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김인규 전 사장(왼쪽)과 MBC 김재철 사장. 두 인물은 이명박 정부의 방송장악과 편파방송 논란의 중심에 서 있다.
권우성·유성호
지난 18대 대통령선거 결과는 변화를 원하며 야당 대선 후보를 지지한 진보 성향 유권자들에게 큰 상실감을 줬다. 이명박 정부에 환멸을 느낀 유권자들은 같은 여당 소속의 박근혜 후보가 당선하자 큰 충격에 빠졌다.
그런 충격 속에서 다시 희망의 싹을 틔우려는 움직임이 시도 되고 있다. 바로 '국민방송 만들기' 프로젝트다. 지난 18대 대통령 선거기간 동안 KBS, MBC 등 지상파 방송사들과 종합편성채널, 그리고 보수 신문사들은 노골적인 편파보도로 여당 후보의 당선을 지원했다. 이러한 편파보도에 화가 난 시청자들이 직접 나서 대안방송을 만들자는 운동을 벌이고 있다.
국민방송 만들기 '1등 공신'은 MB하지만 국민방송 만들기 프로젝트는 단순히 이번 대선 과정에서 나타난 지상파 방송사들의 편파보도에서 비롯됐다고 보기 어렵다. 국민방송 만들기 프로젝트는 지난 5년간 이명박 정부에 의해 자행된 언론통제와 표현의 자유 억압에 분노한 시민들의 정치적 저항에서 시작됐다고 봐야 옳다.
이명박 정부가 들어선 이후, 지난 5년간 19명의 해직 언론인을 포함해 총 450여 명의 언론인이 언론통제에 맞서 싸우다 징계 처분을 받았다. 이러한 언론인 대량 징계는 다른 민주주의 국가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부끄러운 모습이다.
이명박 정부의 언론탄압은 언론계 역사상 유례 없는 대규모 장기 파업을 불러왔다. 공영방송인 MBC와 KBS가 각각 170일, 95일간 파업을 벌였고, 기간 통신사인 <연합뉴스>는 100일, <국민일보>도 173일 동안 파업을 벌였다. 이러한 대규모 방송사 파업에도 이명박 정부는 파업의 쟁점이었던 친정부 성향의 사장들을 끝까지 보호했다.
그리고 이번 대선에서 그 사장들은 은혜를 갚으려는 듯 노골적인 편파방송으로 여당 후보 당선에 기여했다. 박근혜 당선인은 편파방송의 수혜자이기도 하다. 이렇게 공영방송과 보수 언론사들의 편향적인 보도가 대선 결과에 영향을 줬다고 판단한 많은 시민은 분노했다. 결국 시민들은 대안방송을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했고, 국민방송 만들기 프로젝트가 시작됐다.
그렇다면 지금 이 시점에서 우리가 고민해야 할 문제는 무엇일까? 가장 먼저 '국민방송이 지금 이 시점에서 정말 필요한가'라는 질문이다. 이 질문에 답을 찾기 위해서는 지금 우리나라의 방송 환경을 살필 필요가 있다.
이명박 정부 들어 출범한 종합편성채널은 말할 것도 없고, KBS와 MBC 등은 친정부 인사에게 장악되면서 기본적인 언론의 기능을 크게 상실했다. 결국 따져보면 한국에는 친정부 성향의 공영방송만 존재하는 셈이다. 따라서 여론의 다양성 확보와 시청자들의 균형 잡힌 정보소비권 보장을 위해서 대안방송은 절실히 필요하다. 즉, 상황적으로 대안방송의 필요성과 당위성은 확보된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