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랑쉬오름제주 오름의 권좌라고 불리는 '다랑쉬오름', 이 오름 근처에 있던 다랑쉬마을은 제주 4.3항쟁 기간동안 초토화되어 잃어버린 마을이 되었다.
김민수
오늘은 제주 4·3항쟁 66주기 추모일이다.
김대중 정부에서 '4·3 특별법'을 제정한 이후, 노무현 대통령이 대통령으로는 처음으로 공식사과를 했다. 하자만, 이명박 대통령은 임기 내내 무관심으로 일관함으로써 마치 '제주 4·3항쟁'이 불순한 세력들에 의한 반란인 것처럼 호도하는 역할을 했다.
다행스럽게도 박근혜 정부에서는 국가기념일로 지정되었다. 그런데, 국가기념일로 지정되고 처음 치르는 추모식에 박근혜 대통령은 참여하지 않는다고 한다. 국무총리조차도 국회일정을 핑계 삼아 참석하지 않는다는 보도에 비난 여론이 일자, 참석하겠다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고 한다.
제주 4·3항쟁은 광복 이후 남한만의 단독정부 수립에 반대한 남로당 제주도당의 무장봉기와 미 군정의 강압이 계기가 되어 제주도에서 일어난 민중항쟁이었다. 미 군정은 이 과정에서 경찰과 서북청년단 등 극우반공청년단체를 파견하여 제주도민을 무차별적으로 학살했다.
4·3항쟁 당시 우익단체로는 대동청년단, 서북청년회, 대한청년단, 향보단, 민보단, 청년방위대, 특공대, 학생연맹 등이 있었다. 4·3항쟁 당시 사망한 우익단체원들은 정해진 절차를 거쳐서 국가로부터 국가유공자나 유가족으로 인정받았다. 하지만, 그 당시 억울하게 희생되었던 제주도민과 유가족은 지금까지도 남로당과의 연관설 등으로 좌익 혹은 불순한 세력 등으로 매도되고 있는 현실이다.