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
▲ 방치된 겸재 정선의 그림 배경 '임천고암' 겸재 정선의 그림 '임천고암'의 배경이 되었던 충남 부여군 세도면 반조원리 현장. 향토유적으로 지정되어 있지만 현재는 방치되어 수풀과 쓰레기에 덮여있다. ⓒ 대전충남녹색연합
학창시절 미술교과서에서 꼭 한번은 들어봤을 '겸재 정선'.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화가로 실경산수와 회화식 전통에 근거하여 마침내 조선의 그림 속에 조선의 풍경과 사람들 모습이 등장하는 진경산수라는 새로운 양식을 개척했다. 대표적인 그림으로는 <인왕제색도>와 <금강전도>가 있다. 이런 겸재 정선 그림의 배경이 된 곳이 충남 금강에도 있다.
바로 '임천고암'이다. '임천고암'은 충남 부여군 세도면 반조원리의 옛 지명으로 겸재가 삼종질(三從姪) 삼회재(三悔齋) 정오규(鄭五奎)의 은거생활을 그린 전경이다.
'임천고암'의 배경이 되는 삼의당과 제방림(향토유적 제94호)은 조선후기 문신 윤광안(1757~1815)이 함경도 유배에서 풀려난 뒤 말년에 기거하며 후진양성을 위해 지은 곳으로 조성연대와 조성자가 드물게 확인되는 유적으로 평가받고 있다. 1909년 불타 없어져 현재는 8기의 초석만 남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