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 지지통신=EPA-=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일본인 납북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북일 정상회담을 강력히 추진하고 있지만 진전이 없다는 일본 언론의 보도가 나왔다.

일본 언론은 22일 고이즈미 준이치로 전 총리의 북한 방문 20주년을 맞이해 북일 관계를 다시 조명했다.

2004년 5월 22일 고이즈미 당시 총리는 북한을 방문해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을 만나 일본의 식민 지배를 사죄하고 북한에 경제 지원 의사를 밝혔고, 북한도 일본인 납치를 인정하고 사과하며 피해자 5명을 일본으로 돌려보냈다. 

"북일, 동남아서 두 차례 접촉했지만... 협상 교착"

<아사히신문>은 일본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작년 3월과 5월 동남아시아 주요 도시에서 북한 조선노동당 관계자와 접촉했으며, 일본 고위 당국자를 평양에 파견하는 방안도 논의됐다"라고 보도했다. 

그러나 "최근에는 물밑 협상이 교착 상태에 빠졌다"라며 북일 정상회담 실현 전망이 불투명하다고 전했다.

다만 기시다 총리는 여전히 북일 정상회담에 대해 강한 의욕을 보이고 있다. 그는 지난 11일 도쿄에서 열린 납북 피해자 귀국 요구 집회에 참석해 "북일 정상회담 실현을 위해 총리 직할 고위급 협의를 진행하고 싶다"라며 "이를 북한에 한층 더 강하게 요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여러 쉽지 않은 현안을 해결하려면 정상끼리 마음을 터놓고 대화하는 관계를 구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라고 강조했다.

일본 정부 대변인 하야시 요시마사 관방장관도 20일 납북 피해자 가족들을 만나 "북한과의 정상회담을 실현하기 위해 총리 직할의 고위급 협의를 진행할 것"이라며 "북한의 납치 인정 유무를 떠나 모든 피해자의 빠른 귀국을 위해 계속해서 전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러시아 도움 받는 북한, 일본과 만날 이유 약해져"

우익 성향의 <산케이신문>도 "20년 전 북일 정상회담을 한 고이즈미 전 총리처럼 기시다 총리도 북한과 극비 협상 채널로 활로를 찾으려는 모습은 겹치지만, 성과를 거둘지는 불투명하다"라고 전망했다. 

이어 "고이즈미 전 총리와 김정일 전 위원장의 만남 이후 북일 정상 간의 접촉은 없고, 납치 문제의 진전도 없었다"라며 "기시다 총리도 납치 피해자의 귀국을 위해 북한 측과 물밑 협상을 벌이고 있지만, 실현에 이르지 못했다"라고 지적했다. 

20년 전 북일 정상회담 준비차 북한을 극비 방문했던 당시 아베 신조 관방 부장관의 비서관 이노우에 요시유키(현 자민당 참의원)는 "북한은 실패를 허용하지 않는 나라"라며 "기시다 총리의 북일 정상회담은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와 관련해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러시아와 북한이 가까워지는 등 국제 정세가 달라지면서 납치 문제 해결을 더욱 어렵게 만들었다"라며 "북한이 러시아의 도움을 받게 되면서 일본과 진정성 있는 협상을 할 이유가 줄어들었다"라고 짚었다. 

북한이 러시아에 무기를 수출해 외화를 벌어들이면서 일본의 경제 지원을 끌어낼 필요성이 약해졌다는 평가다. 

태그:#북일관계, #기시다, #김정은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