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 양산역이 내년 1월 개통된다.
최용호
“양산역(梁山驛, Yangsan Station)은 경상남도 양산시에 있는 부산 지하철 2호선의 역이다. 역번호는 243번이다. 부산 지하철 2호선 3단계 구간의 첫 번째 구간인 호포~양산 구간의 종착역으로 이후 신기~북정 간의 2구간은 양산시와 부산시 간의 논의가 진행 중이다. 양산역의 개통 시기는 2호선 3단계(양산선)의 시운전이 모두 완료된 2008년 1월이다.”포털사이트 ‘다음’에서 제공하는 백과사전에 나오는 ‘양산역’에 대한 설명이다.
백과사전에서도 양산역의 개통시기를 2008년 1월로 못박고 있는 걸 보면 이제 한 달 후면 양산에도 지하철이 들어올 모양이다.
티격태격, 오락가락하며 양산시민들의 애를 태워온 부산지하철 2호선 양산선. 양산신도시 조성사업이 지연된 탓에 아직 지역생활권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증산역~남양산역 구간은 당분간 정차하지 않고 그대로 통과하게 돼 일단 개통이 되더라도 반쪽짜리 운행에 불과하다.
그럼에도 양산시민들이 지하철 개통을 그토록 바라는 것은 지하철의 편리성 때문이다. 빠르기는 말할 것도 없고 차량이 끝없이 밀리는 출퇴근시간이라도 거침없이 달릴 수 있어 바깥나들이가 한결 수월한 것이 바로 지하철이라는 교통수단이다.
그런데 요즘 들어 지하철 개통이 양산에 득이 되는 것만은 아니라는 주장을 제기하는 사람들이 적잖다. 길만 뚫는다고 능사가 아니라는 것이다.
지난 3월 양산을 찾았던 경제전문가 엄길청 박사는 “양산지역에 지하철이 개통되고 나면 모든 분야의 역외유출이 가속화되고 대도시 경제종속의 촉매제 역할을 할 수도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지하철 개통이 양산에 순기능 보다는 역기능이 될 수도 있다는 얘기. 그러면 어떤 역기능이 있을까?
▶대규모 전학사태와 지역경제 역외유출 우려 지역 교육계 인사들은 한결같이 “가뜩이나 우수인재들이 부산으로 빠져나가서 걱정인 판에 지하철이 개통되면 학부모들이 살기는 양산에 살면서 주소지는 부산으로 옮겨 자녀들을 부산으로 전학시킬 것이 불을 보듯 뻔하다"며 지하철 개통을 반기지 않고 있다.
어디 전학사태뿐이겠는가. 일상의 소비생활에서부터 문화, 레저, 스포츠 등 생활전반의 움직임이 부산으로 쏠릴 가능성이 높다. 이리되면 양산의 산업과 경제에는 매우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공연한 엄살이 아니다. 고속철도가 개통된 이후 서울로의 이동시간이 한 두 시간 거리에 있는 지역의 병의원과 유통업계가 타격을 입은 경우를 보면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심지어는 부산의 의료소비자들도 지역병원을 외면하고 KTX로 서울의 대형병원을 찾아가는 일이 빈번하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