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Fed)가 양적완화 규모를 또 축소했다.

연준은 18~19일(한국시각) 이틀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열어 월 650억 달러인 양적완화 규모를 다음 달부터 550억 달러로 100억 달러 축소하기로 결정했다.

연준은 경기 부양을 위해 지난 2012년 9월부터 매달 국채 450억 달러와 모기지(주택담보부채권) 400억 달러 등 850억 달러의 채권을 매입하며 유동성을 확대하는 3차 양적완화(QE3) 정책을 유지해왔다.

그러나 경기가 개선 추세로 돌아섰다는 판단을 내리고 지난해 12월 FOMC 회의에서 채권 매입을 100억 달러씩 줄이는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에 착수하며 양적완화 축소를 시작했다.

연준이 세 차례 연속 FOMC 회의에 걸쳐 국채와 모기지 채권 매입 규모를 각각 300억 달러, 250억 달러로 150억 달러씩 줄이기로 하면서 전체 양적완화 규모는 최근 넉 달에 거쳐 300억 달러 감소했다.

하지만 연준은 양적완화 축소가 경기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기 위해 2008년 12월부터 기준금리를 '제로'(0∼0.25%)에 가까운 수준으로 운용하는 초저금리 기조를 당분간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지난달 미국 실업률이 6.7%로 하락해 기준금리 인상의 기준이 되는 목표치(6.5%)에 근접함에 따라 앞으로는 금리 인상 시점을 더 이상 실업률과 연계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또한 연준은 이날 발표한 보고서에서 올해 실업률을 6.1∼6.3%로 전망하며 지난해 12월 발표했던 6.3∼6.6%보다 하향 조정했고, 내년 실업률은 5.6∼5.9%, 2016년은 5.2∼5.6%로 내려갈 것으로 전망했다.

연준은 올해 성장률 전망도 지난해 12월 발표한 2.8~3.2%보다 다소 떨어진 2.8~3.0%로 조정하며 상승폭을 당초 기대보다 낮췄다. 하지만 국제통화기금(IMF)이 발표한 2.8%보다는 약간 높은 수준이다.

회의 첫 주재 옐런 의장 "초저금리 유지할 것"

이날 취임 후 처음으로 FOMC 회의를 주재한 재닛 옐런 의장은 "(기준금리 인상 시점을) 아직 정확하게 밝히기 어렵지만 아마도 대략 6개월 정도 후가 될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그러나 옐런 의장은 "아직 완전고용에 근접하지 못했고, 현재의 고용 수준도 목표에 도달하지 못하고 있다"며 "인플레이션이 심각한 수준이 되지 않는 이상 기준금리 목표치를 올리지 않을 것"이라고 조심스러운 입장을 보였다.

또한 기준금리 인상을 실업률과 연계하지 않는 대신 인플레이션, 경기 전망, 고용 수준, 금융 등 광범위한(broader) 정보를 새로운 '포워드 가이던스'(선제 안내)로 검토하여 금리 인상을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옐런 의장은 최근 우크라이나 사태와 관련해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에 대한 미국 금융의 연관성이나 위험 노출은 크지 않다"며 "하지만 지정학적 리스크가 있기 때문에 이를 주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이날 연준의 양적완화 규모 축소 결정 여파로 미국 뉴욕증시는 하락했다. 다우지수는 전날보다 114.02포인트(0.70%) 하락한 1만6222.17로 거래를 마쳤고, 나스닥지수 역시 25.71포인트(0.59%) 내린 4307.60으로 마감했다.


태그:#연방준비제도, #중앙은행, #재닛 옐런, #FED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