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 비너릉 교수
보 비너릉
- 병원비와 의료비는 어떤가? 환자 1인당 몇 퍼센트의 의료비를 정부에서 지원하나? 소득에 따라 다른가 아니면 모든 환자에게 일률적으로 지원하나?
[카리나] "약간의 금액, 최대 150크론(약 2만6000원)은 환자가 지불하고 나머지는 국가가 지불한다."
[보 교수] "병원과 의료비는 무료다. 수입 여부에 무관하게 환자가 내는 최대 금액은 1년에 약 250불(27만 원) 이내이다."
- 요즘은 급격한 자동화 때문에 그런지 산업화된 사회에서 구직이 점점 어려워진다. 무직자가 많아지면 또 무직자가 자기 장래를 위해 연금을 저축하기도 어렵다. 장래 연금을 위해 비효율적인 면이 있더라고 '자동화'를 중지하고 인력을 채용해야 한다고 보나? [카리나] "자동화는 좋은 것이라 생각한다. 그러나 자동화로 인한 수익은 사람들의 복지와 건강을 향상시키는 일에 쓰여 져야 한다. 자동화로 인해 직장이 없어지면 정부는 기계가 할 수 없고 인간만이 할 수 있는 좀 더 의미 있고 인도주의적인 면을 필요로 하는 직장을 '창출'해 내야 한다."
[보 교수] "어려운 질문이라 답하기가 어렵다."
- 영국에서 세계수준의 전 국민 국가의료서비스가 있지만 현재 재정적 어려움에 처해 있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서 '불가피하게' 부분적으로라도 사적인 민영의료보험으로 영역을 확장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있다. 어떻게 생각하나?[카리나] "나는 그것이 '불가피' 하다고 전혀 보지 않는다. 내 생각엔 경제적으로 어려운 시기에 의료 부분의 민영화에 박차를 가하기 위한 정치인들의 주도권 싸움으로 밖에 안 보인다."
[보 교수] "스웨덴에도 민영병원이 있다. 그러나 국가보험이 그 비용을 지불한다. 또한 스웨덴에도 사적으로 추가 보험료를 내서 운영하는 민영보험이 있다. 그러나 그 수는 극소수에 불과하고 대부분 사람들은 국가에서 운영하는 공공의료제도에 의존한다."
- 주택 구입은 어떤가? 한국에서 서울에 월급쟁이가 집을 사기는 몹시 어렵다. 스웨덴에서 결혼한 부부나 월급쟁이가 집을 마련할 때 국가에서 지원을 해주나. [카리나] "국가지원은 없다. 그러나 직장이 있고 은행에 저축이 좀 있으면 나머지 금액은 은행에서 어렵지 않게 융자를 받을 수 있다. 만약 혼자 사는 사람이라면 집을 사기가 쉽지 않을 수 있다. 그래서 그런지 집이 있는 사람들의 대부분은 맞벌이 부부다."
[보 교수] "지금은 없다. 과거에 1980년대까지는 정부에서 세금혜택 등을 통해 주택구입을 지원해 주기도 했다. 아주 부유한 소수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사람들은 그래서 은행에서 융자를 받아서 집을 산다."
- 스웨덴 세율은 어떻게 되나? 총 정부예산 중 복지예산은 어느 정도 되나. [보 교수] "소득세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양상이고 그 외에 판매세가 25%다. 대략 총 정부 예산의 1/3은 사회복지비용으로 쓰인다."
[카리나] "잘 모르겠다."
"탈세 예방하고 잘 갖춰진 징수제도 적용하면 북유럽 복지모델 적용 가능"- 북유럽 복지가 성공한 것은 경제나 인구 규모가 다른 산업화된 국가보다 상대적으로 작아서 가능하다는 의견이 있다. 그래서 북유럽 복지모델은 한국, 미국, 일본 등에는 적절하지 않다는 생각에 대해선 어떻게 보나? [카리나] "나는 경제학자는 아니고 사회학자인데, 사회학자의 관점으로 북유럽 복지모델은 경제성장과 분배 둘 다에 좋다. 또한 남녀평등과 가족복지에도 아주 좋다고 말할 수 있다."
[보 교수] "탈세를 예방하고 잘 갖추어진 징수제도를 적용하면 북유럽뿐 아니라 다른 산업화된 나라에서도 북유럽 복지모델의 적용이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 스웨덴 복지제도가 다른 나라보다 좋은 것은 사실이지만 그래도 향상이 필요한 면이 있다고 보나? [보 교수] "물론이다. 우리는 요즘 '질병'에 대한 정의(definition) 문제 때문에 장애연금이 막대하게 증가하고 있고 장기적 병가에 대한 지원금도 막대하다. 그래서 납세자들이 큰 부담을 갖고 있다. 지방정부의 책임이 너무 과대하다. 특별히 초등교육과 아동복지, 빈곤층에 대한 지원금을 전부 중앙정부가 아닌 지방정부가 그 지역에 사는 주민들의 세금으로 충당한다. 그 결과 지역적 불평등이 초래되었다. 스웨덴은 300개 정도의 지방자치 단체가 있다. 그래서 어떤 이들은 스웨덴은 300개의 복지국가들이 있지만 한 개의 복지국가도 없다는 말이 나올 정도다. 지방정부의 부담을 중앙정부로 옮기는 과제가 시급하다고 본다."
[카리나] "물론이다! 요즘 세계가 점점 신자유주의 흐름으로 가고 있고 스웨덴 정치계도 그러한 영향에서 자유롭기가 힘든 것 같다. 그러나 그럼에도 우리는 경제성장이나 경쟁체제만 추구하기보다는 국민의 건강권, 평등, 지속가능성 등에 더 중요성을 두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보 비너릉(Bo Vinnerljung) 교수는 1950년생. 스톡홀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아동복지, 입양, 취약아동 향상 문제에 오랫동안 연구해 왔다.
카리나 티거벨(Carina Tigervall) 사회학박사. 스웨덴 룬드(Lunds) 대학 강사 및 연구원. 사회복지에 대한 강의를 하며 인종정체성, 인종차별문제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오마이뉴스>영국통신원, <반헌법열전 편찬위원회> 조사위원, [해외입양 그 이후], [폭력의 역사], [김성수의 영국 이야기], [조작된 간첩들], [함석헌평전], [함석헌: 자유만큼 사랑한 평화] 저자. 퀘이커교도. <씨알의 소리> 편집위원. 한국투명성기구 사무총장, 진실화해위원회, 대통령소속 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 투명사회협약실천협의회.
공유하기
"스웨덴 학생들에겐 '교육비'란 게 아예 없다"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