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때 이르게 나왔다는 MB의 회고록이 연일 가십거리처럼 떠돌고 있습니다. 4대강 사업에 대한 반성은커녕 금융위기 극복에 도움이 되었다 운운하는 망발을 했다 하지요. 염치란 말을 생각지 않을 수 없게 만드는 화법입니다.

그래서일까요? 지난 1월 다녀온 일본 아라세댐 철거 현장을 가장 먼저 보여주고 싶은 이가 MB였습니다. 감사원 4대강 감사결과가 나와도, 정권이 바뀌어 총리실의 4대강 조사평과위원회의 결과가 나와도, 반성은커녕 자화자찬 일색인 MB가 과연 아라세댐 철거 현장을 보고 무슨 말을 할지 궁금했기 때문입니다.   

4대강 사업 자찬하는 MB가 꼭 봐야할 현장

지난 2013년 가을 대구 동성로에서 있었던 4대강 국민고발 인증샷 놀이의 한 장면
 지난 2013년 가을 대구 동성로에서 있었던 4대강 국민고발 인증샷 놀이의 한 장면
ⓒ 정수근

관련사진보기


그렇습니다. 이제 4대강 사업은 누가 뭐라 해도 실패한 사업임이 판명 났습니다. 천문학적인 혈세를 쏟아부어 오히려 강 생태계를 망쳐놓은 결과를 초래한 게 4대강 사업입니다. 이는 정부 기관의 조사결과에서도 나온 '정설'입니다. 그 결과 강은 점점 죽어가고 있습니다. 녹조는 매년 점점 더 심각해지고 있고, 큰빗이끼벌레라는 낯선 생명이 출현했습니다. 기생충과 바이러스, 곰팡이류까지 들끓으며 물고기들이 죽어나가고 있습니다.

'4대강 재자연화'가 반드시 필요한 이유입니다. 빨리 4대강 보를 허물고 강을 원래의 모습으로 되돌려 놓아야 합니다. 더 늦기 전에, 하루라도 빨리 강의 흐름을 되돌려야 놓아야 강이 살고, 인간이 살고, 이 땅이 되살아납니다.

'이제 댐의 시대는 지났다'는 모토로 댐 반대운동을 펼치고 있는 '댐백지화연대' 활동가들과 함께 이웃 나라 일본에서 4대강 재자연화의 필연성을 느끼고 왔습니다. 4대강 보만한 아라세댐이 철거되면서 그곳을 흐르는 구마가와강이 어떻게 변해가는지 똑똑히 목격하고 왔습니다. 죽었다 다시 살아나는 '부활'의 메시지를 읽고 왔다고나 할까요. 지금부터 아라세댐 철거의 현장으로 함께 들어가보겠습니다.

아라세댐 철거 현장에서

역사의 현장까지 가는 길은 참 멀었습니다. 비행기로 기차로 그리고 다시 버스 타기를 반복하고 난 후 일본 전통 료칸에서 일박을 했습니다. 그리고 그 다음 날인 1월 25일 우리 일행은 비로소 아라세댐 철거 현장에 다다를 수 있었습니다. 

구마가와강 물줄기 지도 사진. 세토이시댐과 아라세댐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구마가와강 물줄기 지도 사진. 세토이시댐과 아라세댐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 츠루 쇼오코

관련사진보기


일본 큐슈의 구마가와강(일본 3대 급류로 구마모토현 남부를 흐르는 길이 116㎞, 유역면적 약 1880㎢인 1급하천으로 야쓰시로 해(海)로 흘러들어가고 있음)으로 가는 그날은 봄날처럼 포근한 날이었습니다.

한국으로 치면 제주도보다 약간 더 아래쪽에 위치해 있어서 그런지 봄이 벌써 찾아온 듯했습니다. 들판에 풀꽃이 벌써 싹을 띄웠고, 맑은 강물은 시원하게 흘러가고 있었습니다. 예년 같으면 강물이 흘러가는 것은 상상할 수 없는 모습이었다고 합니다.

댐이 허물어져 막힌 강에 시원한 물길이 만들어졌습니다. 강물 또한 얼마나 신이 날까요? 덩달아 기분이 좋아지는 풍경입니다. 2012년부터 시작한 아라세댐 철거는 아직 절반밖에 완료가 안 됐을 정도로 천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일본 최초로 철거되고 있는 아라세댐. 댐의 오른쪽 절반이 해체됐다.
 일본 최초로 철거되고 있는 아라세댐. 댐의 오른쪽 절반이 해체됐다.
ⓒ 정수근

관련사진보기


해체되고 있는 아라세댐. 역사의 현장이다.
 해체되고 있는 아라세댐. 역사의 현장이다.
ⓒ 츠루 쇼오코

관련사진보기


"2018년까지 철거 공사를 한다. 은어의 산란에 영향을 주지 않고 공사를 계획하고 있기 때문에 공사 기간이 길어졌다. 1950년대 당시 건설할 때는 1년 10개월 만에 만들었다. 높이 25미터, 폭 210미터의 댐이다. 초기에는 이 지역 필요 전력 수요의 16%를 감당했지만, 지금은 0.7%로 떨어져버렸다. 전력 수요가 떨어지면서 철거 결정에 이를 수 있었다."

우리 일행의 안내를 맡은 이 지역 주민이자 아라세댐 해체 운동을 하고 있는 환경운동가 츠루 쇼오코(65)씨의 설명입니다. 그의 설명에 따르면 1950년대 당시, 이 지역에서 은어 조업하는 어부만 2000명에 이르렀다고 합니다. 그만큼 은어가 많고 유명했다는 것이죠. 그러나 댐이 들어서고 난 이후 지금은 2~3명으로 급감했다고 합니다. 은어가 거의 없다는 것이지요. 

"은어는 산란을 위해 하류로 내려가야 하는데 댐으로 막힌 물길을 뚫고 내려갈 수 없으니 (은어가) 줄어들 수밖에 없다."

츠루 쇼오코씨의 설명입니다. 비단 은어만이 아닐 겁니다. 강에서 살아가는 수많은 생명들의 생태계가 댐에 의해서 단절돼 버린 것입니다.

심각한 댐 퇴적토 문제

아라세댐 철거 현장을 뒤로 하고 새로 태어나고 있는 구마가와강 상류를 향해 올라갔습니다. 그런데 그곳에서 댐의 심각한 비밀을 하나 얻게 되었습니다. 바로 퇴적토 문제입니다. 댐이 담수를 시작하게 되면 가장 먼저 생기는 게 퇴적토라고 합니다. 그것들이 쌓이고 쌓여 결국엔 댐의 용량마저 잠식해 더 이상 물을 저장할 수 없게 됩니다. 아라세댐이 철거된 이유 중 하나도 심각한 퇴적토 문제였다는 군요.

엄청난 양의 퇴적토가 쌓여 있는 아라세댐 상류 구마가와강 바닥의 모습이다.
 엄청난 양의 퇴적토가 쌓여 있는 아라세댐 상류 구마가와강 바닥의 모습이다.
ⓒ 정수근

관련사진보기


여기서 영주댐 문제의 해법을 하나 얻게 됩니다. 영주댐도 가장 중요한 문제가 모래와 토사입니다. 댐을 만들어도 댐으로 계속해서 모래가 흘러들어가기 때문에 댐의 수명이 길지 못한 것입니다. 그래서 유사조절댐이 영주댐 상류에 조성 중인 것이지요.

영주댐 상류의 내성천도 상황이 정말 심각합니다. 지금 담수 이후 이용하게 될 도로를 닦는 공정 중인데 곳곳에서 흙이 흘러내리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이면 댐을 만들어도 그 수명이란 것이 뻔할 것이므로 아니 하니만 못한 공사를 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것도 국보급 하천 내성천을 망치면서까지 말입니다.

세토이시댐의 수문이 활짝 열려 있다. 은어들이 오르내리는 철이면 수문을 활짝 열어놓는다고 한다
 세토이시댐의 수문이 활짝 열려 있다. 은어들이 오르내리는 철이면 수문을 활짝 열어놓는다고 한다
ⓒ 정수근

관련사진보기


아라세댐 상류에는 또 다른 댐이 하나 더 있습니다. 세토이시댐인데요. 그 댐은 1958년에 준공했다 합니다. 그런데 2004년부터는 매년 12월 중순에서 다음 해 2월 중순까지 수문을 열어둔다 합니다. 퇴적물이 너무 많다는 중앙정부의 판단 때문이라고 합니다. 퇴적물 때문에 수문을 열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이지요. 환경운동가 츠루 쇼오코씨가 말하는 아라세댐 철거의 필연적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수해 원인을 없애기 위해서다. 둘째, 강물을 깨끗하게 하기 위해서다. 셋째, 댐 때문에 갯벌에 공급되는 모래도 차단됐다. 갯벌에 흙과 모래를 공급해줘야 한다. 넷째, 은어는 산란을 위해 하류 기수역으로 내려가야 한다. 여름에 홍수 시 수문을 열 때만 은어가 내려갈 수 있다. 어류가 내려가야 산란할 수 있다. 그동안 장어, 민물 게, 반딧불이 등이 사라졌다."

맑은 물길을 되찾은 구마가와강의 지류 시다라기가와강. 아라세댐이 담수했을 때는 참가자들이 서있는 곳까지 강물이 차 있었다 한다
 맑은 물길을 되찾은 구마가와강의 지류 시다라기가와강. 아라세댐이 담수했을 때는 참가자들이 서있는 곳까지 강물이 차 있었다 한다
ⓒ 정수근

관련사진보기


댐은 지류에도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구마가와강 지류인 시다라기가와강은 아라세댐에서 2킬로미터 떨어진 상류에 있는데, 댐을 담수했을 때는 이 지류까지 물이 차는 등 영향을 받았다고 합니다. 아라세댐이 허물어지고 있는 지금은 강물이 맑고 아름다운 자연하천의 모습으로 돌아와 있었습니다. 정말 아름답게 흐르는 강이었습니다.

댐은 오히려 홍수 피해를 키운다

구마가와강을 탐사하고 있는 우리 일행을 보고는 또다른 한 주민이 찾아오셨습니다. 그는 이 지역의 아라세댐 해체 운동 주민단체 대표를 역임했던 혼다 스쓰무(80)씨입니다. 그는 지난 시절 기억의 토막을 토해 놓았습니다. 

"1950년대 당시는 (이 지역에) 은어잡이 외에는 산업이 없었다. 어른과 아이들 모두 은어잡이 일을 했다. 그러다가 댐이 지어졌는데, 당시에는 아라세댐 건설공사 일도 했다. 패전 후에 일이 없었기 때문에 닥치는 대로 일을 할 수밖에 없었다. 그 후에는 시내서 물건을 떼어 와서 장사를 했다. 지금도 그 일을 하고 있는 셈이다."

이 지역 주민들과 구마가와강이 얼마나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는지를 단적으로 알게 해주는 증언이었습니다. 그리고 그는 댐이 들어서고 난 뒤 오히려 홍수 피해란 말이 생겼다고 했습니다.

"1955년 댐 건설 10년 후 큰 홍수피해가 있었다. 그 전 홍수에서는 집들의 침수는 다소 있었지만 피해는 없었다(물길을 충분히 예상할 수 있기 때문에). 그런데 댐을 짓고 나서는 오히려 큰 피해를 입었다. 그때부터 이 댐이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게 됐다. 전에는 비록 약간의 침수 피해는 입었지만 은어를 잡아 생계를 이을 수 있었다. 그러나 댐 건설 이후엔 피해만 입게 됐다. 당시 국가에서는 댐이 생기면 '관광자원이 된다, 전기요금 깎아준다, 홍수도 예방된다'고 하면서 주민들을 설득했다."

아라세댐 준공 10년 후 발생한 홍수피해 현장
 아라세댐 준공 10년 후 발생한 홍수피해 현장
ⓒ 츠루 쇼오코

관련사진보기


4대강 사업을 강행한 한국 정부가 국민들을 설득한 논리와 그대로 판박입니다. 그러다 문제가 생기면 피해를 증명하라며 국민에게 책임을 전가합니다. 일본도 마찬가지로 1965년 수해 당시 주민들이 구마모토현에 항의하니, 그들은 자연재해라며 발뺌했다고 합니다.

그러다 1968년 또 홍수피해를 크게 입게 되었고, 50가구가 집단적 행동을 시작하게 됩니다. 이것이 아라세댐 철거운동의 시작이었다고 혼다 스쓰무씨는 설명합니다. 그 후 변호사와 함께 소송도 시작했고, 어촌계에서도 댐 철거운동 제안이 있었습니다.

여기에 물을 이용하게 해달라고 요구하는 새로운 모임이 만들어지면서 본격적인 싸움을 시작하게 됐다고 합니다. 물론 댐을 유지하자는 이들도 있었다고 합니다. 그러나 같은 지역민이라 대립은 크지 않을 거라는 믿음이 있었고, 그들은 조직적이지도 못했다고 합니다.

4대강 재자연화, 꿈이 아닌 현실

혼다 선생이 철거되어 흐르고 있는 구마가와강을 내려다 보고 있다
 혼다 선생이 철거되어 흐르고 있는 구마가와강을 내려다 보고 있다
ⓒ 정수근

관련사진보기


"구마가와강이 흐르는 모습을 볼 수 있어 고맙다. 그런데 공사를 좀 빨리 끝냈으면 좋겠다. 과거 구마가와강에는 콘크리트 제방이 없었다. 그게 이전과 가장 큰 차이다. 이곳은 은어의 가장 좋은 어장이었다. 모래톱도 아주 발달했었다. 그때의 모습을 빨리 보고 싶다."

지난 40년의 소회를 묻는 질문에 혼다씨는 담담히 소감을 말했습니다. 아라세댐이 철거된다고 구마가와강이 바로 온전히 예전 모습을 돌아갈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상류의 세토이시댐도 해체해야 하고 또 맨 하류의 요우하이보와 하구둑인 구마가와보 문제도 해결해야 합니다. 그래도 가장 문제가 됐던 아라세댐이 허물어지면서 은어들이 다시 돌아오고 예전 모습을 되찾아가고 있습니다. 재자연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셈이지요.

아라세댐이 허물어진 구마가와강에서 대한민국의 4대강의 미래를 생각합니다. 댐이 사라지면 시나브로 자연이 되살아납니다. 물고기가 돌아오고, 사람이 돌아오고, 지천이 되살아납니다. 4대강 재자연화, 꿈이 아닌 현실입니다. 아라세댐 해체 현장에서 그것을 확신하고 돌아옵니다.

댐의 시대는 끝났다. 댐백지화연대 소속 활동가들과 일본 현지 활동가들
 댐의 시대는 끝났다. 댐백지화연대 소속 활동가들과 일본 현지 활동가들
ⓒ 정수근

관련사진보기


덧붙이는 글 | 이 글을 쓴 정수근 기자는 대구환경운동연합 활동가로 4대강 사업 현장을 기록해오고 있습니다. 이 글은 지역 인터넷매체 평화뉴스에도 함께 게재할 예정입니다.



태그:#4대강사업, #MB, #아라세댐, #4대강 재자연화, #홍수피해
댓글8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산은 깎이지 않아야 하고, 강은 흘러야 합니다. 사람과 사람, 사람과 자연의 공존의 모색합니다. 생태주의 인문교양 잡지 녹색평론을 거쳐 '앞산꼭지'와 '낙동강을 생각하는 대구 사람들'을 거쳐 현재는 대구환경운동연합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