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리닛과 함께 '만우절(Mirror)'이란 곡을 발표한 스나이퍼사운드의 수장인 'MC스나이퍼'.
스나이퍼사운드
언젠가부터 '음악'이라는 단어 뒤에 '산업'이라는 말이 뒤따라오는 것이 어색하지 않다. 한국 가요계에 꽤 해묵은 논쟁으로 우리에게 남아있는 것 가운데 하나가 바로 '상업적인 아이돌 가수들과 음악 그리고 기획사'에 대한 이야기일 것이다. 물론 이러한 아이돌과 음악들이 국내 가요계에 미치는 영향은 단순히 가수와 대중, 단 두 부류에 한정해서 비판하거나 비난할 문제는 결코 아니다.
국내 거대 기획사들이 구축한 아이돌 가수 기획시스템, 아이돌 팝 음원들의 유통, 10대 팬덤과 그들을 대상으로 정보를 재생산하는 여론, 방송사를 위시한 미디어 그리고 외적으로 상업적인 콘텐츠들 개념까지 합쳐지면 이 문제는 굉장히 복잡해진다. 알겠지만, 자본이 들어가고 이익이 엉키는 곳은 언제나 그런 법이다. 그래서 이때부터 '음악'은 더 이상 '소리'로만 존재해지기 힘들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아이돌 가수들이 한국 가요계에 미치는 영향, 아울러 그것과 연관된 산업에 대한 비난과 비판은 좀 더 넓은 시각으로 인식하고 접근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렇지 않으면 그 지겨운 논쟁은 오늘 리뷰할 MC스나이퍼와 일리닛(Illinit)이 발표한 <만우절>(Mirror)'에 실린 가사처럼 계속해서 쳇바퀴마냥 돌고 또 돈다.
제작자와 가수의 입장에서 본 가요계 어쨌거나 이 지겨운 문제에 대해 지금껏 왈가왈부했던 것은 어찌 보면 대중들의 몫이었다. 당연하지만 아이돌 가수들의 음악이나 춤을 직접적으로 정면으로 마주하고 있는 이들. 그리고 그로 인해 문화적 다양성을 침해받은 이들이 바로 대중들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반대로 그러한 측면에서 보자면 기획자나 가수들은 '동업자 의식'이란 표현 외에도 이 문제에 대해 이야기 하는 것이 확실히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는 계층이었다.
스나이퍼사운드의 수장인 MC스나이퍼가 일리닛과 함께 발매한 디지털 싱글, '만우절'은 그래서 돋보인다. 이러한 문제를 꽤 직접적으로 건드리고 있기 때문.
알다시피 힙합씬에서는 누군가를 비난하는 디스(diss)라는 개념이 존재하고, 이 장르의 마니아들 역시 힙합에 있어 음악적 상업성을 상당히 민감하게 받아들인다는 점을 감안하면 딱히 놀랄 일도 아니라 할 수 있지만, 제작자이자 현재 언더를 넘어 메이저에서도 활발히 활동하는 MC스나이퍼의 입장에선 그다지 쉬운 결정이 아니었으리라.
모두가 알면서도 그간 우려했던 얘기 '표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