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마이스타

본문듣기

'잠' 수진의 귓속말... 감독이 준비한 특별한 장면

[리뷰] 영화 <잠>

23.09.21 10:39최종업데이트23.09.21 10:39
원고료로 응원

▲ 영화 <잠> 스틸컷 영화 <잠> 스틸컷 ⓒ 영화 <잠> 스틸컷

 
※ 이 기사는 영화의 스포일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최근 10년간 본 영화 중 가장 유니크한 공포. 봉준호 감독의 유재선 감독 데뷔작 <잠>에 대한 평가다. 유 감독이 <옥자>의 연출부 출신이라는 인연도 있었겠지만 '봉 감독의 10년'이라는 무게감은 단순한 친분만으로 나올 수 없는 호평이다. <잠>은 50억 원의 넉넉지 않은 제작비로도 94분이라는 시간을 알뜰하게 채울 수 있음을 오랜만에 증명한 한국 영화다.
 
첫 딸 출산을 앞둔 현수(이선균)와 수진(정유미). 조연으로 얼굴을 비치는 현수를 뒷바라지하는 워킹맘이지만 수진은 행복하다. 그러던 어느날 잠자던 현수가 벌떡 일어나 중얼거린다. "누가 들어왔어". 그날 이후 현수는 이상해진다. 그는 잠에 들면 마치 다른 사람이 된 것처럼 난동을 부리기 시작하고 수진은 현수가 잠드는 매일 밤마다 공포에 시달린다.
 
<잠>은 3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현수의 수면장애가 나타나고 함께 극복해 가려는 노력을 그린 1장. 딸을 출산한 수진의 신경쇠약이 극에 달한 2장. 현수의 치료를 위해 수진이 극단적 방법을 시도하는 3장. 일반적인 공포영화라면 수면장애를 가진 현수가 빌런이 되어 가족의 행복을 파괴하겠지만, <잠>은 수진에게도 내재적 불안을 심어놓으며 새로운 흐름으로 빠져든다.

둘이 함께라면 극복 못 할 문제는 없다?
 

▲ 영화 <잠> 스틸컷 영화 <잠> 스틸컷 ⓒ 영화 <잠> 스틸컷

 
현수는 가려움증을 느끼며 피가 날 때까지 자기 몸을 긁고 밤중에 일어나 집안을 돌아다니고 갑자기 음식을 섭취한다. 현수는 병원에서 스트레스 때문에 렘수면 상태에서 이상증세를 보이는 수면장애 진단을 받는다. 잠든 사람이 어떻게 저런 복잡한 행동을 할 수 있을까 싶지만, 병원에서 보여준 가이드북에 나온 내용처럼 교과서적인 패턴이다. 의사는 약물치료와 함께 스트레스를 줄이고 깊은 잠에 빠질 수 있는 생활 습관 변화를 처방한다.
 
현수의 직업은 배우다. 뛰어난 연기력으로 가능성은 인정받았지만 현재는 단역을 벗어나지 못하는 상태다. 야간촬영도 불사하지만 수입이 마땅치 않으므로 대기업에 다니는 아내가 만삭의 몸으로 가정경제를 책임진다. 곧 태어날 자녀도 있다. 1장 마지막에 끔찍한 형태로 표출되었지만, 현수가 기혼자 남편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그의 스트레스가 수면장애로 나타났다는 진단에 충분히 공감이 된다.
 
현수에게 가려져 있지만 수진도 마냥 평온한 상태는 아니다. 그녀에게서는 '정상 가족'에 대한 오래된 강박이 보인다. 이유는 모르지만 아버지가 어릴 때 집을 떠났다. 수면장애의 소식을 들은 친정엄마는 이혼 이야기를 꺼내지만 "둘이 함께라면 극복 못 할 문제는 없다"는 가훈을 정한 수진은 단칼에 거절한다.
 
수면장애 탓에 배역을 잃은 남편을 위로하지만 증상은 점점 심해지는 것 같다. 갓난아이를 온전히 믿고 맡길 수는 없다. 이런 사태에도 시댁 식구들은 코빼기도 보이지 않는다. 가정경제와 양육을 책임질 수 있는 사람은 집에서 수진 혼자뿐이다. 점차 악화되는 상황에서 적절한 처방과 치료를 받던 현수와 달리 방치되었던 수진은 결국 악몽을 꾸고 망상에 빠져 정신병원에 입원한다. 현수의 수면장애에서 나오는 돌발행동에만 집중하지 않고 수진의 변화에서 오는 공포로 레이어를 한층 더한다.
 
<잠>의 근원적 공포 '신뢰의 상실'
 

▲ 영화 <잠> 스틸컷 영화 <잠> 스틸컷 ⓒ 영화 <잠> 스틸컷

 
<잠>의 공포는 아직 끝난 게 아니다. 현수, 수진에게서 오는 각각의 공포뿐 아니라 두 사람 사이의 관계에서 오는 공포가 남았다. 가장 가깝고 믿어야 할 사람이 나를 해칠 수 있다는 두려움과 신뢰의 상실, 한 사람의 광기에 영향을 주고받으며 지낼 수밖에 없는 부부라는 설정은 공포에 현실감을 더한다. <잠>의 엔딩을 바라보는 시선에 따라 심리스릴러나 오컬트로 장르에 대한 의견은 나뉠 수 있지만 근원적 공포는 변하지 않는다.
 
감독은 3장에서 이 근원적 공포의 강화를 위해 특별한 장면을 준비한 듯 보인다. 정신병원에서 탈출하고 집안을 부적으로 도배한다. 모든 사건의 원인은 아래층의 할아버지가 죽은 뒤 현수에게 빙의됐다는 프레젠테이션까지 준비한 수진. 놀란 현수에게 수진은 귓속말한다. 정보들이 친절하게 제공하던 기존 톤과 반대로 귓속말은 무음으로 처리되고 관객은 두 사람과 단절된다.
 
수진은 현수에게 무슨 말을 했을까. 이건 틀린 질문이다. 수진은 이미 현수에게 프레젠테이션을 통해 사건 개요를 설명했다. 해줄 게 있다고도 말한 상태다. 따라서 이 귓속말은 할아버지에게 마지막 경고를 했다고 보는 게 더 설득력 있다. 중요한 건 이를 받아들이는 현수의 태도다. 모든 일이 귀신 때문이라고 믿는 수진의 진심이든, 무의식적으로라도 강박증의 원인이 된 걸 해결하고 싶은 마음이었든 부부 사이에 무너진 신뢰를 회복할 수 있는 명분이 주어졌기 때문이다.
 
<잠>에서 수진의 폭력성이 발휘되는 상황은 "둘이 함께라면 극복 못 할 문제는 없다"는 가훈에서 벗어나는 상황이다. 병원에서 의사가 완치를 장담할 수 없다고 하자 수진은 약병을 던진다. 수면장애를 '극복 못 할 문제'로 만든 의사에 대한 분노다. 현수 모르게 굿을 한 것, 자기 혼자 들어간 정신병원은 '둘이 함께'가 아니다. 귓속말 장면을 통해 '가족은 쉽게 포기하면 안 된다'는 그녀의 최후의 소신을 지킬 수 있는 명분이 현수에게 주어진 거다.

몽롱하고 아찔한 저세상 부부클리닉
 

▲ 영화 <잠> 스틸컷 영화 <잠> 스틸컷 ⓒ 영화 <잠> 스틸컷

 
귀신이 진짜였다, 현수의 인생 연기다. 갑작스러운 엔딩을 대하면 고민을 품고 극장을 나올 수밖에 없다. 사실 어느 쪽이든 상관은 없다. 스토리텔링의 대가 로버트 맥키는 <캐릭터> 첫 장에서는 '캐릭터는 사람이 아니다'라고 못박는다. 그에 따르면 캐릭터는 '감정과 의미를 전달하는 인간성의 의미심장하고 매력적인 은유'이며 '스토리의 품 안에 안전하게 안겨서 영원한 삶을 살아갈 운명'을 타고났다. 캐릭터의 행동보다 어떤 감정과 의미를 담았는지 판단하는 일이 훨씬 중요하다.
 
사회에서 자리잡지 못하고 어쩔 수 없이 아내에게 의지해야 하는 남편의 스트레스. 정상 가족에 대한 약간의 강박과 함께 가정경제와 양육을 도맡아야 한다는 아내의 부담감은 의학으로 다루어야 할 수면장애든 아래층에 살던 귀신의 빙의이든 부부 사이에서는 언젠가 터질 수밖에 없는 시한폭탄이다. 부부가 해야 할 일은 참담한 폭발의 현장에서 주저앉는 대신 치유의 단계로 한 발을 내딛는 노력이다.
 
<잠>에서 아내는 섬뜩하지만 최선을 다해 화해의 명분을 만들었고, 남편은 본인의 재능을 발휘해 인생 연기를 펼치든 자아를 내려놓고 경청을 하든 그 명분에 힘을 보탰다. 화면이 암전되면 누군가의 코 고는 소리가 들린다. 서로의 품 안에 안긴 수진과 현수는 오랜만에 안전한 숙면을 취할 것이다. 오늘도 칼로 물 베기 하듯 전쟁 같은 하루를 지나 함께 침대로 올라 한 이불을 덮고 내일을 맞이할 수많은 부부들처럼.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미디어스에도 실립니다.
영화 유재선 이선균 정유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nd in the end. The love you take is equal to the love you make.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