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개혁시민연대 등이 배포한 웹 자보이다.
언론개혁시민연대
유영주 위원은 사안의 흐름을 '우파의 주류→ 진보의 마이너→ 진보의 즉자적 반응→ 진보의 클리셰한(진부한) 반 비판'으로 분석했다.
<경향신문>의 사설이 나오기 하루 전인 지난 달 30일 <조선일보>가 "3대 세습을 못 본 체하는 좌파는 가짜 좌파다"는 사설(우파의 주류)에 반응해 손호철 교수가 "남한 진보여, 북한의 '3대 세습'을 비판하라"는 글을 실은 것이 '마이너 진보'의 반응이었다는 것. 이후, <경향신문>이 1일 사설을 통해 '진보의 즉자적 반응'을 보였고, 지난 13일 <미디어오늘>이 가세해 "경향신문의 사설은 과도하게 문제를 단순화시켜 쟁점화했다"는 '진보의 클리셰한 반 비판'을 내보낸 것이 사안의 구도라는 설명이다.
유 위원은 "외부로부터 주어진 프레임 안에서 진보 정치권의 낡은 '종북' 논란을 저널리즘 방식으로 재현하는 것으로는 진보적 저널리즘으로서의 리더십을 검증받을 수 없다"며 "여기서 남는 물음은 '북 세습을 둘러싸고 형성된 사회의 가치관과 선입관에 어떻게 도전할 것인가'이다"라고 정리했다. 진보 언론은 보수의 프레임에 갇히지 말고 더 나아갔어야 한다는 문제제기였다.
'진보의 클리셰한 반 비판'으로 평가된 <미디어오늘> 사설에 대해 류정민 <미디어오늘> 취재1부장은 "유 위원은 <경향신문> 사설이 <조선일보> 사설에 영향 받지 않았다면, <경향신문> 사설은 좋은 사설이었다고 평가한 것 같다"며 "유 위원이 정파적 관점에서 <경향신문> 사설을 해석했고, 신문의 정치적 입장에 대한 변론을 한 것 아닌가 싶다"고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이어 류 부장은 "진보의 기본은 존중에 있는데 이번 논쟁에서 존중이 무너졌다"며 "민노당이 북한 세습을 비판하지 않으면 동의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향신문>의 입장에 의해 민노당에 종북 이미지가 덧씌워졌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대한민국 정부더러 북한 세습을 비판하라고 하진 않으면서 민노당은 비판하라는 논리"라며 "민노당이 어떤 견해를 표현하건 남북관계에 별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보는 건 민노당을 폄하하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류 부장은 "보수 측에서 '세습에 대해 말하지 않는 것은 북한 옹호'라는 흐름을 견지하고 있는데 이런 여론몰이에 <경향신문>이 일조했다"며 "민노당의 커밍아웃을 왜 이리 채근하는지가 이번 논란의 중요한 의문"이라고 말했다.
"결국은 NL(민족해방)과 PD(민중민주)의 논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