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 은평시민신문

관련사진보기


가수 이지상이 6집 앨범 '나의 늙은 애인아'를 우리 앞에 내놓았다. 이번 앨범에는 '천천히 순하고 뜨끈하게' 가자는 그의 이야기가 담겨있다. 치열했던 지난날의 삶을 넘어 서로가 서로의 능선이 되어 설운 삶의 고갯길을 넘어가자는 단 하나의 사랑과 악수하기 위해 두 손의 온기는 남겨두자는, 그래서 생의 미련이 다하는 그날까진 서툰 나의 발걸음을 멈추지 않겠다는 그의 고백이 담겨있다. 지난 9일 서울 은평구 역촌동 그의 작업실에서 이지상의 음악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 5년 만에 6집 앨범 '나의 늙은 애인아'를 발매했는데 요즘 근황은 어떤지, 이번 음반에서 중점을 둔 부분은 무엇인지 궁금하다. 
"콕 집어서 하나만 말하기는 어렵다. 우리 일이 그렇지 않나? 밥을 먹고 나서 콕 집어서 어떤 반찬 하나가 맛있었냐는 질문에 대답하기 어려운 것처럼. 노래를 하고 앨범을 내는 건 내 안에 있던 에너지를 풀어내는 과정인데 그러려니 내 안에 있는 게 무엇인지 더 고민하는 시간을 보냈다. 이제는 좀 쉬고 싶다는 생각도 드는데 내 뒷목을 잡는 우리 사회의 여러 분위기를 보면서 쉽게 그러지도 못하고 그냥 사람들하고 같이 공생하면서 살아가는 방법이 뭘까 고민하며 지내고 있다."

- 이번 앨범에 수록된 '나의 늙은 애인아'를 들으면 '아, 나도 이렇게 늙어가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볕 좋은 지방 위, 순한 고양이처럼 늙어가야겠다는 생각이. 이 노래는 어떻게 만들어 졌는지? 
"전에 정선 아라리문학축제에 참여했는데 거기서 최광임 시인이 쓴 시가 눈에 들어왔다. 나는 늙기 시작했고 나의 늙은 애인이 늙기 시작했다는 걸 인정한다는 게 어려운데 그 구절을 보면서 나도 이제 그런 거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나도 뾰족하게 살았는데 젊은 시절을 되돌아보게 됐다." 

- 이지상님은 전혀 안 뾰족한 분 아닌가? 
"나도 속으론 뾰족하다(웃음). 지난날 반독재, 반인권시대에 대항하면서 살다 보니 나도 뾰족해졌다. 삶의 방법이 꼭 대치되는 것만 있는 건 아니라는 걸 살면서 느끼게 된다. 인생이 한 판 싸움이라고 보면 대척점에 있는 사람들은 늘 있게 마련이다. 내가 선하다고 생각하는 부분에 반대편에 악이 존재할 수밖에 없다. 그런 구분조차도 희미해질 때를 기다리지만 정말 숙련되어야 하는 일이고 나에게 거슬리는 부분도 순하게 받아들일 수는 없을까 그런 고민을 하던 차에 그 시가 내 마음에 들어오면서 노래가 만들어졌다." 

- 이번 앨범에 '윤치호에게 쫓겨난 소녀'라는 곡이 실렸다. 소녀는 정말 윤치호에게 쫓겨났나? 
"실화를 바탕으로 한 노래다. 당시 독립운동가들이 어려우니까 그래도 개화파라는 명목을 갖고 있으니 양심은 있겠지 했는데 그런 취급을 받았다."

- '저 나무-시베리아 동토에 새긴 이름들' 곡에서는 '김 알렉산드라, 계봉우, 이상설 등 대학 도서관 한 구석에 박혀 남쪽의 역사에서 사라진 사람들'에 관한 이야기가 나온다. 이 곡은 가사도 직접 썼는데 이들을 기억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고향에 돌아오지 못하는 고려인들, 중국 동포들, 재일 조선인들에 대한 관심으로 처음 연해주를 방문했다. 그런데 거기서 정말 이 분들의 이름이 하나씩 나오는데 아, 정말 너무 죄송하지 않나? 독립을 위해서 저렇게 노력한 이들이 있는데 그런 뿌리를 전혀 기억 못하면서 지금 우리는 화려한 삶을 자랑하는 데만 급급한 거 아닌가 한다. 저라도 기억해보고 싶었다. 그 시대에 자신을 희생했던 이들, 목숨을 내놓은 이들을 기억하고 추모하고 싶었다." 

 
ⓒ 은평시민신문

관련사진보기



- '그 쇳물 쓰지 마라'는 노래는 들을 때마다 눈물이 난다. 우리나라는 경제성장을 이룬 나라인데 지금의 노동현장을 보면 안타까운 순간이 많다. 그래서 이 노래는 옛날 얘기가 아닌 거 같다. 
"사람은 어떤 경우에도 이렇게 죽으면 안 된다. 이러려고 태어난 사람 없다. 우리가 공동체를 지향한다고 보면 우리 사회에서 어떤 사람들이 더 힘들게 사는가를 기억하는 게 우리 몫이다. 이렇게 아픈 사람들이 많고 죽어나가는 젊은이들이 많은데 GDP가 얼마니하며 화려한 얘기만 하는 게 정상적인 건 아니다." 

- 아프고 슬픈 노래인데 어떻게 울지 않고 노래를 부를 수 있는지 궁금하다.
"우는 것 때문에 노래를 못한 일이 꽤 된다. 예전에는 노래를 해야 하는데 반주만 하고 시작을 못한 일도 많았는데 그건 내가 정말 싫더라. 독하게 마음먹고 부르면 할 수 있다(웃음)." 

- 음악을 시작하게 된 계기는?
"중1때부터 기타를 쳤다. 군대 다녀와서 복학 했는데 기타 칠 사람 없다고 해서 노래패 장하라고 해서 하고 우리과 노래패가 잘 되니 다른 과도 만들고 단대노래패도 만들고 그렇게 기타 치다보니 어느새 졸업이었다. 당시에 통일노래한마당에 작곡해서 나갔는데 또 우리팀이 상을 받고 대학노래패에서 활동한 친구들이 모여 활동하다보니 그게 조국과 청춘이 됐고 그 때 만든 노래가 또 인기를 얻으면서 음악인생이 이어졌다. 

그 때는 대학을 졸업하면 공장이나 시민단체 등에 투신한다는 개념이 있어서 나도 2년 정도는 뭐라도 하자고 노래마을에 들어갔다. 근데 이게 망하지 않고 잘 되네, 그럼 어떻게 나오나? 대부분은 하던 일이 망할 때 나왔는데 쉽게 나온다는 말은 못하고 남들이 다 떠난 다음에 나오는 게, 그게 내 젊은 시절이었다. 먹고 사는 일도 중요해서 음악으로 할 수 있는 일은 다했다."

- 음악 하기 잘했다 싶은 때는 언제인가? 
"제 노래를 모르는 사람이 태반이다. 한 3천 명 정도 알까?(웃음) 그런데 제 노래로 위안을 받았다는 사람들이 있다. 보람된다고 말하기도 그렇고 뿌듯하다고 말하기도 그렇고 사실 여전히 힘든 작업이다. 나는 성과주의자가 아니다. 내가 뭘 했다, 얼마나 했다 그런 건 크게 관심이 없다. 그냥 그런대로 대견하다 정도라고 할까?"

- 이지상에게 음악이란 무엇인가? 
"저는 동상이나 기념비를 보면서 불편할 때가 많다. 훌륭한 말만 써놓으니까. 내 음악도 좋았던 거 싫었던 거 등 다방면이 있는데 뭐라고 규정하는 건 부담이다. 그래도 음악을 삶으로 알고 산다고 하는 정도이다. 무엇보다 음악은 내게 밥이다. 맛난 밥 아니어도 꾸준히 음악 할 수 있게 힘주는 흰쌀 한 톨이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은평시민신문에도 실렸습니다.


태그:#이지상, #나의늙은애인아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은평시민신문은 은평의 시민들이 함께 만들어가는 풀뿌리 지역언론입니다. 시민의 알권리와 지역의 정론지라는 본연의 언론사명을 지키고 실현하기 위해 정확하고 공정한 보도로 진실을 추구하며 참다운 지방자치와 풀뿌리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