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고려 말, 근재 안축(安軸)선생이 남긴 경기체가 죽계별곡(竹溪別曲)과, 조선 중엽 신재 주세붕(周世鵬)선생이 남긴 '소백산 유산록(遊山綠)' 가운데서의 죽계수(竹溪水)와  퇴계 이황(李滉)선생이 죽계를 거슬러 올라 초암사-봉두암-돼지바위-석름시봉-국망봉를 둘러보던 길을 나도 따라 걸었다.

죽계 구곡을 알리는 돌비석
▲ 죽계 죽계 구곡을 알리는 돌비석
ⓒ 김수종

관련사진보기


죽계별곡을 지은 근재(謹齋) 안축(1282~1348)선생은 고려 말의 문신으로 본관과 고향은 순흥이다. 해동주자학의 비조인 회헌 안향 선생의 삼종손이다. 신흥유학자 중 한 사람으로 탁월한 재질로 학문에 힘써서 글을 잘 지었다. 문과에 급제하여 단양부 주부를 거쳐, 1324년(충숙왕 11) 원나라 제과에 급제하여 요양로개주판관에 임명되었으나 나가지 않았다.

이후 고려에 돌아와서 우사의대부를 거쳐, 충혜왕 때 강릉도 안렴사가 되어 이때 문집 <관동와주>를 지었다. 1332년(충숙왕 복위 1) 판전교지전법사에서 파면되었다가 전법판서(典法判書)로 복직되고, 그 뒤 내시와의 불화로 파직되었다.

1344년(충혜왕 5) 밀직사지사에 이어 첨의찬성사, 1347년 정치도 감판사로 양전(量田)에 관여하였다. 뒤에 민지가 만든 <편년강목>을 개찬(改撰), 충렬왕, 충선왕, 충숙왕의 실록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경기체가인 <관동별곡> <죽계별곡>을 남겨 문사로 이름을 날렸다.

풍기군수 시절, 죽계수를 둘러 본 후 '소백산 유산록(遊山綠)'을 남긴, 풍기의 역사와 땔 수 없는 대학자인 신재(愼齋) 주세붕(1495~1554)선생은 조선 중기의 문신, 학자이다. 경남 함안 출생이다.

1522년(중종 17) 생원 때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한 뒤 정자(正字)가 되고, 1541년 풍기군수로 나가 이듬해 안향의 사당 회헌사를 세우고, 1543년 주자의 백록동학규(白鹿洞學規)를 본받아 사림자제들의 민족교육기관으로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을 세워 서원의 시초를 이루었다.

그리고 서원을 통하여 사림을 교육하고 또한 사림의 중심기구로 삼아 향촌의 풍속을 교화하려는 목적으로, 재정을 확보하고 서원에서 유생들과 강론하는 등 열성을 보였다. 이후 퇴계 이황선생의 건의로 소수서원의 사액을 받아 공인된 교육기관이 된 뒤 영남사림의 중심기구로 자리 잡았다. 그 후 이를 모방한 서원들이 각지에 건립되었다.

이후 벼슬은 대사성, 호조참판, 성균관 동지사, 중추부 동지사에 이르렀으며, 청백리에 녹선되고, 예조판서에 추증되었다.

〈도동곡〉〈육현가〉등 장가(長歌)와 〈군자가〉등 단가 8수가 전한다. 함안의 덕연서원에 배향되고, 소수서원에도 배향되었다. 저서에 <무릉잡고>, 편서로는 <죽계지> <동국명신언행록> <심도이훈> 등이 있다.

또한 그는 풍기군수로 있으면서, 풍기의 기후, 토양 등을 면밀히 조사 연구한 다음, 소백산 산삼을 논밭에 심도록 하여, 조선 땅에 처음으로 인삼재배를 성공했다. 이후 풍기인삼은 궁궐에 진상되었으며, 오늘 날 '풍기인삼'의 뿌리가 되었다.

마지막으로 역시 풍기군수 시절, 죽계를 따라 국망봉에 올라 '유소백산록(遊小白山綠)'를 남긴 퇴계(退溪) 이황(1501~1570)선생은 예안 출생이며, 조선 중기의 학자, 문신이다.

1523년(중종 18) 성균관에 입학, 1528년 진사가 되고 1534년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1542년 충청도 암행어사로 나갔다가 장령(掌令)을 거쳐 이듬해 대사성이 되었다. 1545년(명종 즉위) 을사사화 때 삭직되었다가 풍기군수를 거쳐 1552년 대사성에 재임되었다.

1554년 형조, 병조의 참의에 이어 1556년 부제학, 2년 후 공조참판이 되었다. 1566년 공조판서에 오르고 이어 예조판서, 1568년(선조 1) 우찬성을 거쳐 양관대제학을 지내고 이듬해 고향에 은퇴, 학문과 교육에 전심하였다.

그는 인간의 순수이성은 절대선(善)이며 여기에 따른 것을 최고의 덕으로 보았다. 그의 학풍은 유성룡, 김성일 등에게 계승되어 영남학파를 이루었고, 율곡 이이 선생의 제자들로 이루어진 기호학파와 대립, 동서 당쟁과도 관련되었다. 그의 학설은 임진왜란 후 일본과 대만에 소개되어 그곳 유학계에 큰 영향을 끼쳤다.

스스로 도산서당(陶山書堂)을 설립하여 후진양성과 학문연구에 힘썼고 현실생활과 학문의 세계를 구분하여 끝까지 학자의 태도로 일관했다. 그의 사후인 1574년에 도산서원이 창설되었고 1575년에 사액서원이 되었다.

단양의 단암서원, 괴산의 화암서원, 예안의 도산서원 등 전국의 수십 개 서원에 배향되었다. 저서에 <퇴계전서>가 있고 작품으로는 시조에 <도산십이곡>, 글씨에 <퇴계필적>이 있다.

죽계구곡 안내판
▲ 죽계 죽계구곡 안내판
ⓒ 김수종

관련사진보기


안축선생이 지어 전체 5장으로 나누어져 있는 죽계별곡은 아래와 같은 내용이다.

一章
竹嶺南 永嘉北 小白山前千載興亡 一樣風流 順政城裏他代無隱 翠華峯 天子藏胎爲釀作中興 景幾何如淸風杜閣 兩國頭御爲 山水淸高 景幾何如     

1장
죽령의 남쪽과 안동의 북쪽, 그리고 소백산 앞에 천 년을 두고 고려와 신라의 흥망 속에도 한결같은 풍류를 지닌 순흥에, 다른 곳 아닌 취화봉에, 임금의 태를 묻었네! 이 고을을 중흥시킨 모습, 어떻습니까? 청렴한 정사를 베풀어 고려와 원나라의 관직을 맡았네, 아! 소백산 높고 죽계수 맑은 풍경, 그 어떻습니까?

二章
宿水樓 福田臺 僧林亭子草菴洞 郁錦溪 聚遠樓上半醉半醒 紅白花開 山雨裏良爲 遊寺 景幾何如高陽酒徒 珠履三千爲 携手相從 景幾何如                      

2장
숙수사의 누각과 복전대 누대, 승림사의 정자, 초암사, 욱금계, 부석사 취원루 위에서, 반쯤은 취하고 반쯤은 깨어, 붉고 흰 꽃이 피는, 비 내리는 산속을 아! 흥이 나서 노니는 모습 그 어떠합니까?, 풍류로이 술꾼들이 떼 지어 아! 손잡고 노니는 모습 그 어떠합니까?

초암사
▲ 절 초암사
ⓒ 김수종

관련사진보기


안축은 죽계별곡을 통하여 고향인 풍기 땅 순흥을 관통하는 죽계의 경치를 읊었다. 1장은 죽계의 지역적 위치와 경관을 담고 있고, 2장은 사찰의 누각, 정자 등을 찾아서 기녀들과 어울려 노는 광경을 다루었다. 3장은 향교에서 글을 배워 유학을 익히고, 철 따라 시를 읊고 음률을 즐기는 광경을 자랑하고, 향교의 스승을 보내고 맞는 광경도 거기 곁들였다. 4장에서 기생들과 어울려 놀다가 헤어져서 멀리 두고 생각을 하는 심정을 읊었으며, 5장에서는 성대를 중흥하여 태평을 길이 즐기는 모습을 묘사했다.

안축, 주세붕, 이황선생이 걸었던 죽계 길은 조금은 달랐지만, 기본적으로 죽계를 따라서 올라가면서 즐기는 계곡의 정취를 노래한 것이고, 글로 담은 것이다. 오늘은 안축의 문재(文才)와 주세붕의 구세제민(救世濟民)사상, 이황의 순수이성은 절대선이라는 철학사상을 생각하면서 세 사람이 걸었던 길을 혼합한 형태로 소수서원의 백운동 취한대(翠寒臺)에서 출발을 하도록 한다.

취한대
▲ 소수서원 취한대
ⓒ 김수종

관련사진보기


취한대는 퇴계선생이 지었다. 취한(翠寒)이란 '푸른 연화산의 산기운과 맑은 죽계의 시원한 물빛에 취하여 시를 짓고 풍류를 즐긴다.'는 뜻으로 옛시 '송취한계(松翠寒溪)에서 비취 취와 차가울 한을 따온 말이다.

취한대 아래에는 유명한 백운동(白雲洞) 경(敬)자 바위가 있다. 백운동이라는 글씨는 퇴계선생의 글씨로 백운동 서원을 의미하는 말이며, 경자는 주세붕 선생의 글씨로 유교의 근본이념인 경천애인(敬天愛人)의 준말이다.

백운동, 경자 바위
▲ 바위 백운동, 경자 바위
ⓒ 김수종

관련사진보기


경자는 원래 바위에 그냥 글씨를 쓴 것이었지만, 단종복위운동에 연루되어 죽계에 수장당한 순흥부 백성들의 슬픈 원혼들이 밤만 되면 울어대어 이를 달래기 위해 붉은 색을 칠한 후 정성스럽게 제사를 지내더니 울음소리가 그쳤다는 이야기가 전해온다. 이때의 경(敬)은 수기필경(修己必敬) 입사필성(立事必誠)의 준말로 구차한 것을 물리치는 것, 사악한 마음을 막는 것의 준말이다.

소수서원(http://www.seonbichon.or.kr)에는 이외에도 입구의 송림군락, 숙수사지 당간지주를 포함한 유물, 주세붕 선생이 지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정자 가운데 하나인 경렴정, 강의실이었으며 사방으로 툇마루를 둘러놓은 것과 배흘림기둥이 좋은 강학당, 고려 충숙왕이 안향선생을 추모하기 위해 그리게 하여 그의 종가에 하사한 선생의 영정으로 현존하는 고려시대 초상화 가운데 가장 오래된 영정과 주세붕 선생, 주희(주자)의 영정이 함께 모셔져 있는 영정각 등이 볼만하다. 물론 이웃에 조선된 선비촌, 소수박물관, 선비문화수련원, 청소년수련관 등도 한번 둘러볼만한 곳이다.

다음은 소수서원과 선비촌 사이 시비(詩碑)공원에 여러 개 있는 죽계별곡 노래 말이 적힌 비석을 차례차례 읽어 보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죽계를 걸으면서 사전에 큰 공부가 된다. 원문과 번역된 글이 같이 있어 읽는 재미가 있다.

죽계 구곡
▲ 죽계 죽계 구곡
ⓒ 김수종

관련사진보기


금성반석 순흥향교를 보러가야 하지만, 최종 목적지 중에 하나인 금당반석의 초암사에 있던 국보 78호로 삼국시대의 유물인 '금동 미륵보살 반가사유상'을 보기위해 소수박물관으로 간다. 금동 미륵보살 반가사유상은 6세기 후반에서 7세기 초반에 만들어진 신라시대의 불상으로 세계적인 명품이다. 금동 반가상 가운데에서는 최고의 걸작으로 알려져 있으며, 앙드레 말로, 버트란트 러셀, 칼 야스퍼스 등 세계적인 석학들이 감동을 했다는 일화가 전한다.

현재 원본은 초암사에 있지 않고, 서울의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영주시와 초암사가 돌려줄 것을 몇 차례 요구하였지만, 이루어지지 않아 몇 년 전 복제본을 만들어 소수박물관에 전시하고 있다. 미리 보고 가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영주관광안내지도
▲ 영주 영주관광안내지도
ⓒ 영주시청

관련사진보기


덧붙이는 글 | 두 번째 글로 이어 집니다.



태그:#죽계별곡, #죽계수 , #초암사 , #주세붕, #안축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