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책 <농부>에는 사진잔치에 걸리지 않았으나 가슴을 애틋하게 적시는 작품이 많이 담겨 있습니다.
최종규
'허벅지 콱 집어서 밀기'를 하고 나서는 자리가 널널해졌습니다. 널널해진 자리를 즐기며 신길역에서 갈아타고 서대문역에서 내리기까지, 사람과 사람한테 다시금 들볶이다가 문득, '웬만한 한국사람은 어릴 때부터 너무 바쁜 쳇바퀴에 갇혀 치이고 밀리고 들볶이고 시달리면서 제 삶을 잃지 않느냐'는 생각이 듭니다. 멀쩡한 두 다리를 놓고 자동계단이나 승강기만 타려는 사람들을 보노라면, 사람들 스스로 이렇게 되어 가는 동안, 이 사람들한테서 어떤 다름(개성)을 찾을 수 있겠느냐 싶습니다. 검고 하얀 빛깔만 가득한 서양 차린옷을 갖춘 '남녀 회사원' 매무새로 하루를 꼬박 보내고 나면, 똑같은 삶자락과 똑같은 밥버릇과 똑같은 공짜신문과 똑같은 텔레비전과 똑같은 은행계좌와 똑같은 여행계획과 똑같은 아파트+자가용 꿈에 매이지 않겠느냐 싶습니다.
세계 어느 나라보다 '손전화 사진기'이든 '디에스엘알'이든 '똑딱이'든, 갖가지 사진기가 많이 팔리고 널리 쓰여 어마어마하게 많은 사진이 쏟아지는 우리 나라인데, 그렇게 어마어마하게 많은 사진은 쏟아지나, 정작 '다름'을 느낄 사진은 없는 가운데, 한결같이 판에 박은 사진만 넘치는 까닭은 이런 도시내기 삶에서 비롯하지 않느냐고 느낍니다.
저 또한 도시내기라 할 테지만, 도시 한복판이 아닌 변두리 골목동네에서 태어나 죽 살아왔고, 옆지기하고도 골목동네에서 살림을 이루었고 아기도 골목동네에서 낳았습니다. 아기를 기뻐해 주고 반겨 주는 사람은 하나같이 골목동네 이웃입니다. 저잣거리를 마실하든 골목을 거닐든, 골목동네 이웃은 우리 아기와 세 식구를 따숩게 맞이해 줍니다. 이러는 동안 제 사진은 저절로 '골목길을 내 삶 그대로 느낀 모습 고스란히 사진으로 담자'고 생각합니다. 꼭 얼굴사진을 환하게 웃는 빛으로든 시무룩하게 가라앉은 빛으로든 담아야 '골목길 사람들 사진'이 되지는 않는다고 느낍니다. 사람 얼굴이나 몸뚱이 하나 깃들지 않아도 얼마든지 '골목길 사람들 사진'이 된다고 깨닫습니다. 우리 둘레 어디에도 사람 손길이 타지 않은 자리가 없으니까요. 우리가 바라보아야 하고 느껴야 하며 껴안아야 하고 널리 나누어야 할 모습이란 다름아닌 사람 냄새요 사람 목소리요 사람 빛깔이니까요.
(2) 사람을 보는 얼굴과 본 그대로 담는 손길
지난 9월 10일부터 오는 9월 23일까지, 서울 중구 저동2가에 자리한 <갤러리 M>(02-2277-2436)이라는 곳에서 '농사짓는 사람들 삶터'를 담은 사진잔치가 열립니다. 사진을 찍은 이는 사진기자로 정년퇴직을 한 전민조 님입니다. 전민조 님은 이제까지 숱한 사진책을 펴냈습니다. <한국일보>와 <동아일보> 사진기자로 일하던 때에는 <얼굴>(평민사,1985)과 <서울스케치>(눈빛,1992)와 <이 한 장의 사진>(행림출판,1994)과 <가짜사진 트릭사진>(행림출판,1999)과 <그때 그 사진 한 장>(눈빛,2001)을 펴냈습니다. 사진기자로서 이렇게 사진책을 많이 낸 분은 더 없지 않느냐 싶습니다.
사진기자 일을 마치고 '사진작가'로 달라진 다음부터는, <아무도 오지 않는 섬>(눈빛,2005)을 비롯해 <서울>(눈빛,2006)과 <한국인의 초상>(눈빛,2007)과 <사진이야기>(눈빛,2007)와 <기자가 본 기자>(대가,2008)를 해마다 잇달아 펴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