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26일 명절을 앞두고 대놓고 일하지 말라고 했다, 우리가 무슨 죄라고, KCB의 단 1명의 직원 때문에? 아니면 정부의 입막음으로? 우린 당장 실업자로 낙인찍혀야 하나, 그래서 대한민국은 저희한테 어떤 보상을 해줄 건가, 저 또한 개인정보유출의 피해자인 동시에 일도 하지 말라고 통보받아 이중으로 찍힌 피해자다" (다음아이디 dbal****)

카드사 정보유출 사고의 여파가 애꿎은 텔레마케터(전화 상담원)들을 2차 피해자로 만들고 있다. 지난달 26일 정부가 오는 3월까지 전화와 이메일 문자를 통한 마케팅을 전면 중단시키겠다는 방침을 밝힌 이후 최근 각 포털사이트 게시판에는 자신을 텔레마케터라고 밝힌 이들의 하소연이 줄을 이어 올라오고 있다.

정부의 전화영업 금지 조치로 당장 생계에 지장을 받게 된 텔레마케터들은 각종 포털사이트에서 서명운동을 벌이는 한편, 설 연휴가 끝난 후 촛불집회를 예고하고 있어 대규모 사회문제로 비화될 조짐까지 보이고 있다.

기본급 없이 실적에 따라 월급받는 구조... 정부 '고용보장' 강조 비현실적

정부의 조치는 최근 3개 신용카드사에서 발생한 1억여 건의 개인정보 유출을 계기로 국민들의 불안감이 증폭되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단행되었지만, 전화 영업을 주로 하는 보험 텔레마케터와 카드 모집인, 대출 모집인들은 하루아침에 할 일을 잃게 됐다.

금융당국도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금융회사들에 이들의 고용을 유지해 달라고 강력히 주문했다. 지난달 29일 최수현 금융감독원장이 텔레마케터의 고용 불안을 해소하는 방안을 적극 강구하도록 지시한 데 이어, 2일에는 신제윤 금융위원장이 나서 "텔레마케터들의 고용과 소득에 불이익이 없도록 금융회사들이 고용안정을 보장해야 한다"고 강조한 것.

하지만 텔레마케터들이 느끼는 불안감은 여전하다. 상당수의 텔레마케터들이 기본급 없이 실적에 따라 월급을 받는 상황인데, 전화 영업을 못하게 하면서 해고하지 말라는 것은 현실성이 없는 말이라는 것이다.

고용보장 어기는 금융회사에 대한 제재 근거 없어

또 금융당국의 지도와는 달리 고용보장을 지키지 않는 금융회사에 대한 명확한 제재 근거도 없는데다, 당국의 감독권이 제대로 미치지 않는 보험대리점이나 외주 콜센터에서 실제로 텔레마케터 해촉 사례가 빈번한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위원회와 각 금융업권에 따르면 텔레마케팅, 대출 모집, 신용카드 모집 등에 종사하는 사람은 8만 2000여 명이다. 여기에 금융회사 본사 소속이 아니라 소규모 대리점에서 일하는 사람까지 합치면 전체 텔레마케터는 10만 명이 넘을 것으로 추산된다.

다음 아고라에는 '텔레마케터도 대한민국 국민입니다!'라는 제목으로 문아무개씨가 쓴 글이 올라와 있다. 이 글에서 문씨는 "대책도 없이 전화,SMS, 이메일 등 영업행위에 대해 전면 금지조치를 내려 10만 텔레마케터들의 일자리를 하루 아침에 빼앗아버린 정책이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라면서 "유예기간도 없이 단칼에 정책을 펴는 부분을 누가 수긍할 수 있을까요"라고 반문했다.

문씨는 또 "개인정보유출에 책임져야 할 사람들은 따로 있는데 그 몰매를 텔레마케터에게 지우는 것은 이해도 납득도 안됩니다"라며 "빈대 잡으려고 초가삼간을 태우는 격"이라고 비판했다.

텔레마케터 약 1만 명은 오는 6일 오후 금감원 앞에서 한국컨택센터협회 주최로 항의 집회를 열 계획이다.


태그:#텔레마케터
댓글5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김도균 기자입니다. 어둠을 지키는 전선의 초병처럼, 저도 두 눈 부릅뜨고 권력을 감시하는 충실한 'Watchdog'이 되겠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