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문학가 신천희 스님아동문학가 신천희 스님이 산문집 <무얼 믿고 사나>(푸른사상)를 펴냈다
신천희
"오늘은 어제보다 조금만 더 착하게 살자! / 남들보다 조금만 더 참으며 살자! / 나보다 남을 조금만 더 생각하며 살자! // 이것이 내가 살아가면서 지고 가는 화두다. 한꺼번에 뭔가를 이루고자 하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다. 자기 성찰을 통하여 하루에 한 번씩 반성하고 하루에 한 가지씩만 착한 일을 해도 일 년이면 365번이나 된다. 그러니 세월이 묵으면 얼마나 더 크게 이루겠는가!"-"작가의 말" 몇 토막지난 2008년 7월 KBS 1TV '책을 말하다-산을 닮은 괴짜스님의 유쾌한 수다'에 나와 시청자들 배꼽을 잡게 했던 아동문학가 신천희 스님이 산문집 <무얼 믿고 사나>(푸른사상)를 펴냈다. 전북 김제에 있는 무주암에서 불도를 닦고 있는 스님이 펴낸 이 산문집에는 자연사랑과 사람사랑이 함께 어우러져 아지랑이로 가물거리며 피어오르고 있다.
이 산문집은 모두 4부에 103편에 이르는 산문이 '빈손으로 가는 바보들'처럼 저만치 엉거주춤 서서 이 세상살이가 티껍다는 듯이 흘낏흘낏 바라보고 있다. '빈손으로 가는 바보들', '떠나는 것은 슬픈 일이다', '상좌의 반항', '미련 곰탱이', '세상 밖으로 한 발짝', '내가 살고 싶은 세상', '토끼는 짖지 않는다', '아이고! 두야!', '소쩍새 우는 사연', '똥 쥐', '돈벌레', '한밤의 탁발승', '씨는 속일 수 없다' 등이 그 산문들.
신천희 스님은 '작가의 말'에서 "나는 중이(中2)다"라는 화두를 먼저 던진다. '스님'을 속된 말로 부르는 말이 '중'인데, 그는 '중이'란 말을 중학교 2학년에 빗댄다. '중이'기 때문에 스스로를 한껏 낮추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그래서(중이기 때문에) 내 나이는 늘 열네 살"이라고 못 박는다.
그는 "열네 살짜리가 알면 얼마나 알겠는가?"라며 "이 책에는 일상을 지어가면서 얻은 소소한 깨우침만을 나만의 것으로 풀어놓았을 뿐"이라고 말한다. 이는 곧 이 세상을 살아가는 모든 사람들도 열네 살이기 때문에 옳고 그름에 대해 함부로 이러쿵 저러쿵 바람을 잡지 말라는 뜻에 다름 아니다.
제 손조차 믿을 수 없는 이 세상은 요지경 속"여름햇살이 간호사가 엉덩이에 꽂는 주사바늘처럼 따갑게 내리꽂히던 날 주변사람들과 참나무 숯을 만드는 찜질방에 갔다 온 적이 있다. / 여태까지 그랬던 것처럼 나는 용기가 없어 찜질방에 들어가지 못하고 참나무 숯으로 만든 상품을 구경하고 있었다. 그런 모습을 본 주인이 나를 가련하게 여겼는지 참나무 숯에서 축출한 액을 두 병 선물로 주었다" -20쪽 '무얼 믿고 사나' 몇 토막 신천희 스님은 "물에 타서 발을 담그고 있으면 발이 깨끗해진다는" 참나무 숯에서 빼낸 추출액을 선물로 받아 암자로 돌아온 뒤 물을 타서 발을 담근다. 아주 상쾌한 기분을 느낀 스님은 "여러 번 하면 얼마나 좋을까 싶어" 그 다음 날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또 발을 담근다. 근데, 무언가 이상하다. 냄새도 다르고, 발이 따끔거리기까지 한다.
스님은 "쓴 게 보약이라고 아픈 만큼 발이 좋아지겠지 싶어 꾹 참"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고통스러울 만큼 따가"워 그 액을 버리기로 마음먹는다. "마음을 비우고 하수도에 버리려고 보니 액이 아니라 번질번질한 기름", "제초기에 쓰는 기름이라 경유와 휘발유를 섞어 놓은" 그 기름이었다. 스님은 급한 마음에 그만 기름을 잘못 가지고 나온 것이라는 것을 뒤늦게 깨닫지만 이미 엎질러진 물이다.
'무얼 믿고 사나'란 이 산문은 한순간 착각이 스스로를 또 다른 고통에 빠뜨릴 수도 있다는, 하찮은 것 같지만 지혜로운 깨침이다. 제 몸에 붙은 손조차 믿을 수 없는 세상이 되었을 정도로 우리가 살아가는 이 세상은 요지경 속이라는 것이다. 그렇다. 나를 통해, 내 실수를 통해 이 세상살이를 깨칠 줄 아는 작은 지혜, 그게 곧 큰 지혜로 가는 지름길 아니겠는가.
"I go! 이거 미안해서 어쩌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