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인 박호민 첫 시집 <들개와 솔개>시인 박호민이 쓴 이 시와 이번에 펴내는 첫 시집에 실린 여러 시편들을 읽고 있자니 슬며시 눈물이 난다
화남
다시 벌판으로 가야겠다
잿빛 새들의 쉰 울음만 붙박인 하늘 끝 정정한 그 숨결 끊어졌다 하여도 남은 발바닥으로 처음처럼 울부짖으며 가야겠다 저 인간의 거리엔 얼마나 많은 꽃들이 피었다 졌던가목을 빼도 이제 새벽별은 뜨지 않으리라 다만 오랜 갈증만 핏줄 속에 살아서 얼어붙은 한 점 불씨를 되살리겠다 그러므로 결코 나를 길들이려 하지 말라 불 맞은 짐승처럼 절룩일지라도 원시原始의 풀잎들이 몸을 푸는 곳으로 쉼 없는 바람의 노래 들으러 가야겠다 빛바랜 풀숲더미를 휘적이면서 거칠고 무딘 발자국을 홀로 찍으면서 -31쪽, '들개.1' 모두
시인이 이 세상 거친 들판을 들개처럼 서성이면서 솔개를 닮고 싶은 까닭은 무엇일까. 솔개가 "두려움 없이 길을 열고 / 어둔 벌판을 두 동강이치듯 날아가"기 때문이다. "쥐새끼 몇 마리쯤은 단숨에 쓸어버릴 발톱으로 / 지금 내 심장을 할퀴고 가는" 그 새가 솔개이기 때문이다. 시인은 이 시집 곳곳에서 들개와 솔개를 화두로 삼아 이 세상살이를 빗대고 있다. 여기서 들개는 시인이기도 하고, 이 거친 세상살이에 부대끼며 살아가는 민초이기도 하다.
솔개는, 먹고 살기 위해 들개처럼 침을 흘리며 미친 듯이 쏘다니는 시인과 아무리 몸부림쳐도 가난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민초들이 기어이 붙잡으려는 희망이다. 그 솔개는 오늘도 시인 마음에 둥지를 틀고 앉아 "누구도 들을 수 없는 울음으로 / 누구도 가 닿을 수 없는 슬픈 날개짓"(나의 솔개)을 퍼덕이고 있다.
너 이놈, 아직도 멀었다 느닷없는 호통소리에 놀라 하늘을 보니 거기, 여전히 솔개 한 마리 날고 있었네 한낮의 숨죽인 정적을 쪼개나가는 눈빛으로 저 천길 허공에서 오직 일직선으로 떨어지던 한 방울 핏소리의 기억. 두려움 없이 길을 열고 어둔 벌판을 두 동강이치듯 날아가던 솔개여 아아, 지금도 내 가슴에 살아있는 떨림이여" -36쪽, '나의 솔개' 몇 토막.작은 촛불 하나 들고 길을 찾아 헤매는 시인콩나물 가게에 가보았나,검은 천의 그늘 아래 서로 키를 재고 있더군밑에 있는 놈들의 머리 위에하얗게 뿌리를 내리는 것들어쩌면 나도 그런지 몰라아, 우리는 고작 콩나물이었을까 -41쪽, '콩나물' 모두시인 박호민은 이 세상 곳곳에서 살아가는 동식물이 지닌 속내를 이 세상 사람들 고된 삶에 빗댄다. 이 시에서 말하는 콩나물, "검은 천의 그늘 아래 서로 키를 재고 있"는 콩나물이나, "밑에 있는 놈들의 머리 위에 / 하얗게 뿌리내리는 것"도 '들개'를 상징하는 것에 다름 아니다. '들개'는 시인과 민초들이기도 하지만 식의주 앞에서는 한 치 양보도 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바라보면 힘센 권력자를 상징하고 있기도 하다. 시인이 "아, 우리는 고작 콩나물이었을까"라고 스스로 탓하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시인이 동식물을 오래 깊이 바라보며 스스로 주저앉고, 스스로 일어서는 들개와 솔개 같은 시편들은 이 시집 곳곳에 깊은 뿌리를 내리고 있다. "놈이 홰를 칠 때 / 왜 애써 퍼덕거리는 줄 아는가 // 한번만, 한번만 / 멀리 날아보고 싶은 것이다"(수탉)라거나 "쓴 소금국 위로 / 아프게 흩어지던 꽃잎"(개망초), "다 가고 / 괴로움만 남겨 두거라"(갯벌에서),
"어허, 몇 백 년을 밥 얻어먹었으면 / 이젠 나가서 땔 나무라도 해와야지 / 때 묻지 않은 신발이 자랑이더냐"(흰 고무신), "꽝꽝― 꽝꽝― / 추운 땅, 시린 발들 서로가 다지며"(꽝꽝나무), "바싹 마른 햇살에 / 팔 벌린 느티나무는 여전히 말이 없고 / 못난 것들의 하루는 멀기만 하다"(언덕길) 등이 그러하다.
하얗게 질린 눈썹달 마을은 집집마다 문을 걸었다 달아나라, 달아나 맨살로 붙박인 외진 밭머리 깜깜한 바람이 일면 드디어, 내가 싸늘한 혼불로 뜬다 -78쪽, '허수아비' 몇 토막 시인 박호민이 바라보는 봄과 여름, 가을, 겨울 등 사계절은 춥고 어둡다. 그 사계절은 캄캄한 곳에서 작은 촛불 하나 들고 길을 찾아 헤매는 시인을 쏘옥 빼닮았다. 그래. 시인이 초겨울에 오래 바라본 허수아비도 어쩌면 밤마다 먹이를 찾아 컹컹거리는 그 들개가 남긴 발자국인지도 모른다. 들개가 솔개를 닮고 싶어 하듯이, 허수아비가 "싸늘한 혼불"로 뜨는 것, 그것은 곧 이 세상에서 버림받은 허수아비가 솔개로 거듭나는 것과 다름없다.
봄이 다가와도 그 들개가 밤마다 울부짖는 울음소리 같은 짙은 어둠은 좀처럼 가시지 않는다. "봄날, 비린내 뜨는 들길 위에 / 비는 내려 / 새떼들 서둘러 길을 떠난 뒤 / 골안개의 울음소리만 들리었느니"(빗소리)나 "언제나 변두리로부터 달려오는 봄 / 이 봄은 누구의 계절로 다시 오는 걸까"(삼송리의 봄), "이 고운 봄날에 / 텅 빈 하늘처럼 말라버린 / 내 가슴 밑바닥에도 / 다시금 맑은 샘물이 솟아날 수 있을까"(봄노래) 등도 마찬가지다.
여름이 다가와도 그 지독한 어둠은 끝내 꼬리를 내리지 않는다. "땅속의 세월이 어둠은 아니다. / 제대로 울지도 못하는 것, 그것이 / 너의 어둠"(매미)이기 때문이다. 가을이 다가오면 그 지리한 어둠은 쓸쓸함과 서러움으로 다가선다. "차라리 세월 없는 마을로 가고 싶었다. / 살아라, 살아라 밤새 서럽던 방울새는 평안한가"(가을편지), "사방엔 말라가는 풀꽃들의 향기만 가득하고"(이 가을의 노래) 등이 그 시편들이다.
들개를 키운 그 어둠을 닮은 추운 겨울은 결국 외상술 먹고 울지 않으면 도저히 어쩔 수 없는 화두로 자리 잡는다. "시린, 아들놈 손을 붙들고 / 호호 불어주다가 / 붕어빵 하나 사서 / 완행버스에 태워 보낸 뒤 / 버스가 사라져가는 / 산모롱이 모퉁길 / 하염없이 바라보다가 / 기어이 들린 동네 선술집 / 외상술 먹고 나는 / 우, 우노라."(겨울날)
솔개 닮기 위해 스스로를 마음이란 거울에 비추다끊어진 분필토막 뒹군다 칠판 위엔 서툰 솜씨로 흐려진 선생님 안녕 같은 글씨들 ......바람결에 건너간 시간이 잠시만 돌아와 녹슨 종을 울릴 때 백엽상, 혹은 풍향계 위에서 새들이 떠나간다 이 저녁 누군가의 기억 속에서 지워지고 있을 공간 사라져가는 것들의 그 쓸쓸한, 허리를 본다. -110쪽, '폐교' 몇 토막그래. 사라지는 것들은 모두 쓸쓸하다. 손 흔들고 등을 보이며 떠나는 사람, 그 뒷모습을 바라보는 것이 얼마나 쓸쓸하던가. 시인 박호민은 하늘 높이 거침없이 날고 있는 솔개를 닮은 희망을 거머쥐기 위해 여기저기를 들개처럼 떠돌며 스스로를 마음이란 거울에 비춘다. 시인 스스로가 비춰지고 있는 그 마음이란 거울 속에는 시인만 들어 있는 것이 아니다. 시인 주변에서 끼니 한 끼를 위해 낮이나 밤이나 배고픈 들개처럼 떠돌고 있는 이 세상 모든 삼라만상이 함께 서로 등을 부드럽게 기대고 있다.
"가난한 친구가 받아 주는 낮술은 / 아끼는 맛이 좋아라 / 비 오는 바다 위로 청둥오리떼 내리니 / 세상도 조금은 느긋해지려나"(해변길), "내 가는 길에는 / 반딧불 하나라도 떠올랐던가 / 돌아보면 언제나 제자리걸음인 듯, 그러나 / 강물은 소리 없이 흐르고 있었나 보다"(새벽별-누이에게), "그리하여, 오직 슬픈 마음만이 / 또 다른 슬픔을 위로한다"(위로) 등이 그 시편들이다.
시인이자 문학평론가 오민석은 "박호민은 울보시인이다. 바람 불어도 울고 비 내려도 운다. 그의 울음에 감염된 나도 그의 시를 읽으면서 뻑 하면 질질 짠다"고 말문을 연다. 그는 "세상은 슬프고 적멸寂滅의 길은 아득히 멀다. 어린 아들을 보내고 돌아와 시골 구멍가게에서 외상술 먹는 시인 때문에 세상은 비애로 가득하다"라며 "오늘밤도 선창가에 가을비 내릴 게다. 술 취한 마도로스처럼 박호민은 담배를 길게 내뿜으며 누이의 환생 때문에 짠해질 게다"고 평했다.
그래. 시인 박호민 동무여. 이제는 질질 짜지 말거라. 이 세상에는 눈물만 있는 게 아니다. 외상술에 까빡 취해 저만치 흐릿한 세상을 바라보면 그 흐릿함 속에도 밝음이 보이지 않던가. 이 세상에 어둠만 있고 낮이 없는 것은 아니지 않은가. 그대는 어둠이라는 그 깊은 구렁텅이에서 들개가 되어 이 세상이란 들판으로 겁나게 뛰쳐나왔다. 그래. 이제는 곧 힘차게 날개를 저으며 새로운 희망을 물어 나르는 저 솔개로 거듭날 일만 남았지 않은가.
시인 박호민은 1958년 전남 고흥에서 태어나 광주상고를 나와 한때 은행원으로 일하다가 군복무를 마친 뒤 늦깎이로 단국대 경제학과를 마쳤다. 1989년<민족문학>으로 작품활동을 시작한 시인은 잡지, 출판, 행상, 목수, 프리랜서 등을 거쳐 2006년 3월부터 고향 고흥으로 돌아가 팔영산 자연휴양림에서 일하며 틈틈이 시를 쓰고 그림을 그리고 있다.
들개와 솔개
박호민 지음,
화남출판사, 2012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