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지난달 23일 충남 태안군 근흥면 신진항에서 발생한 어선 31척 화재와 관련, 인양 작업이 늦어지며 2차 피해 우려가 나오고 있다. 

최근 피해 현장에는 바닷물 온도가 상승해 침몰된 어선에서 경유가 유출되기 시작했다. 신진항 전체에 매캐한 기름 냄새와 유막이 형성되고 있으며 관광객 발길도 끊겼다.

인근 어민들은 또 다른 피해를 막기 위해서라도 신속히 화재 어선을 인양해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하지만 화재 피해 어민들은 구체적인 피해대책 없이는 인양 동의서를 써줄 수 없다는 입장이다.

신진항 침몰 22척 인양작업 '난항'

중부지방해양경찰청 합동수사단은 지난달 23일 충남 태안군 근흥면 신진항에서 발생한 31척 어선 화재의 원인이 안강망 어선 S호의 선실에서 발생한 '전기 누전'으로 결론 내렸다. 이후 합동수사단은 S호의 기관장 A씨 등 관계자들을 과실 혐의 등으로 입건해 수사하고 구속영장 청구를 검토하는 등 수사에 주력하고 있다.
  
이번 화재 피해 어선은 모두 30척으로, 이중 22척은 신진항 내에 침몰된 것으로 추측된다. 관계기관은 지난 5일 발화 어선 S호를 이틀간 우여곡절 끝에 인양해 신진항 바지선에 거치시켜 놓았다.
  
해양수산부는 침몰 어선 22척의 인양 예산으로 국비 8억을 태안군에 배정했다. 여기에 충남도와 태안군의 지방비 2억 등 총 10억의 예산으로 인양 작업에 들어갈 예정이다. 하지만 실제 인양에 들어가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지난 8일 오전 11시 태안군은 가세로 군수와 주요 핵심 관계자와 피해민 등 2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피대위 사무실 앞에서 인양 관련 브리핑을 진행했다. 이 자리에서 피대위 고문 K씨는 "피해민들에 대한 대책 없이 선박 인양을 시도한다"며 강력히 항의하며 "화재 피해를 입은 피해민들보다 인근 상가나 어촌계 등 2차 피해민들의 목소리에만 신경 쓴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태안군이 조속한 피해선박 인양을 제안했지만, 피해민들은 실질적 대책 없이는 피해선박 인양 동의서를 써줄 수 없다고 거부해 브리핑이 중단됐다. 사고 발생 17일이 지나도록 어선의 인양 일정도 합의되지 않아 신진항뿐만 아니라 인근 근소만의 어촌계까지 피해가 확산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어선화재사고이후 인적이 끊긴 신진도 어촌계 수산물 시장
 어선화재사고이후 인적이 끊긴 신진도 어촌계 수산물 시장
ⓒ 신문웅

관련사진보기

 
지난 5일 이후 서산수협 안흥위판장과 신진어촌계 수산물 코너에는 상인 2~3명만 보일 뿐 외지인은 아예 볼 수 없었다. 꽃게와 주꾸미 등이 본격 조업에 돌입했지만 신진항에는 침몰 어선의 경유 냄새와 불탄 어선의 잔해가 합쳐져 관광객들의 발길이 끊겼다.  

안흥 위판장에서 만난 한 상인은 "기름 냄새가 진동해 머리가 아플 정도라 손님도 없어 문을 닫는 날이 많다"며 "가뜩이나 장사가 되지 않는데 이번 화재로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 하루 빨리 선박을 인양해야 한다"고 호소했다.
     
신진도 어촌계, 신진도 부녀회 등도 조속한 인양 작업을 촉구하는 펼침막을 태안군청 입구 등에 게시하고 나섰다. 한 상인은 "바다의 안전과 2차 피해를 막기 위해서라도 빨리 인양작업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다른 상인도 "인양이 늦어지면 기름 유출로 신진도 인근 9개의 양식장과 갯벌에 큰 손실이 생기며, 어민 생계에 위기가 올 것"이라며 "화재 피해 어민들의 마음을 다 헤아릴 수는 없겠지만 2차 피해가 오면 신진도 어민 모두가 어려워져 다시 일어설 수 없는 곳이 될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충남 태안군청 정문  도로변에 신진도부녀회가 선박 인양을 촉구하는 펼침막을 내걸고 2차 피해를  막아줄것을 촉구하고 있다.
 충남 태안군청 정문 도로변에 신진도부녀회가 선박 인양을 촉구하는 펼침막을 내걸고 2차 피해를 막아줄것을 촉구하고 있다.
ⓒ 신문웅

관련사진보기

 

덧붙이는 글 | 바른지역언론연대 태안신문에도 실립니다


태그:#신진항 어선 화재, #초동대처 미숙논란, #태안군, #태안해경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지방자치시대를 선도하는 태안신문 편집국장을 맡고 있으며 모두가 더불어 사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