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미등록 이주민을 대상으로 하는 의료비 지원 사업
 미등록 이주민을 대상으로 하는 의료비 지원 사업
ⓒ 화성시민신문

관련사진보기


사단법인 공감직업환경의학센터(이사장 김정수, 이하 공감센터)가 미등록 이주민을 대상으로 의료비 지원 사업을 실시한다. 

사업은 2023년 11월~2024년 10월까지 진행하며, 의료보험 혜택을 받지 못하고 사각지대에 노출되어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경기도 내 미등록 외국인 주민에게 일시적으로 응급 지원해 위급 상황을 신속하게 극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됐다. 

경기도 남부 내 미등록 이주민 (만 18세 이상) 이면 누구나 신청 할 수 있고 500만원 이내에서 의료비를 지원한다. 500만원을 초과하는 경우 심사위원회의 별도 심사를 통해 지원한다. 신청은 협력기관을 통해 신청하면 된다. 

공감센터에 따르면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 주민의 수는 약 226만명이다. 총 인구에서 외국인 주민이 차지하는 비중은 4.4%이다. (행안부'2022년 지방자치단체 외국인 주민 현황') 인구대비 4%를 넘어선 한국은 이민사회에 진입한 나라다. 또한 등록되지 못한 이주민의 숫자도 법무부 통계에 의하면 약 42만명으로 추산하고 있다. 
 
예산이 소진된 이후에도 의료비 지원 문의가 이어졌다.
 예산이 소진된 이후에도 의료비 지원 문의가 이어졌다.
ⓒ 화성시민신문

관련사진보기


김정수 이사장은 "한국사회의 미등록 이주민은 불법이라는 이유로 건강보험에 가입할 수 없다. 건강보험이 없는 미등록 이주민은 적게는 몇십만 원에서 많게는 몇천에 해당하는 의료비 부담으로 제때 치료받지 못하는 현실"이라고 밝혔다. 이어 김 이사장은 "1차년도 1년 사업을 진행했을 때 사업시작 6개월 만에 예산 소진으로 지원 마감됐다. 예산은 소진되었지만 계속된 의료비 지원 문의는 미등록 이주민의 절실한 상황을 보여줬다"고 사업 취지를 설명했다. 
 
미등록 이주민 의료비 지원사업 신청은 협력기관을 통해 하면 된다.
 미등록 이주민 의료비 지원사업 신청은 협력기관을 통해 하면 된다.
ⓒ 화성시민신문

관련사진보기


공감센터는 2022년 11월~ 2023년 10월까지 경기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지원을 받아 경기도 내 미등록 이주민의 갑작스런 부상 및 질병, 사고, 부상, 임신 및 출산 시 건강보험 가입 불가 등의 이유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미등록 외국인 주민들이 건강문제를 해결해 갈 수 있도록 '미등록 이주민 의료비 지원사업'을 진행했다. 68명의 미등록 이주민에게 1억 6275여 만원을 지원했다.

공감센터는 2015년 설립한 이후 무료 이동진료, 화성시 보건소 민관협력 외국인 무료진료 참여, 이주노동자 진료 및 실태조사 사업, 의료비 지원 사업을 지속적으로 진행하며 이주민의 건강증진과 불평등해소를 위해 노력해 왔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화성시민신문에도 실렸습니다.


태그:#화성, #미등록이주민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밑빠진 독 주변에 피는 꽃, 화성시민신문 http://www.hspublicpress.com/

이 기자의 최신기사화성우리신협의 시작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