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들이 29일 오후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반값등록금과 청년실업 해결을 요구하며 구호를 외치고 있다.
유성호
"그저 자식들이 대학 다닐 때까지만이라도 일했으면 하는 게 대기업 직원들의 소박한 꿈입니다."
KT 해고자인 조태욱(50)씨의 하소연이다. KT에선 임직원 자녀의 중고등학교 학비는 전액, 대학 등록금도 75%까지 지원해주고 있다. 하지만 KT는 지난 2009년 말 당시 전 직원 3만7000명의 16%에 이르는 5992명을 명예퇴직시켰다. 이들 가운데는 자녀가 대학을 채 마치지 못한 40~50대가 적지 않았다.
조태욱씨는 "대기업에선 직원 복지 차원에서 대부분 대학까지 학자금을 지원해주고 의료비까지 지원하고 있다"면서 "자녀가 둘이면 1년에 1000만 원까지 혜택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회사에서 퇴직을 압박해도 안 나가고 버티는 이유 중 하나"라고 말했다.
실제 10대 그룹을 비롯한 대기업과 금융기관에선 대학 등록금을 비롯한 자녀 학자금을 대부분 지원해주고 있다. 현대자동차는 3년 이상 근속한 직원에 한해 중·고등학교는 물론 대학 입학금 등록금까지 100% 지원한다. 포스코그룹 역시 자녀 3명까지 1인당 8000만 원 한도 내에서 중·고·대학교 실비를 100% 지원하고 유치원·초등학교도 연간 50만 원씩 지급한다.
문제는 학자금 지원이 잘되는 대기업이나 금융기관일수록 이른바 '사오정(40, 50대 정년퇴직) 세대라 불릴 정도로 명예퇴직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이다. 보통 직장인이 20대 후반에서 30대 초반에 낳은 자녀가 대학에 들어갈 때쯤이면 40대 중반에서 50대 중반이 된다. 하지만 대기업에서 임원급으로 승진하지 않는 한 20년 이상 버틴다는 건 요즘 하늘의 별 따기다.
실제 지난 4월 초 퇴직 임직원 자녀 학자금도 지원해 화제가 된 신세계 인사팀에서 분석한 결과, 퇴직 시 임원 자녀들의 평균 나이는 22세, 부장급은 18세로 나타났다. 임직원 설문조사에서도 퇴직 시 가장 고민되는 문제로 '자녀 학자금 마련'을 꼽았고, 두 자녀를 고등학교에서 대학교까지 보내는 데 드는 학자금은 최대 9천만 원에 달했다.
그나마 정년 보장과 대학생 학비 지원으로 한때 '신의 직장'으로 불렸던 공기업들은 '혈세 낭비'라는 비판 여론에 부딪혀 대학 등록금 무상 지원을 없애고 무이자 대출 등으로 전환하는 추세다.
"기업 지원은 미봉책... 대기업 노조도 반값등록금 동참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