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힐링캠프 강신주힐링캠프 강신주
SBS
강신주 박사의 SBS <힐링캠프> 출연 소식을 듣고 꽤나 놀랐다. 공중파라니... 강신주식 화법이, 그 생각들이 공중파에서 나온다니. 약간의 기대와 큰 걱정을 안고 방송을 봤다. 방송은 '벙커 1'에서 했던 <강신주의 다상담> 형식 그대로 진행되었다. 강신주가 작은 무대에 서고 내담자들이 강신주와 직접 대면해서 상담한다. 강신주 본인이 직접 사연을 읽고 내담자와 문답하면서 조언을 해주는 형식이다.
형식뿐만 아니라 상담 내용도 다상담에서 다루었던 사랑, 가면, 꿈, 부모님 등이다. 그뿐만 아니라 방송 자막으로 '다상담'이라는 문구를 여러 번 넣어, 힐링캠프가 <강신주의 다상담>을 그대로 옮겨 놓았음을 알 수 있었다.
방송 직후, 강신주는 여러 포털의 인기 검색어로 오르고, 책 판매가 급증하는 등 대단한 관심과 지지를 받았다. 그리고 강신주를 지지한 만큼의 비난도 함께 받았다. 힐링과 강신주식 돌직구는 다르지 않다는 비판과 개인의 치료를 강조하는 힐링과 강신주식 상담은 같으며 필요한 것은 '힐링'이 아닌 '혁명'이라는 비판이다. (관련기사:
'힐링'의 모순어법에 빠진 강신주, 위험하다')
기존 힐링, 모든 책임은 개인에게 전가기존의 힐링은 모든 책임을 개인에게 전가한다. '사회는 원래 힘든 것이다', '견뎌야 어른이 된다'는 식이다. 또 '너만 아픈 것이 아니다'는 전제 하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네가 조금 더 노력해라'고 말한다. 심한 경우에는 '네가 성공하지 못한 이유는 네가 게으르기 때문이다'는 식의 죄책감을 파는 힐링마저 나타났다. 그렇다면 이러한 힐링과 강신주의 상담은 어떤 점이 다른 것일까?
우선 강신주는 시스템의 구조적 모순을 인정한다. 배우가 되고 싶어 하지만, 좌절하는 내담자에게, 꿈에 대해서 이야기하면서 강신주는 다음과 같이 이야기한다.
"사회가 힘들어요. 어른들이 그렇게 만들었고 사회구조도 힘들고요.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꿈마저 못 꾼다면 배우는 없어져요." 사회구조가 힘들다는 지적, 그것보다 더 값진 말은 '어른들이 그렇게 만들었고'라는 말일 것이다. '원래 사회는 힘든 거야'라는 기존의 힐링과 강신주가 가진 인식의 본질적 차이가 여기서 드러난다. 기성세대가 잘 못 만든 세상이기 때문에 힘들다라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는 그 잘못된 시스템을 인식하고 난 이후의 행동을 말한다. 이러한 시스템이지만, 그럼에도 꿈은 꿔야 한다는 것이다. 그것이 그 시스템 속에서 살아가는 우리의 자세임을 말한다.
잘못된 시스템 속에 살아간다고 우리 모두가 곡기를 끊고 시스템에 저항하여야 하는 것일까? 시스템에 저항하는 것과 내 인생을 살아가는 것 중 무엇이 우선일까? 내가 사랑하는 가족들을 지키기 위하여, 밥을 먹고 살기 위한 인생과 잘못된 시스템에 저항하고 구조를 바꾸려 노력하는 것은 어느 한 가지만 취해야 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그 두 가지 사이에서 균형점을 찾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바람직한 모습이 아닐까?
시스템에 희생 당한 인간을 향한 따뜻한 시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