좋은 영화에 10점 만점에 3점을 준단 말이야? 그게 말이 돼?'라는 태도는 영화에 대해 서로의 생각을 나누자는 게 아니다. 그저 생각이 다른 사람들을 공격하는, 말싸움하겠다는 태도로 밖에 보이지 않는다. 과연 홍준표 도지사의 태도는 <변호인>과 <연평해전>을 바라보는 <조선일보>의 태도와 얼마나 다를까?

이런 일이 일어나면 '이념적 잣대로 영화를 판단하지 말라'라는 말이 나오곤 한다. 그런데 이념적 잣대로 불필요한 논쟁을 부추기는 쪽은 <인천상륙작전>에 10점 만점에 3점을 준 평론가들이나 <연평해전>을 비판한 사람들이 아니다. 만약 그들이 '어떻게 <연평해전> (혹은 <인천상륙작전>)을 좋다고 할 수 있느냐 말도 안 된다'라며 높게 평가한 이들을 비난했다면, 같은 차원의 잘못이라고 볼 수 있을 테다.

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았다. 그들은 그들의 눈에서 해당 영화를 비판했을 뿐, 이 영화를 지지하는 사람들을 감정적으로 공격하거나 매도하지 않았다. 단순히 다른 생각을 표출했다는 이유만으로 비난의 대상으로 삼는 건 과연 누구 쪽인가.

결국 <변호인>부터 <인천상륙작전>까지, 불필요한 이념적 논쟁을 부추기며 개인의 감상을 깎아내리는 쪽은 누구일까?

#영화 #인천상륙작전
댓글4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꾸준히 읽고 보고 쓰고 있습니다. 활동가이면서 활동을 지원하는 사람입니다.

2014년 5월 공채 7기로 입사하여 편집부(2014.8), 오마이스타(2015.10), 기동팀(2018.1)을 거쳐 정치부 국회팀(2018.7)에 왔습니다. 정치적으로 공연을 읽고, 문화적으로 사회를 보려 합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