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목동 누나 집, 우로부터 시인 박광배, 오우열, 윤재걸, 김이하그 집에 살가운 사람이 밀물지고 있었네
이종찬
그 마을에 사랑이 사네 그 집에 사람이 밀물지네이 세상 사람들은 잘 모른다네스님들도 불전처럼 드나들고 목사들도 예배당처럼 오가고가난한 시인들이 제집처럼 사는그 마을 면목동 그 집 삼겹살이라도 굽는 날이면 여기저기 전화 걸어 소주라도 한 잔 먹여야 응어리가 풀리는 그 누나 기어이 며칠 밤 묵고 가게 만드는 그 형그 집에 우리가 모르는 세상이 있네그 술에 시인도 모르는 시가 눈 깜빡이고 있네
-이소리, '면목동, 그 집' 모두 '사람이 물에 빠지면 살기 위해 지푸라기라도 잡는다'고. 사람이 이 모진 세상을 살다 보면 몹시 어려운 때를 당하는 때가 더러 있다. 이 세상 모든 것을 깡그리 잃어버린 것처럼 그 눈물겹고 힘들 때 내가 붙잡아야 할 그 '지푸라기' 하나라도 없다면 얼마나 서럽고, 얼마나 깊은 절망에 빠져 허우적거리겠는가.
'지푸라기' 하나가 물에 빠진 나를 건져줄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그 '지푸라기' 하나가 있어 절망의 늪에 빠져서도 끝까지 희망을 버리지 않을 수 있지 않겠는가. 정말 어려움에 빠져 헤어나지 못하고 이리저리 낙엽처럼 뒹굴 때 언제든지 다가가 마음 놓고 기댈 수 있는 그런 기둥이 있다면 절망 따위도 바람 앞에 티끌처럼 날아가 버리지 않겠는가.
사람은 흔히 큰 어려움에 빠지게 되면 가장 먼저 떠올리는 게 가족이다. 가족에게는 이런 저런 긴 말을 하지 않아도 쉬이 도움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게 가족이 내미는 큰 도움을 받고도 계속 어려움에서 헤어나지 못한다면 그 다음으로 어쩔 수 없이 손을 내밀게 되는 곳이 늘상 살갑게 지내는 가까운 벗들일 것이다.
예로부터 가까운 사람과는 돈 거래를 하지 말라고 했다. 돈 거래 때문에 그동안 참 좋았던 사이가 자칫하면 '원수'로 바뀔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는 내가 어려울 때 가족이나 벗에게 "언제 언제까지 갚으마" 하며 돈을 빌렸다가 제대로 일어서지 못하고, 빌린 돈을 제 때 갚기 못할 때 일어나는 큰 상처이다.
하지만 간혹 '원수'가 되기도 하는 가족과 가까운 벗보다 더 살가운 가족도 있다. 내가 어려움에 빠질 때마다 언제나 따스하게 도와주는 가족 아닌 가족, '살붙이'가 그들이다. 나는 사업에 실패한 뒤부터 가족은 친인척을 합쳐 '피붙이'라 이름 붙였고, '피붙이'가 아니면서도 '피붙이'보다 더 살가운 가족을 '살붙이'라 이름 지었다. 지금 쓰는 '가족에게 길을 묻다'라는 이 글은 바로 나의 '살붙이' 이야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