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시릴 라마포사 남아프리카공화국 대통령,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터키 대통령이 지난 10월 24일 러시아 카잔에서 열린 브릭스 정상회담 기념촬영을 준비하는 모습.
AP/연합뉴스
이 같은 분석과 함께 브릭스에 노크를 한 국가 중에서 '튀르키예'를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위의 첫 번째 관점과 같이 브릭스의 확대를 미국에 대항하는 그 무엇으로 본다면, 미국과 유럽의 군사동맹으로 불리는 나토(NATO, 북대서양조약기구) 회원국인 튀르키예의 선택을 어떻게 볼 것인가.
게다가 튀르키예는 1987년 유럽연합에 가입을 신청하고, 1999년 유럽연합(EU) 가입 후보국이 되었다. 이후 2005년부터 공식적으로 유럽연합과 가입 협상을 시작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의 이번 결정에 대해 서방의 언론들은 튀르키예 행정부의 지정학적인 무게 중심이 유럽에서 글로벌 사우스(비서구권)로 옮겨가고 있다고 평가한다. 과연 그러한가?
튀르키예의 선택은 옳고 그름을 떠나 유럽과 러시아 양쪽으로부터 몸값을 높이는 전략으로 볼 수 있다. 먼저 튀르키예와 유럽과의 관계를 살펴보자. 튀르키예는 유럽통합 초기부터 지속적으로 유럽공동체의 일원이 되기 위해 노력했다. 지도상에서 실제 영토는 유럽보다 아시아에 더 많이 속해 있음에도 튀르키예는 스스로 유럽을 자처하며 유럽의 일원이 되고자 했다. 그러나 정작 유럽 국가들은 튀르키예의 유럽연합 가입에 부정적이다.
그 이유는 크게 2가지다. 첫째, 튀르키예가 유럽연합의 민주주의, 인권 등과 같은 가입 기준에 부합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유럽연합은 회원국 가입 기준으로 '코펜하겐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1993년 합의한 이 기준은 소련의 붕괴 이후 동유럽 국가들이 유럽연합 가입을 논의하기 시작하면서 유럽연합이 세운 것으로, 민주주의, 법치, 인권, 시장경제 등이 핵심이다. 이 때문에 튀르키예는 유럽연합 가입 협상에서 난항을 겪고 있다.
둘째, 종교 문제다. 이는 유럽통합의 역사적 맥락으로, 유럽연합의 대다수 국가들이 기독교라는 종교적 뿌리를 공유하고 있는 반면 튀르키예는 이슬람 국가이기 때문에 유럽연합이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것이다. 특히, 최근 들어 유럽 내에서 더욱 종교적 갈등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하면 튀르키예의 유럽연합 가입 협상은 앞으로도 순탄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튀르키예의 유럽연합 가입에 미온적이던 유럽연합 측이 오히려 이번 튀르키예의 선택으로 적잖이 당황한 듯하다. 유럽 뉴스 전문채널인 유로뉴스는 이번에 브릭스가 새로운 파트너 국가들을 받아들이면서 브릭스의 경제 규모가 유럽연합보다 2.5배가량 크다는 사실을 보도하며 유럽연합이 크게 당황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지난 6월 하칸 피단 튀르키예 외무장관이 브릭스 외무장관 회의에 참석하고 브릭스 참여 의향을 내비치자 유럽연합은 다급해졌다. 피단 장관의 발언 이후 약 2개월 만에 유럽연합은 외무장관 회의에 피단 장관을 초청했다. 이는 유럽연합이 튀르키예와 유럽연합 가입 협상이 중단된 지 무려 5년 만에 처음 있는 일이다.
물론 이번 튀르키예의 선택으로, 튀르키예의 유럽연합 가입 전망이 곧바로 밝아지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적어도 튀르키예가 유럽연합과의 협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한 것은 분명하다. 즉, 이번 선택으로 튀르키예는 유럽연합과의 협상에서 레버리지(지렛대)를 확보한 셈이다.
미국 전술핵 배치된 튀르키예의 러시아... 한국은 뭐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