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마이뉴스는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생활글도 뉴스로 채택하고 있습니다. 개인의 경험을 통해 뉴스를 좀더 생생하고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당신의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평소 책을 얼마나 읽으십니까? 출판계 보도에 따르면, 우리나라 성인 기준으로 월평균 0.8권을 읽는다고 합니다. 이는 거의 책을 읽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한달에 문화비로 지출하는 비용도 보잘 것 없다는 얘깁니다.
새로움을 추구하는 데 나이를 상관하지 않습니다. 아이들보다 어른들이 먼저 책을 가까이 해야 됩니다. 매일처럼 컴퓨터 오락에만 한다고 다그칠 일이 아닙니다. 먼저 아이들이 편안하게 책을 읽을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 주어야 합니다.
왜 많은 성인이 한달에 달랑 책 한 권을 읽지 않을까요? 단지 바쁘기 때문에? 살다 보니 책 읽을 겨를이 없다고? 아닙니다. 그보다도 대중매체를 통한 즐거움에 길들여진 까닭입니다. 서넛 사람만 보이면 텔레비전 연속극 얘기가 화재거리가 되는 현실입니다. 어른들의 그러한 모습은 아이들이 책과 담을 쌓게 하는 직접적인 역할을 합니다.
평소 책을 얼마나 읽으십니까
좀 해묵은 조사결과이기는 하지만, 미국의 다국적 여론조사기관(NOP 월드)이 각국의 인쇄매체 접촉시간을 조사 발표해 화제가 된 적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조사국가 30개국 중 한국은 꼴찌였답니다.
물론 이 조사는, '독서량'이 아닌, '인쇄매체 접촉시간'을 조사한 것이기 때문에 인터넷이나 영상 환경이 발달한 선진국일수록 낮게 나타난다는 한계가 있기는 합니다. 그렇지만 한국인이 책을 읽지 않는다는 것은 명확한 사실입니다. 이러한 결과는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국가별 통계와도 그렇게 큰 편차를 보이지 않기 때문입니다.
어떤 생각이 드십니까? 조금은 가슴이 뜨끔할 것입니다. 실로 우리나라의 독서 현실은 안타까울 정도입니다. 언제부턴가 지하철이나 카페에서 책 보는 사람 찾기가 힘들어졌습니다. 그 대신 휴대폰을 만지작거리거나 들여다보고, 무시로 이어폰을 끼고 있는 사람들이 그 자리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일례로, 외국 명문대학에 진학한 한국 학생들은 입학성적이 우수하다고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간이 지날수록 창의성이 부족하고, 논리적 감각이 떨어져 공부하는 데 무척 애를 먹는다고 합니다. 평소 독서를 통한 사고습관과 논리적 글쓰기가 바탕이 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의 독서 현실은 안타까울 정도
시대가 첨단산업사회로, 지식정보화사회로 이행될수록 독서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세상은 언제나 책 읽는 사람들이 움직여왔습니다. 책 읽는 사람이 바로 지도자였습니다. 그래서 많은 책을 읽은 이는 두고두고 아름답게 우러러졌습니다.
그러나 책을 읽는다고 해서 당장에 무엇인가를 가져다주지 않습니다. 다만 책 읽기를 게을리 하면 찬연한 미래가 없다는 것을 전해 줄 뿐입니다. 남의 지식을 읽고 이해하는 것은 선택이 아닌 필수조건입니다. 아무리 컴퓨터 인터넷이 활개를 치는 세상이어도 활자매체만은 우리 생활 가장 가까운 곳에 존재합니다.
'인터넷 제국 건설자' 빌 게이츠는 독서광입니다. 컴퓨터 황제인 그는 공식석상에서 "컴퓨터가 책을 대체하리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해 눈길을 끌기도 했습니다. 그는 바쁜 일과 중에도 매일 한 시간씩, 주말에는 두세 시간씩 책을 읽고, 출장 갈 때는 꼭 책을 챙긴다고 합니다. 1997년 게이츠도서관재단을 설립했고, 이후 연방정부 외에 단일 기부자로는 최고액인 2000만 달러를 여러 도서관에 기부했다고 합니다.
"사회에서 성공을 하고 부를 쌓은 모든 사람들은 어떻게 사회에 부를 환원하고 불평등을 개선할 것인가를 깊이 생각해야 한다. 성공은 운이 따라야 한다. 나는 운이 좋게도 성공한 사람으로 선택받았다. 아내(멜린다 게이츠)도 같은 생각이어서 함께 봉사 활동을 펴고 있다."
"가장 힘을 쏟는 것은 아내와 함께 만든 비영리 재단(Gates Foundation) 일이다. 예를 들어 개발도상국가의 난치병 어린이를 돕거나, 질병 연구소의 연구 활동을 지원하는 데 관심을 갖고 있다. 부를 축적한 사람들이 세계의 불평등을 개선하는 데 좀더 많은 관심을 가졌으면 한다."
사회적으로 성공한 빌 게이츠가 필생의 사업을 접고 이제는 사회기부활동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게이츠 재단은 지난해 미국 내 소수민족학생을 위한 장학금으로 18억 달러를 기부했으며, 또 아프리카 어린이 말라리아병 퇴치 등을 위해 32억 달러를 기부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빌 게이츠가 탄생하기까지는 그의 무한한 독서력이 기본 바탕이 되었다고 합니다.
'인터넷 제국 건설자' 빌 게이츠는 독서광
부럽습니다. 우리 사회도 그들처럼 모든 도서관마다 아름다운 기부문화가 꽃 피워져서 특별한 분위기가 만들어지고, 언제나 사람의 마음을 넉넉하게 사로잡을 수 있는 고상한 자리로 만들 수는 없을까요? 책 읽는 소리 낭랑하게 들리면 얼마나 행복 가득할까요?
맹자는 배움을 일컬어 우물을 파는 것과 같다고 했습니다. 배운다는 것은 끝이 없습니다. 오늘 배워서 가득 채웠다할지라도 내일이면 또 배울 것이 드러나게 마련입니다. 우리는 그만큼 모르고 사는 거지요. 날마다 책을 통하면 그것이 환해지는데도 말에요.
쇠뿔에 앉은 개미는 소의 머리가 흔들리는 것을 자기 탓으로 생각합니다. 그렇습니다. 소경의 나라에서는 소경이 왕이지만 내 스스로는 소경이 아니라는 것을 알아야합니다. 그것을 방법은 배우는 것은 항상 부족한 것으로 생각하는 데 있습니다.
책을 만난다는 사실은 모두에게 소중합니다. 왜냐하면 책은, 지금 당장 눈앞에 있는 문제뿐만 아니라, 그를 통해 많은 것을 생각할 수 있는 신호를 우리에게 항상 보내주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기에 애써 책을 읽을 일입니다. 책을 읽는 자만이 성공한다는 진리는 언제나 살아있습니다.
2009.01.10 15:44 | ⓒ 2009 OhmyNews |
|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박종국기자는 2000년 <경남작가>로 작품활동을 시작하여 한국작가회의회원, 수필가, 칼럼니스트로, 수필집 <제 빛깔 제 모습으로>과 <하심>을 펴냈으며, 다음블로그 '박종국의 일상이야기'를 운영하고 있으며, 현재 김해 진영중앙초등학교 교감으로, 아이들과 함께하고 생활합니다.
공유하기
"컴퓨터가 책을 대체하리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