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우리나라 성인은 하루에 섭취하는 수분의 절반 가까이를 물을 통해 얻는 것으로 밝혀졌다.
 우리나라 성인은 하루에 섭취하는 수분의 절반 가까이를 물을 통해 얻는 것으로 밝혀졌다.
ⓒ 푸드앤메드(게티이미지)

관련사진보기


우리나라 성인은 하루에 섭취하는 수분의 절반 가까이를 물을 통해 얻는 것으로 밝혀졌다. 음료류 섭취량은 남성이 여성보다 많았지만, 차(茶)만은 예외였다.

26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호남대 식품영양학과 한규상 교수가 2019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성인 5772명(남 2495명, 여 3277명)을 대상으로 음료와 수분 섭취량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이 연구결과(한국 성인의 음료 및 수분 섭취 현황 -국민건강영양조사 2019 자료를 이용하여)는 한국식품영양학회지 최근호에 실렸다.

연구결과 국내 성인의 하루 총수분 섭취량은 남성 2251g(㎖), 여성 1871㎖였다. 총수분 섭취량은 물·커피 등 각종 음료류·술·음식 내 수분 등을 모두 더한 양이다. 총수분 섭취량 중 물이 차지하는 비율은 51.4%로, 절반을 약간 넘는 정도였다.

우리나라 성인은 한국인의 영양소 섭취기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총수분 충분섭취량의 60%가량을 섭취하는 데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이 들수록 총수분 섭취량과 총 음료 섭취량이 함께 감소했다. 20대 남성의 총수분 섭취량은 2344㎖로, 다른 나이대보다 많았다. 이중 총음료 섭취량은 614㎖로, 물(1245㎖) 다음으로 많았다. 음료 중에선 탄산음료(148㎖)와 커피류(137㎖)를 많이 마시는 것으로 조사됐다. 20대 여성의 총수분 섭취량(1784㎖)보다 500㎖ 이상 적었다. 20대 여성도 탄산음료(102㎖)·커피류(124㎖)를 즐겨 마셨다. 

우리나라 성인은 음료류 중 커피를 가장 많이 마시고(하루 평균 108㎖), 다음은 기타류(65㎖)·우유류(45㎖)·탄산음료(44㎖)·다류(21㎖) 순이었다.

전체 남성의 평균 총 음료류 섭취량(341㎖)은 여성(289㎖)보다 많았다. 여러 음료 중 여성이 남성보다 더 많이 마신 것은 녹차 등 다류(茶類)가 유일했다(여 26㎖, 남 16㎖). 하루 평균 주류(술) 섭취량은 남성이 197㎖로, 여성(80㎖)의 두 배 이상이었다.

한 교수는 논문에서 "체내 수분의 손실이나 수분 섭취 부족으로 인한 탈수는 의식 저하·저혈압·잦은맥박을 유발하고, 구강 내 침의 기능 저하, 신장결석 질환 등을 일으킬 수 있다"며 "특히 신체 기능과 면역력이 떨어진 노인은 탈수에 더 취약하다"고 지적했다.

한편 보건복지부와 한국영양학회는 총수분의 충분섭취량을 나이대별로 달리 제시하고 있다. 20대 남성은 2600㎖(여성 2100㎖), 30∼40대 남성은 2500㎖(여성 2000㎖), 50∼64세 남성은 2200㎖(여성 1900㎖), 65세 이상 남성은 2100㎖(여성 1800㎖)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데일리 푸드앤메드'(www.foodnmed.com)에도 실렸습니다. (저작권 © '당신의 웰빙 코치' 데일리 푸드앤메드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태그:#푸드앤메드, #성인수분, #성인수분섭취, #수분섭취량, #탈수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당신의 웰빙코치 '데일리 푸드앤메드'(www.foodnmed.com)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