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나한테 학생 대표 선서를 시키려고 하나?' 생각했지. 왜냐하면 모범생처럼 눈동자 하나 움직이지 않고 서 있었거든... 어쨌든 모든 사람들이 보내는 눈길을 온몸으로 느끼면서 어색한 발걸음이지만 뛰다시피 구령대 위로 올라섰어. 그 순간 마치 꺼칠꺼칠한 나무 판때기 같은 게 내 뺨을 세차게 후려치는 거야. - <본문 9쪽>

그날은 '관의'의 중학교 입학식이었다. 게다가 초등학교를 졸업하고 일 년을 쉬었다 한 입학. '관의'의 뺨을 세차게 때린 판대기는 다름 아닌 선생님의 손이었다. 몸집 좋은 '관의'가 입학식 체벌 본보기 학생으로 선택된 듯 싶다. 선생님이 학년 첫날 아이를 잡는 모습은 우리 경험 속에서도 많이 있다.

새로 나온 책 <열다섯, 교실이 아니어도 좋다>에 나오는 이야기다. 이 책의 글쓴이는 초등학교 교사인 최관의다. 글쓴이는 자신의 어려웠던 청소년기 이야기를 솔직하게 책에 담았다. 중학생 아이들을 둔 나는 이 책에 호기심이 생겼다.

서울에서 시골로 이사 온 관의네는 농사를 지어야 했지만, 일손이 부족했다. 관의네 식구는 엄마와 관의 그리고 어린 여동생뿐이었다. 관의 역시 농사를 지어야 했다. 그래서 관의는 힘겹게 들어간 중학교를 석 달을 다니고 더는 못 다니게 된다.

비 오는 어느 날 밤 인적 뜸한 관의네 집에 비구니 스님이 찾아온다. 하룻밤을 묵어간 스님은 고마운 마음에 식구들의 앞날을 살펴봐 준다.

"아들 딸 모두 갈 길이 있어. 지가 갈 길을 간다니까. 지금 내가 이 말 하면 믿지 않을 건데 아들은 공부해서 먹고살 거야."

나 참, 이 말을 듣는 순간 내가 얼마나 황당하던지. 내가 공부를 해서 먹고산다니, 속으로 '이건 말도 안 돼. 성적표 받으면 양이랑 가가 수두룩하고 어쩌다 미가 한두 개 있는 내가 공부해서 먹고 살거라니'하고 코웃음을 쳤지. - <본문 27쪽>

책 <열다섯, 교실이 아니어도 좋다>를 아이에게 읽어줬습니다.
 책 <열다섯, 교실이 아니어도 좋다>를 아이에게 읽어줬습니다.
ⓒ 강정민

관련사진보기


그래서 관의는 스님이 가짜가 아닐까 생각했다. 형편이 어려워서 중학교도 다니지 못하는 관의가 어떻게 공부를 해서 먹고 살게 될까? 어떤 의인을 만나게 될까? 그런 궁금증으로 책을 읽어 나갔다.

관의네는 일꾼이 없어서 논도 갈지 못하고, 남들이 다 하는 모내기도 못 하고 있었다. 모내기를 마친 논이 많아질수록 관의의 속이 타들어 갔다. 그런데 어떤 할아버지가 관의를 불렀다. 할아버지는 소를 빌려주겠다며 논을 갈 줄은 아냐고 물었다. 관의는 배우면 할 수 있다고 냉큼 대답했다.

중2밖에 안 된 아이를 믿고 귀한 소를 빌려주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다. 관의 또한 할 수 있다고 말은 했지만, 소를 다치게 하면 어쩌나 덜컹 겁이 났다. 지게를 지고 할아버지를 따라가면서 쟁기질을 잘할 수 있을지 고민했다. 아니 그것보다 무거운 쟁기랑 써레를 잘 짊어지고 집에 올 수 있을지 겁이 났다. 막상 해보니 써레랑 쟁기를 지게에 지고 일어서는 것이 어렵지는 않았다. 할아버지 덕분에 관의네는 어렵사리 모내기를 마칠 수 있었다.

나는 낙담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주변의 도움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관의네 이야기가 흥미로웠다. 아이들을 앉혀 놓고 이 책을 읽어 주었다.

관의네는 비료를 사야 했다. 비료를 사려면 퇴비장에 퇴비량을 어느 정도 쌓아야 했다. 그래서 관의는 열심히 퇴비를 만들려고 온종일 풀을 베러 산으로 돌아다녔다. 아무리 새벽부터 나가서 풀을 베어 와도 다른 집 퇴비량에 비할 바가 못 됐다. 비료를 못 사면 농사를 망치게 될까 걱정됐다. 실망하고 있을 때 소를 빌려줬던 할아버지네 형이 찾아왔다.

형은 나무를 베어서 아래에 단을 쌓고 그 위에 풀을 올려 퇴비를 높이 쌓는 방법을 알려주었다. 관의네만 모르고 있었지 다른 집도 다 그렇게 한 거다. 하루 만에 퇴비량을 맞출 수 있었다. 그래서 비료를 살 권리를 얻었다. 하지만 비료를 살 돈이 없었다.

관의는 돈이 없어서 걱정만 하고 있다가 돈을 빌려줬던 집에 찾아가 보기로 마음을 먹는다. 비가 억수같이 오는 날 비료 포대로 우의를 만들어 입고 세 식구가 나섰다. 먼 길을 걸어갔다. 비를 맞고 찾아갔지만, 그 집도 돈을 갚을 형편이 아니었다. 관의는 점심을 토할 것만 같았다. 그 길로 돌아서 집으로 왔다. 눈물을 흘리면서. 어린 동생은 돌아와서는 며칠을 앓아 누었다. 힘들게 퇴비를 만들었지만, 비료 살 돈을 구하지 못해 비료를 사지 못했다. 그때 관의는 뜨거운 눈물을 흘렸다. 얼마나 속이 상했을까?

겨울이 되자 서울에서 형과 누나랑 지내던 아버지가 시골로 오셨다. 겨울엔 내다 팔 것이 없어서 나무를 해다 팔기로 했다. 소를 빌려서 마차에 나무를 싣고 장에 나갔다. 나무 장작을 다 팔고 돌아오는 길에 아버지는 막걸리는 마셨다. 밤은 깊었고 관의는 술에 취한 아버지가 걱정이 되었다. 아버지가 넘어져서 다치면 어쩌나? 아버지가 소를 잘 못 몰아서 소가 다치면 어쩌나? 빌린 소를 다치게 하면 배상할 돈도 없을 텐데... 관의뿐만 아니라 책을 읽는 나도 그런 마음이 들었다. 그런데 다행히 별일 없이 집에 잘 들어갔다. 집에 가니 엄마는 밤이 늦도록 돌아오지 않는 식구를 걱정하고 있었다.

그 뒤에도 씩씩한 관의의 흥미로운 도전이 계속된다. 서울로 이사를 온 관의는 할 일이 없어 심심했다. 구들 놓는 일을 하는 아버지가 도와줄 일꾼을 쓴다는 말을 들었다. 관의는 일꾼에게 줄 일당이 아까웠다. 그래서 일꾼 대신 아버지를 따라 나섰다. 일을 부탁한 주인 집에 가서 점심을 먹는데 주인집 아들이 학교에서 돌아왔다. 그런데 그 학생이 바로 초등학교를 같이 다녔던 친구였다. 얼굴을 알아본 친구와 인사를 나누었지만, 대화가 계속될수록 점점 더 난처해졌다. "학교를 왜 그만두었느냐?"로 시작된 질문들. 그래도 관의는 씩씩하게 밥을 다 먹었다. 언제나 관의는 당당했다. 친구 어머니는 공사비를 아버지에게 줄 때 관의 용돈을 따로 챙겨 주었다. 친구 어머니처럼 관의의 기특한 모습을 보면서 도움을 주는 어른들이 많았다.

'관의의 도전과 모험은 언제 어떻게 끝날까?'

이런 궁금증 덕분에 단숨에 책을 읽을 수 있었다. 올해 열다섯 살이 되는 우리 집 둘째는 교실에서 한 치도 못 벗어나는 삶을 산다. 그래도 아이는 내가 들려준 관의 이야기가 재미있다고 웃는다. 교실 밖에 배울 것은 더 많은데 다른 삶을 보여주지 못해서 아이에게 미안한 마음을 항상 가지고 있었다. 그런데 마침 이런 책이 나와서 참 다행이다.


열다섯, 교실이 아니어도 좋아

최관의 지음, 보리(2014)


태그:#보리출판사, #최관의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