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집 휴원관련 뉴스 검색
다음뉴스검색
지난주 전국 민간 어린이집이 아이들을 받지 않겠다고 휴원을 선언했습니다. 언론들은 직장을 가진 부모들이 어린이집에 아이들을 맡기지 못하여 큰 혼란이 일어날 것이라고 예상하였으나 극적인 휴원 철회로 이른바 '보육대란'은 일어나지 않았습니다.
오늘은 전국의 민간어린이집이 아이들을 받지 않겠다고 선언하였던 이른바 보육대란의 원인에 대하여 함께 생각해보겠습니다.
지난 2월 말 한국어린이집총연합회(이하 총연합회)는 보육료 인상, 보육교사 처우 개선, 특기비 규제 철폐 등을 내걸고 27일부터 3월 2일까지 집단 휴원을 실시하겠다고 선언하였습니다. 27일, 28일 이틀간 부분 휴원을 하고 29일부터는 전면 휴원을 예고하였지만, 영업정지, 과징금 부과, 폐원 조치 등 강경조치를 선언한 정부와 극적인 타결을 이루었습니다.
여전히 갈등의 불씨는 남아 있지만 보건복지부와 총연합회 측은, 정부와 총연합회 민간분과위원회, 지자체, 관련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협의체를 구성해 총연합회의 요구 사항을 논의하고 상반기 중 보완책을 마련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고 합니다.
엄마가 키우지 말고 무조건 보육시설에 맡겨라?그런데 문제는 이런 보완책 마련이 근본적인 해법이 될 수 없다는 데 있습니다. 사실 진짜 보육대란은 보육료 인상, 보육교사 처우 개선, 특기비 규제 철폐를 내건 민간 어린이집의 파업 선언이 아니라, 올해 3월부터 최대 13만 명 이상의 영유아가 한꺼번에 어린이집에 몰려가게 된 상황입니다.
사실 민간 어린이집이 정부를 상대로 문을 닫겠다고 협박하며 보육료 인상과 교사처우 개선, 특기비 규제 철폐를 주장할 수 있었던 것도 지난 연말부터 몇 달 사이에 13만 명 이상의 추가 보육수요가 생겼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고 생각합니다. 아마 아이들이 모자라 모집을 걱정해야 하는 상황이었다면 이런 휴원 사태가 일어나기는 어려웠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