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6월 말, 봉하마을에 다녀왔다. 지난해 8월 대통령을 만나 뵙기 위해 처음 찾았던 기억이 떠 올랐다. 날씨가 너무 더워서 나중에 선선해지면 다시 와야지 했었는데 그 두 번째 방문을 조문으로 오게 될 줄이야.

봉하마을 진입로에 들어서자 소나무 숲 사이로 소나무 만큼 들어서 있는 현수막을 보는 순간, 다시 목이 '탁' 하고 막혀왔다. 봉하마을은 아직도 상중이라는 말이 거짓은 아니었다. 정토원에 올랐다가 다시 사저로 내려와 분향소에서 분향을 했다.

노무현 서거 한 달. 그 새 이곳은 노란 리본이 팔랑거리는 그리고 떠나간 대통령을 그리워하는 사람들로 북새통을 이루는 곳이 되고 말았다.
 노무현 서거 한 달. 그 새 이곳은 노란 리본이 팔랑거리는 그리고 떠나간 대통령을 그리워하는 사람들로 북새통을 이루는 곳이 되고 말았다.
ⓒ 정토원

관련사진보기


복분자를 재배하는 하우스 옆길을 지나며 딸내미가 한 마디 한다.

"엄마 우리 작년에 여기서 앉아 있었잖아 그치?"

그랬었다. 여기 앉아 복분자를 보며 이게 복분자가 맞나 안 맞나. 저 앞에 보이는 저 바위는 왜 저렇게 큰지, 이 산엔 웬 바위들이 저렇게 많은지, 여기 보초 서는 저 전경은 서울에 있는 전경들에 비하면 낙원에 있는 거나 마찬가지라며 대통령이 나올 때를 기다리면서 두시간 가까이를 앉아서 그런 저런 수다를 떨었더랬다.

내 딸아이도 기억이 날 정도니 그렇게 오래된 일은 아니었는데, 그 새 이곳은 노란 리본이 팔랑거리는 그리고 떠나간 대통령을 그리워하는 사람들로 북새통을 이루는 곳이 되고 말았다.

노무현 서거 한 달, 일상이 달라졌다

서거 한 달이 지났다. 서거 후 얼마 동안은 아무것도 할 수 없었다. 각종 포털 사이트에 마련된 추모게시판에도 아무 글을 남길 수 없었고, 내가 가지고 있는 미니홈피, 블로그, 내가 가입한 카페… 그 어느 곳에도 대통령의 죽음과 관련된 글들을 적을 수가 없었다. 할 수 있는 건 단 한 가지, 우는 것 밖에 없었다.

그렇게 얼추 보름을 보내고 난 뒤, 닫혔던 내 미니홈피에 '난 노무현을 지독하게 좋아했던 사람 중 하나'였음을 알리는 것을 시작으로 다시 일상으로 돌아왔다. 불치병에 걸렸다가 다시 새 생명을 얻은 기분이 이럴까? 생각하면서.

머릿속에 '우공이산('어리석은 영감이 산을 옮긴다'는 뜻으로, 쉬지 않고 꾸준하게 한 가지 일만 열심히 하면 마침내 큰 일을 이룰 수 있음을 비유한 말. 네이버 백과사전 참고)'이란 고사가 떠올랐다. 노통께서도 여기서 힌트를 얻어 '노공이산'이라 했다 했는데, 참 좋은 말이다. 대통령을 죽게 만든 이 사회의 악들을 내몰기 위해서 난 우공이산이 가지고 있는 철학을 따라가기로 했다. 하나하나 하면서 끝까지 하는. 맘을 그렇게 먹으니 참 할 일이 많았다.

예전엔 인터넷을 해도 댓글 한 번 달지 않았던 나였는데, 요새는 여기저기 댓글 달러 다니느라 바쁘다. 피디수첩 게시판에 가서 격려도 해야되고, 정치포털 서프라이즈에 가서 서명도 해야되고 꼭 가야될 곳을 누군가 링크 걸어놓으면 어김없이 비집고 들어가 항의 댓글을 단다던지, 아무튼 하루에 최소한 한번씩은 뭔가 표현해야 될 것 같다는 생각을 했다. 잘한 사람에겐 잘하라고, 못된 놈들에겐 그만두라고.

또 일하는데 필요한 자료수집 차원에서 만든 개인블로그에 '오늘의 대한민국'이란 주제로 글을 올리고 있다. 나도 나중에 기억이 노쇠해지면 이곳을 보리라. 하루에 몇 명에 불과한 방문자들이지만, 그들에게라도 보여주기 위해 유시민의 시를 퍼오거나, 딴지일보의 정말 재미있는 시국선언문을 옮겨 놓거나, 피디수첩 김은희 작가가 심경을 토로한 기사를 옮겨 놓는다. 적극적으로 알리는 게 필요하다고 생각해서 한 행동들이다. 모르고 사는 게 미덕이 아닌 요즘이다.

어린이집 엄마들과 정치수다 떨게 될 줄이야

뿐인가. 유시민의 시민광장에 가입하고 cms자동이체를 신청했다. 한 달에 만원. 별 거 아닌 돈일 수 있다. 하지만, 우리집은 저소득 가정이다. 저소득 3층. 정치인 혹은 정치를 했던 사람에게 돈을 내보는 건 노무현 대통령 때 저금통 모아본 이후 처음인 것 같다. 또 지역모임 있을 때마다 참석하기 위해 혹시 오늘 번개 없나 하며 돌아다니기도 한다.

집에서 남편과 나누는 대화에도 변화의 바람이 불었다.

"자기네 회사에 <조선일보> 본다는 그 사람 <조선일보> 끊었대?"
"아니 아직 못 끊었나봐. 작년에 끊었다고 했는데 내가 싫어하니까 거짓말 한 거래."
"그래? 뭐 그딴 게 다 있어. 당장 만나지마!!"
"아냐, 그래도 사람은 괜찮은 사람이야."
"그러면 자기가 올 1년 안에 끊는다는 것을 목표로 열심히 좀 해봐. 자기나 나나 우리가 할수 있는 게 그런 거 밖에 더 있겠냐."

어린이집 엄마들과의 수다 주제도 바뀌었다. 예전엔 진짜 '정치'만 빼고 다 이야기했는데, 요샌 정치 이야기를 제일 먼저 한다. 전혀 정치와 무관하게 사는 듯한 엄마들도 다 나름대로의 정견들을 가지고 있다는 것도 서거 이후 첨 알게 된 사실이다.

모두들 '커밍아웃'을 한 것이다. 그러고 나니 표현들도 참 솔직해졌다. 술자리에서 노래를 부르라고 시키면 80년대 운동권 노래들을 부르지를 않나. 한 엄마는 중학교 교사인데, 금요일날 "나 시국선언 했는데 잘리는 거 아냐?" 하면서 들어오더라. 거기서 우린 또 대꾸한다.

"그럼 우리가 또 자기네 학교로 촛불들고 가야 되는 거야? 아~~놔 이거."

별일 없이 살란다, 그게 내 무기다

'다이내믹' 코리아에서 정치적 주제가 얼마나 나날이 새로운지, 엄마들의 수다는 무궁무진하다. 그 과정에서 신문얘기, 방송얘기, 4대강 이야기. 안 나올래야 안 나올 수 없는 이야기들이 오간다. 메신저로 대화하는 일부 엄마들과는 매일 기사를 서로 퍼주고 받고, 성토하고. 

"이 기사 봤어요? 이것들 진짜 미친 거 아냐?"
"대한뉴스 나온대잖아."
"어디서? 진짜? 진-------짜?"

"우리 어린이집에서 부모들 참여하는 소모임 만들라고 자꾸 그러는데 정세토론 하는 거 하나 만들면 어때?"
"누가 올라나?"
"일단 우리끼리라도 하믄 되지 뭐."

"어제 어떤사람 면접보러 왔었는데 NO 했어."
"왜요?
"이명박 좋아하는 거 같아. 말하는 게. 하나님얘기만 하고, 대한민국 얘기만 하고."
"잘했네."
"난 내가 그들에게 차별받으며 살고 있으니까 나도 역차별 할거야. 명박이와 한나라당 좋아하는 것들에게."

적어도 다음 선거때 까지는 이 분위기로 몰고 가련다. 그런데 사실 이런 것들은 늘 있는 일이었다. 아주 극소수였지만, 내가 아는 사람들과는 매일 이런 식의 대화를 했는데 이젠 그런 대화의 장을 이곳저곳으로 넓히고자 한다.

서거 이후 대통령의 죽음 만큼 컸던 충격은 '나는 과연 뭘 하고 살았던 걸까?'라는, 나 자신에 대해 드는 회의였다. 그 회의가 지금은 '나는 과연 무엇을 할까?'로 시제가 바뀌었다. 나는 과연 무엇을 할까?

별 거 안 할란다. 지금처럼 그렇게 살란다. 보고, 듣고, 느끼고, 그리고 제일 중요한 건 그 모든 것들은 나 혼자 가지고 있는 게 아니라, 남들과 얘기하고 나눈다는 것. 난 그거 하나만 하면서 살란다.


태그:#노무현, #우공이산
댓글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4,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