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세상에 어지러운 발자국 하나 더 찍습니다

시인 용환신 세 번째 시집 <아직도 노래할 수 없는 서정을 위해>

등록 2012.11.06 16:15수정 2012.11.06 16:15
0
원고료로 응원
시인 용환신 12년 만에 세 번째 시집 <아직도 노래할 수 없는 서정을 위해>(도서출판 화남)를 펴냈다
시인 용환신12년 만에 세 번째 시집 <아직도 노래할 수 없는 서정을 위해>(도서출판 화남)를 펴냈다 이종찬
아직도 노래할 수 없는 서정을 위해
밤이면 보이지 않는 별
억지 찾는 대신
어둔 골목 비바람 맞으리.

막다른 골목
가시철망 타고 흐르는
차디찬 빗물
온몸 다 식힐지라도
남은 발끝 온기로 걸어가리.


맨가슴 파랗게 드러내는
뿌리까지 흔들어 대는 바람 불어도
깊은 잠 부르는 햇살
결코 붙잡지 않으리.

아직도 노래할 수 없는 서정을 위해
뒤돌아 뒤돌아
숨죽이는 꿈 꾸지 않으리.
-22쪽, '아직도 노래할 수 없는 서정을 위해' 모두

1975년 4월 11일, 유신헌법 철폐와 민주회복을 내세우며 자결한 서울농대생 김상진 할복자결사건(김상진 열사 자결사건)을 바라보면서 학생운동과 민주화운동에 '겁도 없이'(?) 뛰어든 이가 있다. 1987년 유월항쟁 때에는 '수원민주문화운동연합'을 만들어 지역문화운동에 밑불을 지폈고, '경기남부민족문학인협의회'까지 만들어 지역에 갇혀 있던 문학을 일깨우는데 손땀 발땀을 몽땅 흘린 이. 그가 시인 용환신이다.

지금은 '한국문학평화포럼' 이사를 맡아 남북통일은 물론 지구촌 상생과 평화에 구슬땀을 흘리고 있는 시인 용환신. 그가 지난 2000년 10월 함경도 머슴 출신인 돌석을 주인공 삼아 식민 수탈을 고발하고 민족해방투쟁을 그린 장편서사시집 <겨울꽃>을 펴낸 지 12년 만에 세 번째 시집 <아직도 노래할 수 없는 서정을 위해>(도서출판 화남)를 펴냈다.

이 시집 제목이 된 '아직도 노래할 수 없는 서정을 위해'는 '국민의 정부' '참여정부'를 거친 지금까지도 참된 민주주의, 더불어 살아가는 사회가 아니기 때문에 시인들은 차마 서정을 노래할 수 없다는 뜻이다. 모두 4부에 94편이 실린 이번 시집에서 시인은 이 시대를 살아가는 가난하고 아픈 이웃들 삶을 부드럽게 쓰다듬으며 뒤틀리는 역사까지 매섭게 꼬집는다.  


'산다는 것', '개목련', '낙엽은 무엇으로 남는가', '술, 그 반역의 즐거움', '가을비 1~3', '그냥 강이라 부르게 하라', '정산리 1~3', '삼겹살집 중국동포 아줌마', '과일장수 박씨', '야쿠르트 아줌마', '흙', '보리', '개똥참외', '가면', '평동, 가수 송찬이', '평동, 고물장수 최씨', '쑥고개 1~2', '대추리 1~2', '매향리 1~2', '홀로 떠나는 연처럼' 등이 그 시편들.

시인 용환신은 '어지러운 발자국을 남긴 채'라는 '시인의 말'에서 "태어나 줄곧 살던 곳 떠나 어디론가 낯선 곳 찾아간다는 것은, 몸만 아니라 마음에 찍힌 어지러운 발자국 그대로 남긴 채 떠나가려 한다는 것은, 일상의 파도만이 아니겠지"라고 말문을 연다. 이 글은 곧 12년 만에 내는 시집, 그 아픈 흔적들이 송두리째 담긴 시편들에게 보내는 예의이자 그 시편들을 떠나보내는 시인 스스로를 다독이는 말에 다름 아니다.   


그는 "먼지에 쌓였던 흐트러진 발자국 낡은 수건 꺼내 닦으려는 것 또한, 쓸쓸한 가을바람만으로 핑계하기에 너무 속절없는 짓이 아닐런지"라며 "쓸쓸함보다 더 지독한 측은함으로 위로를 삼자고 시작한 이런 생각 끝일들이 결국 어지러운 발자국 하나 더 찍은 것으로 끝난 지금,"이라고, 이 세상에 시집 한 권 더 보탬에 용서를 빈다. 참! 착한 시인이다.

강은 산을 넘거나 바다 밟지 않는다

시인 용환신 세 번째 시집 모두 4부에 94편이 실린 이번 시집에서 시인은 이 시대를 살아가는 가난하고 아픈 이웃들 삶을 부드럽게 쓰다듬으며 뒤틀리는 역사까지 매섭게 꼬집는다.
시인 용환신 세 번째 시집모두 4부에 94편이 실린 이번 시집에서 시인은 이 시대를 살아가는 가난하고 아픈 이웃들 삶을 부드럽게 쓰다듬으며 뒤틀리는 역사까지 매섭게 꼬집는다. 화남
이젠,
저 강에 붙여진 이름
그 하나만을 위한 노래 불러야지.
때리고 들쑤셔도 소리 없이 흐른다고,
밟고 짓이겨도 말없이 견딘다고 붙여진
수많은 이름 다 지우고
이젠,
강이란 강 모두 불러내어
본래의 이름 하나
그 하나만을 위한 노래 불러야지
-54쪽, '강 1' 모두

'눈 밝고 귀 밝은' 국민들 반대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이명박 정권에서 마구잡이로 밀어붙이고 있는 4대강 물막이 사업을 바라보는 시인 마음은 어둡다. "강은 산을 넘거나 / 바다 밟지 않으니 / 그냥 거기 그렇게 있게 하라"(강 2)고 아무리 아우성을 쳐도 강을 죽이는 굴삭기 삽날은 더 무지막지하고 더 매섭기만 하다.   

누가 "휘돌아 흐르는 강"을 막는가. 누가 강에게 "잠시 쉬어간다고 시비"를 거는가. "먼저 왔어도 / 앞서 혼자 가는 법 없이 / 모두 함께 떠나니, / 어깨 맞대고 / 서로 서로 가슴" 품고 가는 그 강을 누가 억지로 짓밟는가. 시인은 "본래의 (강)이름 하나"를 지키기 위해 오늘도 강을 부른다. 강을 "때리고 들쑤"시고, "밟고 짓이기"는 모든 낮도깨비 같은 이들이 강 앞에 무릎 꿇고 싹싹 빌라는 듯이.

시인은 4대강 물막이 공사를 막기 위해 강으로 달려가 강을 살리는 시를 굴삭기처럼 내세우며 속만 끙끙 앓고 있는 것이 아니다. 시인은 주한미군기지가 들어서고 있는 대추리와 미공군사격장으로 만신창이가 되어버린 매향리에 가서도 시를 '저항의 깃발'처럼 꽂는다. 그렇게 싸우지 않으면 이 나라 강산 모두가 쑥대머리 풀고 꺼이꺼이 울면서 죽어갈 것이기 때문에.

살아 있어도 살아 있는 게 아니라오

매향리에도 사람이 살았지
달뜬 팔월의 바람도 불었지
담장마다 넘나드는 속삭임들
꽃바람에 멍울졌던 그곳
흰옷 입은 사람들이 울부짖을 때
녹두장군 도포자락도 휘날렸지 -122쪽, '매향리 2' 모두

용환신 시인이 지닌 눈은 깊고 넓다. 시인은 4대강과 대추리, 매향리를 인방처럼 넘나들면서도 도시 빈민들 속 쓰린 삶과 다문화 가족들 초라한 하루하루를 놓치지 않는다. 몇 해 앞 경남 창원 천주산 자락에 있는 작은 암자에서 불도를 닦던 그 스님이 "시인은 이 세상 지킴이자 예언자"라고 들려줬던 그 말씀이 아마 용환신 시인을 두고 빗댄 것만 같다.

도시 빈민들 고단한 삶을 다룬 시들로는 "고물 줍는 꼬부랑 노인 다리 사이 / 밤낮 없이 보름달 뜨네"(보름달)라거나 "술만 마시지 말고 / 밥도 한술 뜨시라"(술, 그 즐거운 반역), "우리 동네 골목 끝 희망이발관 / 오늘, 사십년 나무간판 내렸다네"(희망이발관), "홀로 사는 이씨 노인 / 이번 주엔 오십 명 밖에 던져져 / 퇴계선생 대면할 기쁨 놓쳤다네"(이씨 노인 교회에 간 까닭) 등이 그러한 시편들이다.

다문화 가족들과 그 주변 사람들이 겪는 서글픈 삶을 굴비처럼 엮은 시편들은 "바다보다 더 깊은 지하방에 누워 / 오늘밤도 깊도록 휴대폰 가슴에 품고 / 연변가족과 함께 하네"(삼겹살집 중국동포 아줌마), "살아 있어도 살아 있는 게 아니라오 / 언제나 / 살아 있음을 강요당하는 / 어지러운 출렁임 속 / 바다는 먼 옛날이 되었다오"(산 오징어), "날 수 있다는 것 / 그것은 희망이고, 날아서 어디론가 떠나는 것"(비행기) 등이다.        

"눈 뜬 장님"이 되어버린 우리 사회 향해 꽂는 '시의 주사바늘'

가면이지,
보이는 것, 보이지 않는 모든 것 다.
뜯어 붙이고 붙여 보지만
가면 속 그 끝
있어야 할 사람
사라진 세상,
익숙해진 가면놀이에
모두 눈 뜬 장님 되었네 -105쪽, '가면' 모두

시인 용환신 세 번째 시집 <아직도 노래할 수 없는 서정을 위해>는 "익숙한 가면놀이에 / 모두 눈 뜬 장님"이 되어버린 우리 사회를 향해 꽂는 '시의 주사바늘'이다. 시인은 시란 주사바늘을 들고 물질에 중독되고, 정치놀음에 중독되고, 미국 신식민주의에 중독된 사람들 힘줄을 찔러 해독하면서 왜 시인들이 아직도 서정을 노래할 수 없는 지에 대해 피울음을 꺼억꺼억 뱉어내고 있다.    

문학평론가 임헌영은 "가을 구름처럼, 잠든 바람처럼, 휘돌아 흐르는 강처럼 살고픈 선량한 시인"이라며 "그러나 쑥고개 대추리 매향리 등 세상의 아픈 곳 찾아다니며 밟히고 태워도 다시 일어서는 풀잎처럼, 맨 가슴으로 버티는 바위처럼, 제 머리 두드리는 목탁처럼 우리 시대를 질타하는 시인"이라고 평했다.

시인 홍일선(한국문학평화포럼 회장)은 "화려한 옷을 입은 시를 제조하는 시공은 많으나, 시를 줄탁동시(啄同時)로 하여 말씀을 낳으시는 시농(詩農)이 귀한 시절, 애오라지 시인은 '몸으로만 말하고 / 몸으로만 다가가 / 누구에게나 같은 꿈이 되라하는 / 당신을, / 오늘은 하늘이라 부르겠네'라며 이 나라에서 버림받은, 상처받은 흙이야말로 우러러 받들어야 하는 하늘(님)이라고 명명하고 있는 것"이라고 썼다.

시인 정수자는 "시인은 '더불어'의 세상을 도모했다. 장시집 <겨울꽃>에는 그런 바람이 크게 담겨 있다. 그런데 이번 시집에서는 가을바람이 더 풍기는 듯하다"고 입을 뗀다. 그는 "어둠의 멱살을 잡던 여름날의 함성들이 걸러진 것일까. 생의 오후에 들며 수긍이 가는 것일까"라며 "하지만 '따스한 꿈에 취해 / 서정의 밭으로 가버렸'다는 개탄이나, '저 군홧발보다 더 두려운 / 잊혀진 분노를' 어찌할 것이냐는 질문은 여전히 뜨겁다"고 적었다.

시인 용환신은 1949년 수원에서 태어나 1985년 자유실천문인협회(현, 한국작가회의) 기관지 <민족문학>을 통해 연작시 '가정방문'을 발표하면서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시집으로 <우리 다시 시작해 가자> <겨울꽃> 등이 있으며, 합동시집도 꽤 펴냈다. 시인은 1987년 6월 민주시민항쟁을 맞아 '수원민주문화운동연합'을 만들어 지역문화운동에 밑불을 지폈다.

같은 때 '경기남부민족문학협의회'도 만들어 지역에 갇혀 있던 문학을 일깨우는데 힘을 쏟았다. 그 뒤 <사랑과 땅의 문학> 편집동인을 맡아 실천문학운동을 이끌었으며, 민족문학작가회의(현 한국작가회의) 자유실천위원회 위원을 맡았다. 지금은 '한국문학평화포럼'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덧붙이는 글 [문학in]에도 보냅니다

아직도 노래할 수 없는 서정을 위해

용환신 지음,
화남출판사, 2012


#시인 용환신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보수논객 정규재 "이재명 1심 판결, 잘못됐다" 보수논객 정규재 "이재명 1심 판결, 잘못됐다"
  2. 2 사유화 의혹 '허화평 재단' 재산 1000억 넘나 사유화 의혹 '허화평 재단' 재산 1000억 넘나
  3. 3 중학교 졸업여행에서 장어탕... 이건 정말 '세상에 이런 일이' 중학교 졸업여행에서 장어탕... 이건 정말 '세상에 이런 일이'
  4. 4 남자선배 무릎에 앉아 소주... 기숙사로 가는 내내 울었다 남자선배 무릎에 앉아 소주... 기숙사로 가는 내내 울었다
  5. 5 [단독] 조은희 "명태균 만났고 안다, 영남 황태자? 하고 싶었겠지" [단독] 조은희 "명태균 만났고 안다, 영남 황태자? 하고 싶었겠지"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