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사 중인 문수산 정상과 정상표지석
이승철
이곳 문수산 정상은 그동안 장대지를 발굴하다가 삼국시대 것으로 보이는 기와 조각과 고배 등이 발견되었다. 그래서 이곳이 숙종 때 문수산성을 쌓기 이전에 이미 산성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하게 되었다. 이곳에서는 장대지 기단부에 사용되었던 주춧돌들이 발굴되어 조선시대 주춧돌 축조법에 대한 중요한 자료가 되는데, 아직 공사 중이어서 비닐그물을 씌워놓은 것이었다.
정상에서 능선으로 이어진 성벽을 따라 북쪽으로 잠깐 내려와 큰 바위 아래 공터에서 점심도시락을 먹고 다시 북쪽성벽을 따라 걸었다. 이곳 능선길에서는 염하강과 조강이 서로 만나 얼싸안고 흐르는 모습이 더욱 선명하다.
참 조강이란 이름이 조금은 낯설다. 이런 강 이름이 우리나라에 있었던가. 분명히 있었다. 옛 고문서의 기록을 찾아보면 우리나라 지리서의 원조라고 할 수 있는 세종실록지리지에도 조강이라는 강 이름이 분명히 있다. 한탄강과 임진강이 합수하고 다시 한강과 합류하여 강화해협을 통과하여 서해로 흘러드는 강이 조강이다.
한반도의 중심축인 서울과 개성지역을 이어주며 흐르는 강, 한탄강이 임진강에 합수하고, 다시 김포벌을 지나며 한강을 만나 어깨동무하듯 하나로 모여 흐르는 혈맥 중의 동맥 같은 강, 그래서 강들 중의 강이며, 조상의 강이요, 할아버지의 강이라는 뜻으로 조강(祖江)이라는 이름이 붙여졌을 것이다.
한반도의 중심축을 흐르는 세 강을 아우른 할아버지 강, 조강(祖江)그러나 문수산 능선길에서 내려다보이는 조강은 이미 사라진 강이었다. 요즘의 지도 어느 곳에서도 조강이라는 이름은 찾아볼 수 없기 때문이다. 어디 그뿐이랴, 사람들의 기억에서도 조강이란 강 이름은 오래전에 지워졌다. 특별히 기억하는 소수의 사람들을 제외하면 조강은 이미 사라진 이름이었다.
강 건너 북녘땅도 가을은 이미 떠나고 없었다. 잿빛으로 아스라이 펼쳐진 낮은 산들과 들녘을 지나 멀리 산맥처럼 높이 솟아 있는 산은 개성 천마산(762m)이고, 그 앞쪽의 나지막한 산이 경기 오악 중의 하나인 송악산(489m)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