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고속철도 KTX-II의 외양.
코레일
2014년 호남고속철도와 수도권고속철도가 개통될 예정이다. 현재 경부선 서울~금천 구간 선로용량의 한계로 열차운행 횟수를 늘리지 못하는 상황에서 수도권고속철도(수서~평택) 구간이 개통된다면 열차운행 횟수는 대폭 늘어날 것이다. 또한 서울역과는 거리가 멀어 항공이나 자가용을 이용하던 강남지역 이용자를 상당수 흡수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런데 최근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교통연구원(KOTI)과 한나라당, 일부 언론을 중심으로 소위 '돈 되는 신규 고속철도 노선'을 민간자본에게 넘기려는 움직임이 보인다. 또한 한미FTA 날치기 통과로 인해 외국자본의 먹잇감이 될 처지에 놓였다.
한국교통연구원, 사실 왜곡으로 민간자본에 국민 혈세 퍼주나
한국교통연구원은 국토해양부의 의뢰를 받아 2010년 12월께 '철도산업발전과 경쟁력 제고를 위한 연구보고서'(이하 '연구보고서')를 발표했다. 그리고 일부 한나라당 의원들과 토론회, 언론 인터뷰를 통해 '철도공사의 효율성' 운운하며 "경쟁체제를 도입하면 철도운임의 20% 인하가 가능"한 것처럼 국민을 현혹하고 있다.
그러나 2009년 민간자본이 운영하던 인천공항철도를 철도공사에 넘기면서 당시 국토해양부는 <인천공항철도 합리화 대책>을 통해 "공공부문인 한국철도공사가 인천공항철도를 매입할 경우, 민간에 지급하는 국가 보조금의 절반가량을 절감(30년간 14조 원)할 수 있어 국가 재정부담을 크게 완화할 수 있다"고 발표해 공기업인 철도공사가 민간자본보다 훨씬 효율적임을 인정했었다.
하지만 당시 한국교통연구원은 자신들의 잘못된 수요예측으로 민간(현대)이 건설하고 운영토록 해 수십조 원의 혈세를 낭비할 수밖에 없도록 해 놓고도, 황당하게 철도 운영에서 공기업의 효율성이 민간에 비해 떨어진다는 주장을 계속하고 있다.
또한 철도운영에서 민간자본이 이익을 내기 위해서는 정부 차원의 특혜가 없으면 사실상 불가능하다. 철도구조개혁(철도시설과 운영의 분리) 당시 막대한 경부고속철도 건설 부채 대부분을 철도운영자인 철도공사(4조5000여억 원)와 철도시설공단이 나누어 떠안았다.
또한 정부지원 외 수익구조가 없는 철도시설공단은 그 건설 부채를 해결하기 위해 외국과 비교해 터무니없이 높은 '선로사용료'를 철도공사에 부과했다. 결국 철도공사는 건설부채 이자 비용과 과도한 선로사용료를 납부하고 있으며, 이것이 영업적자의 가장 큰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실정이다.(표 1, 2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