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워지기를 기다리는 달집(대전 무수동).
안병기
아직도 생생하게 살아있는 대보름날의 추억오늘은 대보름날이다. 한 해가 새로 시작 돠고나서 맨 처음 맞는 보름이라서 대보름이다. 그래서 한자로는 보름날 중에 으뜸이라는 뜻이 있는 상원(上元)이라고 쓴다. 엊그제가 설날이었는데 설을 쇤 지 벌써 보름이 지난 것이다.
아마 매스컴이 앞장서 떠들지 않았다면 오늘이 보름날인지도 몰랐을 것이다. 이렇게 시큰둥하게 말하지만, 나이 들어 점점 흐려져 가는 기억 속에서 어린 날에 지냈던 대보름 명절은 여전히 즐거운 추억으로 남아 있다.
어린 내가 정월 대보름날을 기다렸던 것은 시루에 쪄낸 찰밥을 실컷 먹을 수 있기 때문이었다. 설 명절이 '꼬까옷'을 얻어 입을 수 있어 좋았다면, 정월 대보름날은 밥을 배불리 먹을 수 있어서 좋았던 것이다. 일 년 내내, 삼시 세 때 줄창 꽁보리밥만 먹다가 쌀밥을, 그것도 그냥 쌀밥이 아닌 찰밥을 마음껏 먹을 수 있었으니 얼마나 좋았겠는가.
대보름날 전날엔 밤엔 쉬 잠을 이루지 못했다. 할아버지께서 "보름날 밤에 잠을 자면 눈썹이 하얘진다"라고 잔뜩 겁을 줬기 때문이다. 밤이 깊어지면 잠이 쏟아져 저절로 눈이 감겼다. 잠들지 않으려고 눈꺼풀에 찬물을 적시기도 하고 처마 끝에 달린 고드름을 대기도 하는 등 무진장 애를 썼지만 헛일이었다. 세상에 잠 이기는 장사가 어디 있는가. 나도 모르게 스르르 잠이 들면 고모들은 눈썹에다 쌀가루나 밀가루를 발라 놓았다. 그러고 나선 " 거울 봐라, 네 눈썹이 하얘졌다"고 놀리곤 했다.
대보름날 아침에는 눈을 뜨자마자 땅콩이나 호두 따위를 깨물었다. 이른바 '부럼'을 까는 것이다. 부럼이란 '부스럼'의 준말이다. 부럼을 까는 이유는 피부에 종기나 부스럼이 나지 말라는 뜻이다. 우리 어려서만 해도 목욕을 잘 안 해서 그런지 피부병이 아주 많았다. 어른들은 데우지 않은 술을 마셨다. 귀가 밝아진다는 '귀밝이' 술이었다.
더위를 팔려고 동네 고샅을 돌아다니기도 했다. 아침 해가 뜨기 전에 동무를 만나서 이름을 불러 "응"하고 대답하면 '내더위'라고 소리친다. 이렇게 여름을 팔아 버리면 여름에 더위를 타지 않는다는 것이다. 더위를 팔려다가 되레 동무에게 선수를 빼앗겼을 땐 얼마나 분했던가. 낮에는 뒷동산으로 올라가 '액연(厄鳶)' 을 띄웠다. 얼레에 감긴 연실을 모두 풀거나 끊어서 멀리 날려 보내면 액땜이 된다고 했다.
밤엔 동네 아이들이 다 모여서 쥐불놀이를 했다. 깡통 속에 솔방울이나 관솔을 넣어 불을 지피고 나서 빙빙 돌리면 불꽃이 원을 그리며 밤하늘을 아름답게 수놓았다. 그러다가 깡통에서 불똥이 쏟아지기라도 하면 머리카락과 옷을 태우기도 했다. 어떤 때는 불똥이 산자락에 옮아붙어 산불로 번지기도 했다, 그럴 땐 온 동네 사람들이 달려들어 소나무 가지를 꺾어서 휘둘러서 불을 껐다.
특별히 정월 첫 쥐날(上子日)에 쥐를 쫓는다는 의미로 논밭 둑에다 놓는 불을 가리켜 쥐불놀이 또는 쥐불놓이라 불렀다.
어린 시절의 기초환경으로부터 나아간다고은 시인의 시 '대보름날'은 그런 대보름 풍속을 사실적으로 그려낸 시다. 이 시는 1986년에 첫걸음을 시작한 <만인보> 시리즈 1권에 들어 있다. 시인이 <만인보>라는 시의 대장정을 시작하면서 "우선 내 어린시절의 기초환경으로부터 나아간다"라고 천명한 대로 시 '대보름날'은 고은 시인의 '기초환경', 즉 유년시절의 추억을 쓴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