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극의 빙하 -<세상 끝의 풍경들> 150쪽-
임윤수
끼니때마다 식탁에는 국과 밥, 대여섯 가지의 반찬이 정갈하게 차려집니다. 밥을 차려놓고 식사를 하라고 하면 식탁 앞으로 가 의자를 꺼내놓고 앉아 습관적으로 식사를 했습니다. 식탁에는 노각김치가 올라왔습니다. 늙은 오이를 손질해 소금에 살짝 절여서 갖은 양념을 넣고 조물조물 무친 노각김치가 아삭아삭합니다. 된장을 풀고 해물 몇 가지를 넣어 보글보글 끓인 찌개는 칼칼합니다.
얼마 전까지는 식사를 할 때마다 입버릇처럼 국이 조금 짜다느니, 밥이 조금 되다느니하며 차려진 음식을 놓고 투정 같은 평을 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그렇지 않습니다.
쉽다고 생각했던 조리, 끓이고 보니 '라면죽'대학생 때 잠깐이나마 자취를 한 적도 있고, 여기저기 싸돌아다니며 버너로 밥을 해 먹던 경험도 있기에 반찬을 하고 밥을 하는 것쯤 별거 아니라고 생각했는데 그게 아니란 걸 얼마 전 절실하게 경험하는 일이 있었습니다.
혼자서 끼니를 해결해야 하는 날이 있었습니다. 모처럼 라면이나 끓여 먹을 거라고 생각하고 물이 끓는 냄비에 라면을 넣었습니다. 이어 송송 썬 파를 넣고 달걀 두 개를 깨 휘휘 저으며 넣었더니 국물이 보글거리며 끓던 냄비 속이 뻑뻑해졌습니다. 면과 계란이 엉기며 죽처럼 뻑뻑해져서 결국은 숟가락으로 퍼 먹어야 하는 상황에 이르렀습니다. 라면죽을 만든 셈이죠.
그 일이 있기 전까지는 노각김치 하나를 만들기 위해 늙은 오이를 사오고, 껍질을 벗겨 다듬고, 적당한 크기로 썰어 소금에 절이고, 파를 다듬어 썰고, 마늘을 다지고, 고춧가루 등을 챙겨서 양념을 준비해 간을 봐가며 무쳐야 한다는 건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라면을 라면죽으로 끓여 먹은 후로는 조리 과정의 수고를 알게 됐기에 설사 반찬이 조금 짜거나 싱겁더라도 음식을 만드는 과정에 들어갔을 손길과 수고를 연상하며 맛있게 먹고 있습니다.
음식만 이런 게 아닙니다. 텔레비전에서 방영되는 영상물 또한 음식과 비슷합니다. 한 편의 다큐멘터리가 방영되기까지는 맛난 음식을 조리하는 과정 못지않게 기획하고, 준비하고, 검토하고, 촬영하고, 편집하고, 확인하는 등으로 여러 단계의 과정을 거쳐야 할 것입니다.
하지만 대개 사람들은 이런 과정과 수고가 있었다는 것은 생각하지 않고 즉흥적으로 재미가 없다느니 완성도가 떨어진다느니 하며 자신의 취향이나 눈높이로 반찬 투정을 하듯 영상물을 평가하는 일도 없지는 않으리라 생각됩니다.
<아마존의 눈물> <남극의 눈물>에 감춰진 뒷담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