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수원에 위치한 롯데몰과 애경역사
 수원에 위치한 롯데몰과 애경역사
ⓒ 이재라

관련사진보기


"어디로 가야 하는지 헷갈리네요. 처음 와본 사람은 정말 모르겠어요."

수원역사 뒤편 육교 위에서 만난 한 수원시민은 수원역으로 가려면 어떻게 가야 하느냐며 길을 물어왔다. 아기와 함께 오랜만에 쇼핑을 나왔다는 이 여성은 "겉으로 보기엔 육교가 연결돼 보였다"라면서 "다시 돌아가야 한다니 불편하다"라고 말했다.

지난 18일 수원역사 뒤 '끊어진 육교'를 찾았다. 롯데몰은 지난해 8월부터 수원역사와 롯데몰을 잇는 육교를 지었지만, 애경플라자는 육교 연결을 반대했다. 고객 유출을 막으려는 애경플라자와 고객 유입에 힘쓰는 롯데몰의 공방이 5개월 넘게 이어지면서 수원시민들의 불편도 커지고 있다.

수원역대합실에서 롯데몰로 가는 우회로는 3가지이다.
▲ 우회로 수원역대합실에서 롯데몰로 가는 우회로는 3가지이다.
ⓒ 이재라

관련사진보기


약 100m의 직선거리를 두고 벌어진 '육교 공방' 탓에 시민들은 우회로를 이용하고 있다. 수원역사와 롯데몰 사이에 우회로로는 세 가지가 있다. 시민들은 최소 210m에서 멀게는 570m를 우회해 돌아가야 한다. 수원역과 롯데몰 사이에 버스환승센터 공사가 진행되고 있어 우회로 주위는 어수선했다.

시민들은 1번 우회로를 가장 많이 이용했다. 1번 우회로는 롯데몰을 가기 위해 애경플라자 2층 뒤편에 있는 화물용 엘리베이터나 계단을 이용하는 경로다. 애경 역사를 나오기 전까지 안내표시나 안내인은 찾아볼 수 없었다. 

수원역과 롯데몰을 사이에 두고 육교가 10m 남짓 끊겨있다.
▲ 끊어진 육교 수원역과 롯데몰을 사이에 두고 육교가 10m 남짓 끊겨있다.
ⓒ 이재라

관련사진보기


우회로로 롯데몰을 가며 본 육교에는 "육교를 연결하지 못해서 수원시민 여러분께 죄송합니다, 빠른 시일내에 AK(애경) 측과 협의하도록 하겠습니다"라는 현수막이 걸려있었다. 육교로 올라가 보니 내부 통로와 반대편에서 역시 같은 문구의 현수막을 볼 수 있었다.

롯데는 지난해 8월부터 30억 원을 들여 롯데몰과 수원역을 연결하는 육교를 짓기 시작했다. 2013년 말 완공 예정이었던 버스환승센터 건설이 2016년으로 미뤄졌기 때문이다. 하지만 애경플라자는 육교 연결을 허락하지 않았다.

올해 롯데몰 측은 불편함을 제기하는 시민 2000명의 서명을 받아 애경 측에 전달하기도 했다. 애경 측은 버스환승센터가 완공되는 2016년에 철거할 육교를 굳이 연결할 필요가 없다는 입장이다.

수원역사 뒷편
▲ 수원역사 뒷편 수원역사 뒷편
ⓒ 이재라

관련사진보기


수원시와 코레일 측은 두 거대 유통기업의 '육교 싸움'에서 한 발 물러나 있다. 코레일 측에 육교 연결 문제와 관련해 문의한 결과 이와 같은 답변을 들을 수 있었다.

"수원역은 민자 역사로서 한국철도공사가 소유하는 자산(역무시설 공간)과 수원애경역사(주)가 소유하는 자산(역무시설 이외의 공간)으로 구분돼 있으며, 각각의 자산별로 등기절차를 취하고 있습니다. 수원역 서측 보행자 육교와 연결되는 곳은 수원애경역사(주)가 한국철도시설공단에 점용허가를 받아 점용사용료를 지불하는 수원애경역사(주)의 전용사용구간입니다.

따라서 수원역 서측 보행육교 연결을 위해서는 자산소유권자인 한국철도시설공단과 전용사용자인 수원애경역사(주)와 점용허가 취소 여부 등의 관련 협의가 선행돼야 함을 알려드립니다."

수원역을 자주 이용한다는 한 시민은 "가까이 있어도 수원역 대합실과 우회로를 거쳐서 (롯데몰에) 가야 하기 때문에 번거롭다"라면서 "아무쪼록 양 측의 합의를 통해서 시민들의 불편이 해소되면 좋겠다"라고 말했다. 회원 수 2만2000명을 보유한 온라인 카페 '수도권의 중심 수원'에서도 육교 싸움과 관련해 '소비자의 입장에서 불편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덧붙이는 글 | 수원e뉴스 출동!시민기자 코너에 게재되었습니다.



태그:#수원역 육교, #수원역사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