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전기 수리중11월 29일 정지된 월성원전 1호기 발전기를 수리하는 모습
월성원자력본부 제공
한수원은 월성 원전 1호기는 수소제거기를 설치하여 후쿠시마 사고와 같은 폭발사고를 방지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혹시 한수원은 후쿠시마 사고 이전, 그러니까 수명연장을 신청할 때까지 없었던 수소제거기를 설치한 것으로 월성 원전 1호기가 안전하다고 주장하고 싶은가?
월성 원전 1호기는 수소제거기는 갖추었을지 몰라도 원자로 안에 '수소감시기'는 설치되지 않았다. 원전 사고가 발생하면 원자로 내부의 열을 제거하는 핵심장치인 '비상시 냉각계통의 열교환기 다중화' 시설도 갖추지 않았다. 때문에 원자력안전기술원 심사 과정에서 보완하기 어려운 중대한 결함이 확인되어 수명연장이 허가되지 않은 원전이다.
월성 1호기는 본질적인 안전상의 결함 때문에 안전성에 기초하여 수명연장을 할 경우 설비개선에 천문학적인 돈이 들어간다. 이러한 비용 문제로 최근 캔두형의 종주국인 캐나다에서 월성 원전과 같은 노형인 젠틀리 2 등 2기를 폐쇄했고 2020년까지 추가로 7기를 폐쇄하기로 결정했다.
그런데 국내에서는 수명연장 승인을 받기도 전에 7천억 원을 들여 설비교체를 했다. 수명연장에 관한 안전성 검사결과나 비용 산정에 관한 정보 공개는 없었다. 국내 안전 기준에도 못 미치게 수명연장을 위한 설비투자를 해놓고 수명연장을 안 하면 국가적 손실이라며 설비개선도 안하며 버티고 있는 게 한수원이다. 월성 1호기는 수소제거기 설치가 아니라 폐쇄 수순을 밟아야 한다.
독일에서 가장 싼 에너지원은 풍력발전 한수원은 반론에서 독일이 8기 원전 폐쇄 이후 전력수입국이 되었다고 주장했는데 전혀 사실이 아니다. 8기 폐쇄 이후에도 여전히 독일은 전력 수출국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지난 2011년 한 해 동안 고리원전 1호기가 생산하는 양의 두 배에 해당하는 6TWh 이상의 전력을 수출했다. 특히 올해의 수출량은 1월부터 9월까지 9개월 동안 사상 최대치인 총 12.3 TWh로 늘어났다.
단 지난 번 필자가 독일이 8기 원전 폐기 이후에도 원전 18기와 맞먹는 양의 전기를 태양광과 풍력 덕분에 생산한 내용을 그 만큼의 양을 수출한 것으로 착오를 일으켰기에 바로 잡는다.
그리고 독일 국민 56%가 전기요금 인상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주장한 것도 독일내 흐름과는 정반대의 주장이다. 그동안 독일에서는 원전 폐쇄 이후 전력 요금이 소폭 상승(원전 폐쇄로 인한 것이 아니라 전기 발전 운영 상승에 따른 것)하기는 했지만 이후 가격은 다시 안정화되었다. 2012년 현재 독일은 재생가능한 에너지가 자치하는 전력의 비중이 20%에 달하고 있다.
2020년까지 38.6% 이상으로 높이는 목표를 추진하고 있다(덴마크 51.9%, 스페인 42.6%). 이를 위해 향후 8년 동안 재생가능한 에너지 산업에 투자할 비용은 약 140조 원에서 280조원까지 늘어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내년 4인 가족 기준의 한 가구당 60유로 정도 인상된다. 이 정도 요금이면 한 달에 각 가정이 부담할 비용은 5유로(약 7000원) 정도이다. 독일 국민들은 재생가능한 에너지산업을 지원하기 위해 이 만큼의 요금을 인상하는 것은 자연스럽게 받아들인다. 에너지 수입의존도가 높은 독일이 화석연료나 원자력이 아닌 재생에너지를 확대해서 에너지 자립도를 높이게 되면 결국 국가 경제적으로 더 유리하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전력요금과 관련해서 그린피스 독일의 기후에너지팀 총괄자 토마스 브루어는 "독일 국민이 내년에 부담하게 될 전기요금 인상 분은 일시적인 현상"이라면서 "재생에너지 산업이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기 때문에 가격 경쟁력이 높아지고 시장성이 커지게 되면 가격은 안정화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미 지난해 독일은 전체 전력생산에서 재생가능한 에너지가 원자력을 앞질렀다. 8년 후에는 전력의 38.6%를 재생에너지로 공급할 계획이다. 남아있는 9기 원전 폐쇄는 당연한 수순이다. 내년 총선에서 현재의 보수당인 메르켈 총리의 기민당을 대신해 진보적인 성향의 사민당 또는 녹색당이 집권할 경우, 탈원전의 속도는 더 빨라질 수 있다. 무엇을 근거로 독일의 탈원전이 순탄치 않다고 주장하는지 정말 궁금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