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최재천 교수
김형규
'될성부른 나무는 떡잎부터 알아본다'는 속담이 있듯이 최 교수의 어린 시절은 오늘날 통섭 학자가 된 그의 모습을 대변한다. 그는 어린 시절부터 한 가지 일에 오랫동안 집중하기보다는 여러 가지 일을 벌이고 다녔다고 한다. 최 교수는 "부모님이 실속 없는 팔방미인이라고 부르기도 했다"며 어린 시절을 회상했다.
최 교수는 학창시절 시인을 꿈꾸며 문과로의 진학을 결심했다. 하지만 최 교수의 담임선생님이 이과로 배정하여 그곳으로 진학하게 됐다. 이과로 진학한 최 교수는 고3이 돼서는 조각가를 꿈꾸기도 했다. 학창시절의 최 교수는 자연과학과는 거리가 먼 미래를 꿈꾸며 인문학적 사고를 키워왔던 것이다. 그는 "문과가 아닌 이과로 배정받은 것이 오늘날 나를 있게 한 것 같다"며 "만약 문과로 진학했다면 평범한 인생을 살고 있지 않았을까"라고 전했다.
대학에 진학한 후에도 최 교수는 전공인 자연과학만을 공부하기보다는 독서, 사진동아리 활동을 하고 여행을 다니며 전공뿐만 아니라 다양한 경험을 했다고 한다. 최 교수는 "서울대 사진동아리의 초대회장으로 일할 만큼 전공공부에만 얽매이지 않았다"고 했다.
학부를 졸업하고 미국의 대학원으로 진학하게 된 최 교수는 '사회생물학'이라는 학문을 접하게 됐다. 사회생물학이란 인간을 포함한 모든 동물의 사회구성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최 교수는 사회생물학이라는 자연과학적 요소를 통해 호주제 폐지, 생태계 문제, 고령화 문제와 같은 인문학적 문제에 접근했다.
최 교수의 접근이 각종 언론사 기고문이나 강연회를 통해 사회적으로 화제가 되고 영향을 미치자, 언론에서는 최 교수를 현실참여형 학자로 불렀다. 이에 대해 그는 "나를 현실참여형 학자라고 부르는 것은 내가 하는 학문을 모르고 하는 이상한 소리"라며 "사회생물학이란 현실과 밀접한 연관이 있기 때문에 여성·생태계·고령화 문제 같은 연구가 곧 사회생물학의 연구"라고 사회생물학을 연구하면 자연스럽게 현실문제에 참여하게 된다고 전했다.
최 교수는 인문학적 요소인 사회과학적 현상을 자연과학적 요소와 연관 지어 학문 간의 통섭을 실현했다. 예를 들어 호주제 폐지문제를 사회과학적 요소로 접근하던 기존의 학자와는 달리 최 교수는 생물학적 근거를 들어 여성의 우수성을 주장하는 식이었다. 최 교수는 "언론 기고와 강연을 통해 나의 학문이 우리 삶에 영향을 미치게 돼 기쁘다"며 "학문이 상아탑에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현실과도 관련돼 금상첨화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자기 우물을 확실하게 파라, 그래야 깊은 우물 팔 수 있다"최 교수는 미국에서 교수생활을 마무리하고 한국으로 돌아온 이후 모교인 서울대에서 강의하다가 이화여대로 자리를 옮겼다. 그는 "우리 생물학계가 작은 생물학(분자생물학)에만 치우쳐 이것을 깨트리기 위해 옮겼다"며 "작은 생물학과 큰 생물학(생태 및 진화생물학)이 공존하며 쌍두마차 역할을 해야 생물학의 발전이 있을 것"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이화여대도 최 교수 영입을 위해 국내에서는 최초로 큰 생물학의 전공도입과 에코과학부를 신설할 정도로 노력을 기울였다. 최 교수는 대학에서 큰 생물학 전공의 도입을 보류하고 있는 이유에 대해 "학교는 비주류인 큰 생물학 전공에 입학하는 학생이 있을지 걱정한다"며 또한 "큰 생물학 전공자가 졸업 후 취업을 할 수 있을까라는 의문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조심스러운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나 우려와는 달리 최 교수의 큰 생물학 도입은 이미 어느 정도의 성과를 보이고 있다. 에코과학부는 생태계의 보존을 통섭적으로 연구하는 전문가를 양성할 목적으로 설립됐다. 최 교수는 "최근 정부에서 발표한 '저탄소·녹색성장'을 위한 전문 인력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라며 "에코과학부 졸업자들이 그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예측된다"고 말했다.
최 교수는 결코 여러 개의 우물을 파라고 하지 않았다. 자기 우물은 확실하게 파되 다른 우물이 어떻게, 무얼 위해 파헤쳐지고 있는지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서로 남의 우물에 대해 충분히 알게 되면 우리 모두 함께 넓은 우물을 팔 수 있다는 것이다. 그래야 결국 깊은 우물을 팔 수 있다는 것을 이야기하는 것이다.
덧붙이는 글 | 이기사는 경희대학교 학보사 <대학주보>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공유하기
"이제 통섭하지 않으면 어려움 겪는 사회가 왔다"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