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스 히딩크 전 2002년 월드컵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이 14일 낮 암스테르담 한 호텔에서 한국 취재진과 간담회를 갖고 "한국 축구를 위해서, 한국 국민이 원하고 (나를) 필요로 한다면 어떤 형태로든, 어떤 일이든 기여할 용의가 있다"고 말하고 있다.

거스 히딩크 전 2002년 월드컵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이 14일 낮 암스테르담 한 호텔에서 한국 취재진과 간담회를 갖고 "한국 축구를 위해서, 한국 국민이 원하고 (나를) 필요로 한다면 어떤 형태로든, 어떤 일이든 기여할 용의가 있다"고 말하고 있다. ⓒ 연합뉴스


거스 히딩크 감독의 한국축구대표팀 감독 복귀설을 둘러싼 논란이 2라운드로 접어들었다.  히딩크 감독이 최근 모국인 네덜란드 현지에서 한국 기자들을 상대로 인터뷰를 진행한 내용이 알려지며 잠잠해지는 듯한 히딩크 복귀설은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됐다. 특히 논란의 초점은 이제 히딩크 감독과 대한축구협회 사이의 '진실 공방'으로 옮겨가는 모양새다.

히딩크 감독은 지난 14일 유럽 주재 한국 특파원들을 상대로 기자회견을 열고 최근 한국 내에서 논란이 됐던 자신의 한국 A대표팀 사령탑 선임 논란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이 자리에서 히딩크 감독은 "한국 내 대리인을 통해 비공식적으로 대한축구협회에 한국 대표팀 감독직을 맡을 의사가 있다는 뜻을 전달했다"고 인정하며 '복귀 제안'이 사실이었음을 공식적으로 확인했다. 히딩크 감독은 내년 러시아월드컵에서도 "한국 축구를 위해 어떠한 형태로든 이바지할 용의가 있다"고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대한축구협회는 월드컵 최종예선을 통과한 신태용 현 대표팀 감독과 본선까지 함께한다는 방침이 뚜렷하다. 히딩크 감독도 이를 의식한 듯 "현재로선 감독으로는 어렵겠지만 한국 대표팀에 자문을 해주는 상황은 고려해볼 수 있을 것"이라며 가능성을 열어뒀다. 히딩크 감독은 내년 러시아월드컵 본선에서 TV 중계 해설자로서 계약이 되어있다는 사실도 밝혔다.

하지만 히딩크 감독은 언제든 대한축구협회에서 공식적인 제의가 올 경우에는 대표팀을 다시 맡을수  있다는 뉘앙스를 짙게 드러내며 여운을 남겼다. 히딩크 감독은 2002년의 성공이 부담이 되지 않느냐는 질문에 대해서도 "실패할 수도 있으니 위험하다고 꺼리는게 더 나쁜 것이다. 체면이나 명성이 손상되는 것은 두렵지 않다"며 감독직에 대한 강한 의욕을 드러낸 것으로 알려졌다.

히딩크 감독의 갑작스러운 입장표명으로 또다시 상황이 난처해진 것은 축구협회 측이다. 최근 복귀설이 처음 불거진 이후 일부 팬들을 중심으로 히딩크 감독의 영입을 주장하는 목소리가 커졌다. 최종예선 과정에서 드러난 대표팀의 졸전과 축구협회 내부에 대한 팬들의 강한 불신도 한몫을 담당했다.

협회는 그간 히딩크 감독의 복귀 가능성을 강하게 부인하며 월드컵 본선은 신태용 감독 체제로 간다는 방침을 분명히 했다. 하지만 히딩크 감독이 여전히 대표팀 감독직에 대한 여운을 남겨놓은 상황에서 공을 협회에 넘기며 잠잠해져 가던 논란에 또다시 불을 지핀 꼴이 됐다.

일단 히딩크 감독의 인터뷰를 통하여 정리된 핵심 쟁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히딩크 감독이 한국대표팀 복귀에 대한 의지를 먼저 드러낸 것은 진실이라는 점, 그리고 이 제안은 여전히 유효하다는 사실이다.

다만 실제 복귀 가능성을 놓고 축구협회와 히딩크 측간에 과연 얼마나 진지하게 소통이 오고 갔는지는 양측의 입장이 여전히 엇갈린다. 직접 히딩크 감독의 입을 통하여 한국대표팀 감독직 복귀에 대한 관심을 공개적으로 확인한 것은 이날이 처음이지만, 히딩크 측은 이미 국내 재단을 통하여 비공식적으로 축구협회 측과 꾸준히 접촉하면서 의사를 타진해왔다는 입장이다.

김호곤 기술위원장은 최근 히딩크 재단 측 관계자로부터 지난 6월 히딩크 감독의 한국대표팀 복귀를 제안하는 연락을 받은 사실이 있다고 뒤늦게 밝혀 눈길을 끌었다. 김 위원장이 그간 히딩크 측과 아무런 제의나 협상을 주고받은 사실이 전혀 없다고 여러 번 주장해왔기에 자칫 '말바꾸기'라는 지적을 받을만한 대목이다.

하지만 김 위원장의 해명에 따르면, 당시 히딩크 재단 관계자의 연락은 처음부터 정식 협상이 아닌 문자메시지를 통한 '일방적인 제의'에 불과했고 김 위원장 역시 이에 답변할 위치에 있지도 않았다는 것이다.

당시 축구협회는 슈틸리케 감독이 막 경질(6월 15일)되며 사령탑과 기술위원장이 모두 공석인 상황이었다.  당시 축구협회 부회장 신분이었던 김호곤 위원장이 히딩크 측의 메시지를 처음 받은 것이 6월 19일, 이용수 전 위원장의 뒤를 이어 후임 기술위원장에 선임된 것은 6월 28일이었으며, 신태용 감독은 지난 7월 4일 사령탑으로 최종 낙점됐다.

히딩크 측의 제안 자체도 진의 여부가 의심될 만큼 무성의했을 뿐더러 협회 측으로서도 받아들이기 어려운 조건이었다는게 김호곤 위원장의 주장이다. 복귀 제안이 처음 온 6월이 월드컵 본선진출이 확정되기 이전임은 맞지만, 히딩크 측은 일단 '임시 감독' 체제로 최종예선을 통과한 이후 본선에서는 히딩크 감독을 영입해달라고 제안했다는 것. 이 제안이 완전히 히딩크 감독의 본심인지는 알 수 없지만, 한국축구로서는 누가 봐도 상식적으로 받아들이기 어려운 주장이다. 그래서 김 위원장도 애초에 답장조차 하지 않고 무시했다는 설명이다.

양측의 입장이 엇갈리는 부분이 있지만, 적어도 분명한 것은 히딩크 측에서 먼저 그리고 적극적으로 축구협회에 관심을 표시했다는 것. 하지만 협회와 히딩크 감독 당사자 간의 구체적이고 깊이있는 소통은 전혀 없었다는 사실이다. 히딩크 감독의 복귀설을 둘러싼 논란이 처음부터 실체없는 해프닝으로 끝날 수밖에 없었음을 보여주는 장면이다.

히딩크 감독도 자신의 입장을 어느 정도 밝힌만큼 그의 거취를 둘러싼 소모적인 논쟁은 이제 확실하게 정리되어야 한다. 히딩크 감독의 인터뷰가 알려지며 다시 일부에서 그의 한국 대표팀 감독 복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지만, 결론이 바뀐 것은 아무 것도 없다.

한국축구는 이미 신태용을 감독을 선택했고 그와 함께 본선진출을 이뤄냈다. 지금 한국축구에 필요한 것은 신태용호가 올바른 방향으로 갈 수 있도록 적절한 당근과 채찍을 통하여 역량을 올바르게 결집하는 것이다.

만일 히딩크 감독이 아직 한국축구에 '감독'으로 봉사하고 싶다는 진정성이 사실이라면, 굳이 남이 이뤄놓은 본선행에 '무임승차'하기보다는 지도자로서의 노하우를 전수해줄 수 있는 기술 자문으로 남거나, 아니면 차라리 차기 월드컵을 기약하는 게 맞다. 히딩크도 신태용도 모두 한국축구가 소중히 여겨야 할 유산이다. 더 이상 소모적인 논쟁으로 두 감독 모두 여론의 도마에 오르는 상황이 반복되어서는 곤란하다.


☞ 관점이 있는 스포츠 뉴스, '오마이스포츠' 페이스북 바로가기

축구
댓글3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