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전라북도청
 전라북도청
ⓒ 대한민국역사박물관

관련사진보기

 
전라북도청 공무원 10명 중 7명은 직장 내 갑질을 경험한 것으로 조사됐다.

갑질의 유형은 폭언과 부당한 지시가 대부분으로 우울증이나 자살충동을 느낀다고 답한 피해자도 상당수였다.

전북도청공무원노동조합은 8일 직장 내 갑질 피해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갑질 피해에 대해서는 법률자문을 거쳐 대응에 나설 방침이다.

노조가 지난달 17일부터 28일까지 조합원들을 대상으로 갑질 피해 조사를 진행한 결과 응답자 162명 중 105명(64.8%)이 피해를 경험했다고 답했다.

피해자 73.9% "갑질 심각하다"

갑질의 심각성을 묻는 질문에는 ▲약간 심각 37.9% ▲매우 심각 36.0% ▲보통 13.7% ▲심각하지 않음 12.4% 순으로 답해 대부분이 심각성을 호소하고 있었다.

갑질의 유형으로는 '폭언'(42.6%)과 '부당한 업무지시'(36.9%)가 대부분이었다. 사소한 실수에도 모욕감을 주거나 팀장업무 떠넘기기, 업무 인수인계 방해, 과도한 업무부여, 연가 중 업무지시, 저녁식사 강요, 차별 대우 등의 피해 사례가 집계됐다.

갑질의 가해자는 실무를 총괄하는 팀장급 '5급'(42.9%) 사무관이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또 '4급 이상'(20.5%) 고위직과 '6급 이하'(19.3%), '도의원'(17.4%) 순으로 가해자를 지목해 지위 고하나 직책에 관계없이 만연한 것으로 드러났다.

우울증·자살충동 느끼고도 '참을 뿐'

갑질로 인한 영향으로는 '근로 의욕과 업무 집중도가 하락했다'고 답한 피해자가 절반 이상(56.0%)에 달했으며, '우울증·불면증·자살충동을 느꼈다'는 사례(23.4%)도 적지 않았다.

공직사회 특성상 갑질을 당하고도 '참았다'(67.7%)는 사례가 빈번했고, '동료‧상사 도움'(13.0%)이나 '노조 신고'(4.3%), '감사관 신고'(2.5%) 등 적극적인 대응 사례는 많지 않았다.

반면, 피해자들은 갑질에 대한 전북도청의 대응이 미약하다고 느꼈다.

갑질을 알리거나 신고하고 개선이 됐으냐는 질문에는 대부분 '아니다'(73.3%)고 답했으며 '이직‧휴직'(8.5%)을 선택하는 사례도 있었다.

도가 추진하고 있는 갑질 예방 홍보와 신고센터가 근절에 도움이 됐느냐는 질문에는 '매우 도움 안됨'(26.1%)과 '도움 안됨'(26.1%)이 절반을 넘었다.

상대적으로 '보통이다'(29.2%), '도움 된다'(13.7%), '매우 도움 된다'(5.0%)는 긍정적 답변 비율은 낮았다.

철저한 조사와 후속조치로 '갑질 근절'

피해자들은 갑질 근절 방안으로 ▲처벌 강화 52.8% ▲인사조치 18.6% ▲교육과 인식개선 11.2% ▲익명 및 조기 적발 11.2%을 꼽았다.

노조는 갑질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김관영 전북지사 면담을 통해 근절을 위한 강력한 대응을 주문할 방침이다.

또 연 2회 정기 조사와 갑질신고함 설치를 비롯해 심각한 갑질 피해에 대해서는 조사 후 자문변호사를 통합 법률 대응에 나설 예정이다.

김민재 전북도청공무원노조 사무총장은 "공직 내 갑질을 근절하지 못한다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도민에게 돌아감을 직시해야 한다"며 "갑질을 제보한 공익신고자를 철저히 보호하고 소신껏 일할 수 있는 여건 조성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태그:#전라북도, #김관영지사, #갑질피해, #직장내갑질, #공직사회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신문과 통신 기자를 거쳐 오마이뉴스 광주전라본부 상근기자로 일하고 있습니다. 기사 제보와 제휴·광고 문의는 press@daum.net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