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조합원들과 시민단체 회원들이 지난해 7월 29일 오후 경기도 평택 쌍용자동차 공장 인근에서 정부의 쌍용차 사태 해결을 촉구하며 행진을 하다가 경찰 헬기에서 최루액 봉지가 투하되자 몸을 피하고 있다.
유성호
쌍용차 사태 이후 평택지역이 고용촉진지역으로 지정되고 예산이 배정되었지만 해고된 쌍용차노동자들에겐 그림의 떡이었다. 정부는 평택을 고용개발촉진지구로 지정하고 재취업을 보장하겠다고 했지만 쌍용자동차 지부는 인정하지 않은 대신 회사 측 인원들만 재취업하고 있는 실정이다.
금년 6월 말 현재 평택 65개 업체 820명에게 고용유지 지원금 4억6400만 원이 지원되었고, 지역고용촉진 지원금은 144개 업체 849명에게 7억9800만 원이 지급되었다. 그러나 전체 3000명이 넘는 해고노동자들에겐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공장 정문 앞에서 외롭게 투쟁하는 해고노동자들의 목소리는 언론에서도 외면당했다. 이제 다시 쌍용자동차는 매각될 처지에 있다. 새로운 구매자들이 입찰 중이다. 들리는 얘기로는 관리자 등을 중심으로 수백 명이 정리해고 될 처지라고 한다.
투쟁중인 쌍용차 지부는 이번에도 다시 상하이 투기자본에게 매각되는 것처럼 진행되어서는 안 된다는 주장을 하고 있다. 무급휴직자와 정리해고자들이 공장으로 돌아갈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제2의 상하이사태처럼 기술만 유출당하는 졸속매각이 이루어져서는 안 된다는 점을 분명히 하고 있다.
2006년 8월 투기자본감시센터가 상하이 대주주와 경영진을 기술유출혐의로 고발했을 때는 무혐의 처리했던 검찰이 작년 8월 6일 파업이 끝난 직후 기술유출로 기소하여 진행된 1심 재판 선거가 3일 후인 8월 9일 내려진다. 책임자들은 다 빠지고 연구소 직원 몇 명만을 상대로 재판이 진행 중이다. 면죄부를 주려는 인상이 짙다. 진짜 책임자들에 대한 추가기소가 이뤄져야 한다. 정부와 산업은행의 책임 역시 물어야 한다. 그리고 국회의 역할에 대해서도 점검해야 한다. 필요하다면 국회 청문회나 국정감사도 해야 한다. 그러나 오리무중이다.
이런 지지부진한 상황에서 노동시민사회단체들은 지난 7월 2일 대책위를 구성하고 활동에 들어갔다. 여전히 노동시간 단축을 통한 일자리 나누기를 통해 '함께 살자, 정리해고 반대'는 여전히 유효한 구호다. 지난 7월 28일 평택역에서 집회를 열고 공장 앞까지 행진을 했다. 1년 전 최루액이 가득했던, 그 거리를 걸어 공장 앞에서 다시 집회를 열었다.
어제(8월 5일)는 국회 정론관에서 '쌍용자동차 2009년 합의 이행, 구속자 석방․해고자 복직 실현, 졸속매각을 반대하는 사회 각계 86인 선언' 기자회견을 열었다. 많은 방송카메라가 찍어갔지만 대부분 보도하지 않았다.
회사는 2010년 8월 6일자로 공장으로 돌아가겠다고 대기해 온 무급휴직자 457명(11명 퇴사 제외)에게 아무런 통보를 하지 않고 있다. 대타협 정신은 오간데 없고 노동자들의 고통만 고스란히 남았다. 오늘(6일) 저녁 쌍용차 공장 앞에서 해고노동자들은 다시 365일 전 대타협과 77일간의 파업을 생각하며 문화제를 개최한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