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시군구별 조출산율2009년 시군구별 조출산율 상.하위 지자체
김상진
출생아수와 조출산율에서 3위안에 포함된 경북의 영양군을 보면 농촌의 출생률이 얼마나 심각한지 알 수 있다. 영양군의 읍(1)·면(5)수는 6개이다. 영양군의 1년 출생아 수가 83명이었으므로 1개 읍·면에 평균 14명이 출생을 하였다. 즉, 1개 읍․면사무소에서 평균 1달에 1명꼴로 출생신고를 받은 것 이다.
또한, 영양군에는 275곳의 자연부락이 있다. 영양군의 출생아 수를 단순대입하면 275곳의 자연부락 중 192곳은 1년 내내 어린아이 한명 태어나지 않는 다는 결론이 나온다. 이러하니 어린아이의 울음소리가 그리울 수밖에 없는 것이 농촌의 현실이다.
읍·면·도서지역의 폐교현황을 보면 농촌지역의 현실을 더욱 실감하게 된다. 2010년 교육과학기술부 자료에 따르면, 폐교비율(현재 읍·면·도서지역의 학교 수+분교수로 폐교수를 나눈 비율)이 전남 95.2%, 경남 86.7%, 경북 83.3%를 기록하고 있다. 기존 전체학교 중에 거의 절반이 이미 학교 문을 닫았다는 말이다. 농촌에 젊은이들이 돌아오지 않는 한, 현재 명맥을 유지하고 있는 학교들도 항상 문을 닫을 준비를 해야 한다.
이색적인 것은 농촌학교의 학생들도 다양한 인종으로 바뀌게 된다는 것이다. 2009년에 농림수산식품부가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2020년이 되면 우리의 농촌은 19세 미만 농가 인구의 49%가 다문화 가정의 자녀로 구성될 것이라는 전망을 하였다. 즉, 2명 중 한명은 외국인과의 결혼에 의해서 출생한 아이들이 학교를 다닌다는 얘기이다.
2011년 통계청이 발표한 자료를 보면 농어촌지역의 한국 남성과 결혼한 외국인 여성의 국적은 베트남이 45.5%로 가장 많았으며, 중국 28.4%, 필리핀 8.6% 순이었다. 그러나 2009년 외국인과의 이혼은 1만1,245건을 기록하여 외국인과의 결혼이 순탄치만은 않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사람 사는 세상에 어린아이의 울음소리가 없다면 얼마나 적막한 세상인가. 울창한 나무 숲속에 풀벌레 소리가 사라져 자연의 생태계가 파괴된 비정상적인 현상, 농촌의 현실이다. 오늘 우리의 농촌은 초 고령사회의 적막감을 체험하고 있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