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대통령 자문기관인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가 지난 8일 발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통일의 필요성에 대해 우리 국민 82.1%가 "필요하다"고 답했다고 한다. 국민10명 중 8명이 통일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다는 것이다. 게다가 박근혜 대통령도 경제침체 해법으로 '통일은 대박이다'라는 구호로 사회적 분위기를 조성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 청년들은 통일에 대해 어떻게 생각할까? 청년들의 일상을나누는 팟캐스트 '청춘라떼'에서 책 <새로운 100년>을 중심으로 통일에 대해 이야기해 보았다. '이점장', '풀', '라파', '보드카'라는 별칭을 단 4명의 청년들이 이야기를 나누었다. 20대부터 30대 직장인까지 다양하다.

통일이 귀찮은 나, 비정상인가요?

JTBC 비정상회담 중 한 장면
 JTBC 비정상회담 중 한 장면
ⓒ JTBC

관련사진보기


우선 통일에 관심을 가지지 못하는 현실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다. 왜 통일에 관심을 갖지 못하는 걸까. 첫 번째로 하루살이도 바쁘고 힘든 직장생활을 뽑았다. 지금보다 시간이 많았던 대학생 때는 정치사회 나아가 통일에 대해 관심이 있었지만 직장생활을 시작한 이후로 의식주 빼고는 아무것도 할 수 없어서 '정치사회는 웬 말'이라는 말이 나올 수 밖에 없다고 한다.

둘째로, 통일이 후세대들에겐 이득이 되겠지만 현 세대에게는 세금 인상과 같은 '경제적 부담감'이 먼저 다가온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의견이 갈렸다. 현 세대에 이득이 없진 않다는 것이다. 박 대통령이 말한 '통일은 대박'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후세대가 잘 살게 되면, 현 세대의 노후복지에 도움이 되고. 막상 통일이 되면 대한민국은 무역 중심지로 부상하는 데다 북한개발이라는 새로운 사업이 생기기 때문에 현 세대의 일자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점을 들었다.

통일은 과연 한민족이기 때문에 해야 하는 것일까.

한민족이기 때문에 통일을 해야 한다는 것에 대부분 반대하며, 경제적 이유로 통일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 민족이라서 통일해야 하는 것은 요즘 시대에 진부하고 식상하게 느껴진다"는 반대 의견이 있었다. 예로 EU(유럽연합)를 들며 유럽이 통합한 것은 경제적 이점 때문이라는 것을 강조하였다. 반면, 찬성 입장은 분단으로 인해 발생한 '민족적 상처를 극복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JTBC 톡투유 중
 JTBC 톡투유 중
ⓒ JTBC

관련사진보기


민간교류 활성화가 통일의 첫걸음

먼저 민간교류를 활성화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최소한 금강산 관광부터라도 시작해야 한다고 말하였다. "새터민과 같이 공부할 기회가 있었는데 충격을 받았다. 되게 작은 건데 생각하는 것이 달랐다"고 자신의 경험을 소개했다. 다른 한 사람은 "통일로 가는 길은 비공식적이든 공식적이든 민간교류를 통해 북한 주민의 마음을 얻어야 한다"고 하며 "북한사람들은 남한 드라마를 몰래 입수해서 볼 정도로 좋아한다. 통일을 소재로 한 드라마, 예능프로를 통해 북한 주민들의 마음을 얻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게다가 통일을 이루는 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통일된 이후에도 사회적 혼란을 완화 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장점을 들었다.

통일된 이후를 상상해 보았다. 다들 무엇을 하고 싶을까? 보드카(별칭)는 "통일이 되면 평양에 치킨집을 열어 제 2의 백종원이 되겠다"며 사업에 대한 포부를 밝혔다. 이점장은 "TV를 보면 맨날 북한군 행진만 보여준다"며 불만을 표시하면서 "개성과 개경 같은 역사유적지를 보고 싶다"고 말하였다. 또, '개마고원에서 스키를 타고 싶다', '4대강과 같은 난개발이 북한에 이루어질까 걱정이 된다' 라는 라파와 풀도 있었다.

녹음을 마무리 하며

이점장: 사람들이 어떻게 볼까 겁이 난다. 지금 계속 통일을 해야 한다는 것을 종북·빨갱이로 볼 것이 아니라, 우리가 얻을 수 있는 게 많다. 우리나라 어려운 상황의 돌파구가 될 것이다. 사실 중학교 통일 말하기 대회 때, 통일에 대한 반대로 상을 받았는데… 지금 통일을 말하고 있는 자신이 웃기다.
보드카: 처음이자 마지막 회가 될까 걱정이 된다. '통일을 안 해도 잘 먹고 잘 살지 않을까'라고 생각을 가지고 있었는데 다시 바뀌었다.
라파: 재미있게 이야기하는 데에 빠져들었다. 이런 이야기를 청년들과 어디서 할 수 있을까. 재미있었다. 다른 사람 의견을 듣는 것이 좋았다. 첫 책이 <새로운 100년>이라서 시작을 무겁게 하는 거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도 재미있게 풀어본 거 같다.
풀: '통일을 해야겠다'는 생각은 있는데, 감히 통일 프로세스(과정)이 상상이 안 된다. 지금 통일을 해본 사람이 한 명도 없는데. 부담스러운 마음도 든다. 조금 더 공부해보고 싶다. 재미도 있었고 조금 더 막막해진 부분도 있다.

두 달 후에는 <왜 분노해야 하는가> 장하성 교수의 책으로 청춘 사이다 2화를 할 예정입니다. 

*팟캐스트 <청춘라떼> 듣기: http://www.podbbang.com/ch/9879
*청춘라떼는 평범한 청년들이 말하는 연애, 대학, 취업, 영화 등 청년 공감을 소재로 한 팟캐스트입니다.



태그:#팟캐스트, #통일, #새로운 100년, #청년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